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한건수(Geon-Soo Ha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인간 Vol.1 No.1

        국제이주의 증가는 한국사회의 인적구성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다민족 사회로 이행하는 사회변동의 단초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 사회의 이러한 변화는 정부의 정책적 준비나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1990년대 이주민들이 겪어야 했던 인권침해와 다양한 차별은 이들을 지원해 온 시민활동가들로 하여금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사회를 한국 사회의 미래 전망으로 설정하게 했다. 다문화주의가 한국 사회에 소개된 것은 문학연구를 통해서 였지만 2000년 이후에는 사회과학자들이 국제이주의 연구 맥락에서 논의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2006년 결혼이민자 지원 종합대책을 마련하면서 결혼이민자 지원정책을 다문화 사회의 맥락에서 수용하기 시작했고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비롯한 결혼이민자 지원 정책이 마련되면서 다문화 열풍이 한국사회에 불기 시작했다. 이러한 열풍은 역으로 다문화주의나 다문화 관련 논의에 대한 피로감과 반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다문화 정책 실패에 대한 유럽 정치 지도자들의 발언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그동안 정부의 다문화 정책에 불만을 제기하던 사람들이 조직적인 반대 운동을 시작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분석하면서 국내의 다문화 혐오증은 정부나 언론, 시민사회 등이 다문화주의나 다문화 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나 개념 규정 없이 무분별하게 다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과, 다문화 용어를 사용한 정책의 상당 부분이 내용적으로 혼란스러웠던 점을 원인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근 한국 사회의 다문화 피로증과 혐오증은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가 실패했다는 논의로 이어져서는 안 되고 이제까지 정부나 시민사회가 강조해 온 다문화 사회 및 다문화주의의 내용이 어떤 것인가를 성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migration have changed the homogeneous Korean society into a multiethnic one.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have increased since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As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igrants increased, many migrant related social issues have appeared, such as xenophobia, social discrimination, violation of human rights, etc. Multiculturalis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late 1990s among academics in literary studies. It was discussed only as a course material for American culture classes and a literary criticism theory. NGO activists and migration researchers, however, suggested multiculturalism as a social vision and value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had to integrate its increasing foreigners. The government, especiall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Roh Moo Hyun Regime),’ ran various advisory committees to reform its governance and invited reformist civilian specialists. They initiated the 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developed them as a social agenda for the Korean society. As the government established migrant supporting policies, focusing on the marriage migrants in 2006, multiculturalism began to grab the attention of academics, the civil society, and the media. These dramatic changes can be called as the ‘multiculture fever.’ However other trends such as antagonism and tiredness towards multiculturalism also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term and definition of multiculturalism have been abused by discourses, policies and programs.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idiomatic usage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ism with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multicultural phenomena and to contextualize the comments of European political leaders on the failure of multicultural policies. It illustrates the usage of Korean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multiculturalism and suggests the need for proper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ism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multicultural policies for the social agenda.

      •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지원사업의 현황과 과제

        이혜정(Lee, Hyeju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인간 Vol.4 No.1

        본고는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지원사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 사회의 이슈가 된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우리 지역의 현실을 짚어보고자 한다. 2007년 이후 본격화된 우리나라의 이주민지원사업이 본격화된지 벌써 10년이 다 되어 가는 시점에서 이주민지원사업에 대한 중간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검토를 통해 향후 이주민지원사업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 현황을 살펴보면 이주민 유형 중에서 유학생이 가장 많고 일반연수, 구직자 순의 유형의 순으로 나타난다. 한국전체의 이주민 유형중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무역경영이나 기업투자 관련 분야는 우리 지역에 그다지 영향을 많지 않았다. 이주외국인 여성의 직업군에서 결혼이민자가 40%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국적은 베트남, 중국, 필리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지원사업에 관련된 기관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대학기관, 민간단체, 종교단체가 있다. 그 중에서 2007년부터 전국적으로 조직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정부 주도하에 전국적인 사회인프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활동은 결혼이민자 여성에 제한되어 있는 측면이 많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적응을 위한 언어교육, 문화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다문화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의 적응의 문제를 넘어서서 쌍방간의 적응노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넘어서서 가족통합서비스, 외국인을 향한 우리 사회의 선입견을 제거하고 이들의 적응을 함께 공유하기 위한 사회적 서비스개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구·경산지역의 대표적인 사립대학들은 대부분 다문화관련 교육과정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문화관련교육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다문화관련 연구기관과 이중언어강사, 다문화사회전문가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격증 수료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앞으로는 대학기관에서 양성된 다문화관련 전문가나 자격증 소지자들의 현장수요와 연계성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관심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민간단체와 종교단체는 대부분 관련된 정부기관과 협력 또는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비정부기관일수록 노동권, 인권같은 민감한 문제에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주민의 유형중에서 결혼이주여성이나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센터의 인프라는 비교적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편이지만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은 비정부인가의 민간단체와 종교단체가 중점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immigrant support projects of the Daegu Gyeongsan region,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related tasks. I attempt to examine the reality of our reg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multicultural society that has become the issue of our society. It has already been 10 years that our country’s immigrant support projects were activated in 2007, so now the necessity of the interim evaluation of the immigrant support projects is raised, and based on this, the tasks of future immigrants support projects will be presented. In the types of the immigrants in the Daegu Gyeongsan region, there were the most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followed by the persons with training purposes, and job-seekers. In our region, there were not many immigrants in the trade management and corporate investment-related fields in which there are the most number of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In the job types of foreign immigrant women, marriage-based immigr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with 40%, and in their nationality, Vietnames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Chinese, and those from the Philippines.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immigrant support projects in our region includ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university organiza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Of thes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has been organized on a national scale since 2007 has become government lead nationwide social infrastructure.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re mostly limited to the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They are focused o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for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s adaptation to life in Korea. To move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bilateral adaptation efforts beyond unilateral adaptation problems should be explored. Beyond the adaptation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the development of family integrated service and social services to remove our society’s prejudice toward foreigners and to share their adapt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Also, most of representative private universities of our region have multicultural educational courses and have keen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of them have multicultural research institutes and operate courses of bilingual instructors, multicultural society specialists including license completion courses. From now 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grasping the field demand for multicultural specialists trained in university organizations and certificate possessors and their connections. Most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religious groups cooperated, or are connected, with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Particularly, nongovernment organizations were connected with sensitive issues such as labor rights, and human rights. The infrastructure of support centers for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mong the types of immigrants are prepared relatively systematically but the realistic support for immigrant workers is in charge of nongovernmental private organizations and religious groups.

      • 매스미디어가 조장하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정적인 성(性)

        고경자(Go, Gyeong-ja)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인간 Vol.6 No.2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性)문제를 바라보는 우리사회의 편견과 고정관념이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에 놓여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매스미디어를 통해 더욱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고착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을 향한 우리사회의 시선을 더욱 부정적으로 된다는 점이 문제로 인식되었다. 본 논문은 특히 매스미디어가 말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性)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의 성(性) 문제는 전세계 모든 청소년들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문제이다. 그런데 본 논문은 성 문제를 ‘다문화’라는 특정집단의 문제로 구분지어 부각시키는 것은 오히려 다문화사회의 통합과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타자로 배제하는 결과를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몇몇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성의식이 일반 학생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것이 다문화 사회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는 판단하에 우리사회의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prejudice and stereotypes of our society about the sex issu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at a very worrisome level. The mass media encourage and further strengthen such prejudice and stereotypes about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paper focuses on This paper focuses on the prejudice and stereotypes, fomented especially by mass media. Sex issues are a common problem that is found among all youth around the world. The classification of sex issues as a problem of a specific group called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ults in exclud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s others. We interviewed sev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confirmed that their conscious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adolescents. This paper intend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ur society about multicultural adolescents.

      • 다문화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최미희(Choi, Mi-hee)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인간 Vol.6 No.1

        본 논문은 한국사회는 다양한 민족의 유입으로 인한 다문화성으로 단일민족의 가치관에 대한 변화를 요구 받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사회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 형성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시기이지만 한국사회의 환경 속에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는 다문화학생은 의사소통, 우울, 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학업 문제 등의 심리적 문제의 경험과 또래관계 문제, 학교부적응, 학업중단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 학생이 올바른 정체감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과 다문화 학생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iscuss problem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situation that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change the values of a single-race nation due to multi-culture caused by inflow of various ethnic groups, and the change can affect Korean society positively and negatively. The teenage period is the one that affects ego-identity formation, but multi-cultural students who spend the period in the environment of Korean society have hard time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anxiety, depression, low self-esteem, academic problem, relationship with other students, maladjustment to school and suspension of studie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recognition towards multi-cultural students along with counsel that can help multi-cultural students to form appropriate identity.

      • 다문화가족 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관한 지원방안

        배옥현(Bae, Ok-hy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인간 Vol.7 No.1·2

        본 연구는 경상북도 내에 거주하는 다문화학생(초등 5 · 6학년, 중학생)의 가정 및 학교생활, 정서 및 언어, 학습능력, 진로 및 정체성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학생의 자존감 향상, 학습부진이나 학교 부적응 해결, 부모-자녀 관계 증진과 관련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다문화학생(초등 5 · 6학년, 중학생) 514명을 대상으로 다문화학생의 가정 및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파악을 통해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세분화에 기반한 지원방향으로 다문화가정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방안 모색, 학교에서의 학부모 소통채널 강화 및 다문화코디네이터 지원, 지역공동체 단위 지원방향 모색, 부모교육 활성화 및 외국출신 부모나라 언어교육 기회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점 정립으로 차별이나 폭력, 인권유린방지가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학생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향으로 다문화학생의 자기주도성, 적극성 유도 필요, 다문화학생과 함께하는 다문화관련 프로그램 확대 방안 모색, 다문화가정 중심의 다문화사회의 지속적인 변화 양상 관찰, 다문화학생의 무의식, 감수성에 대한 인식전환, 다문화사회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교육 강화 및 확산 필요, 지역공동체 단위조사를 통한 인류학적 혹은 사회문화적 다문화가정 혹은 다문화학생의 삶과 사회상 관찰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students (primary 5th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Gyeongsangbuk - do on home and school life, emotion and language, learning ability, career and identity, And to utilize it as basic data related to enhancement of parent - 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4 students who were multicultural students (5th grade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support based on the subdivis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to seek customized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vulnerable groups, to strengthen the channels of parental communication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co-ordinators in schools, Expansion of opportunities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discrimination, violence, and human rights abuse by establishing a perspective on multicultural society. Third, as a new approach toward multicultur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multicultural students to self-drive, to induce aggressiveness, to find ways to expand multicultural program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to observe continuous chang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centered on multicultural families, The need to strengthen and spread educ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observing the lives and societies of anthropologically or socio-cultural multicultural families or multicultural students through community unit surveys.

      • 다문화주의의 한계와 대안 모색

        김태식(Kim Taesik)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인간 Vol.1 No.1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에서 소위 ‘뉴커머(new comer)’라 불리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늘어나 ‘다문화공생(多文化共生)’ 담론이 등장하였다. 2005년에는 정부 차원에서 다문화공생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다문화공생은 일본사회의 이익을 위한 다문화정책에 지나지 않는 “다문화주의가 없는 다문화공생”이라 비판을 받고 있다. 일본 다문화공생의 한계와 대안을 찾기 위해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뉴커머 집단인 브라질 인들과 전후 일본에서 최대의 외국인집단으로 존재해온 소위 ‘올드 커머(old comer)’인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에 주목한다. 외국인학교의 역사를 통해 패전 후의 국제 질서 속에서 스스로 식민지주의의 청산을 하지 못한 일본이 계속 외국인들을 감시의 대상으로 여겨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다문화공생은 다문화상황이 어떻게 발생 했는가에 대한 반성이 없으며 동화와 배제의 대상으로만 외국인을 여겨왔다. 일본이 식민지주의를 극복하고 외국인 학교들을 존중한다면 일본의 다문화공생개념은 다문화주의로 좀 더 가까워질 것이다. 또한 이는 일본의 다문화공생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Since 1990,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so-called ‘new comer’) coming to Japan has increased. As a result, a discourse has emerged regarding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多文化共生)’. In 2005, the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a policy for realizing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However, Japan’s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policy has been receiving criticism that it is only for the benefit of the Japanese people, and its goal is not to increase multiculturalism. To find alternatives to these limitations of the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policy, this article discusses the ethnic education of Brazilians (typical ‘new comer’) and Koreans (typical ‘old comer’) in Japan. Historically, the social position of schools for foreigners has implied that Japan could not free itself from a colonialism style mentality, due to the Cold War, and Japanese people still regard foreigners as surveillance operatives. There is no feeling that a multicultural Japan could exist. If Japan were to rid itself of its colonialism mentality, and respect the schools for foreigners, then the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policy could actually embrace multiculturalism. This is the first necessary step for Japan’s Multicultural Symbiotic Societies policy to be free from criticism.

      • 불교사찰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왕성무(Seong-Moo Wa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인간 Vol.8 No.1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한국적 다문화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적 다문화주의를 만드는 데 불교의 사상이 기여할 수 있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불교사찰에서 다문화 현상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성보박물관과 템플스테이, 불교대학 등을 통해서 그 현실을 파악하고 과제에 대해서 찾아보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다문화사회에서 불교적 소통은 유용하다. 불교는 대립과 투쟁, 갈등 등을 포괄하는 다원주의적 소통을 함으로써 지역종교에서 세계종교가 되었다. 세계종교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차별과 분별을 초월하는 원융무애의 정신으로써 가능했다. 현대 다문화사회에서도 다수자와 소수자, 선주민과 이주민 사이에서 타자에 대한 적대와 배제, 차별과 분별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불교의 사상적 접근이 다문화사회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해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교사찰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현실과 과제를 다루기 위해서 다문화사회에 대해서 불교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핀 후, 불교사찰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폈다. 이를 위해서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종단인 조계종과 조계종 산하 교구사찰 등의 다문화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천태종과 그 외의 종단에서 다문화교육 관련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각 종단의 웹사이트와 불교 관련 포털사이트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premise that Buddhist thought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Korean multiculturalism, which was not clearly conceptualize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assimilation, in spite of rapid transforma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how Buddhist temples have been approaching multicultural phenomena, through the Seongbo Museum, Temple Stay, and Buddhist University. Buddhist interpretation on communication turns out to be useful in multicultural society. Buddhism became a global impact starting from local religion by making pluralistic communication including confrontations, struggles and conflicts. The global characteristics of Buddhism have been searched out from the Buddhist social thought, such as the spirit of goodwill beyond all discrimination. In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conflicts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s. Those conflicts turns out to be hostility,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others. Accordingly, Buddhist thought can be an alternative way of approaches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Buddhism responds to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eal with the realitie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Buddhist temples. For this purpose, the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s the Jogye Order of the Korean Buddhism and the Diocese of the Jogye Order were examined. The analysis has been focused on ho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re operated by Tendai and other end - users through web sites and Buddhist related portal sites.

      • 현대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석준(Hong, Seok-joo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인간 Vol.7 No.1·2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라고 정의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는 다문화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문화사회’ 또는 ‘다문화주의’, ‘다문화가정 또는 다문화가족’의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일이나 사건, 현상들을 일상생활의 수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2018년 현재 한국은 2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그 결과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는 이제 한국인의 “일반적인 삶의 양식”의 일부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국제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2세, 국제이주노동자, 새터민 등의 증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그들에 대한 복지의 확충 및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거주하는 민족이나 종족 또는 인종이 다양해진 것이지 한국 사회의 포용성이나 문화적 다양성이 확대, 심화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도 부인하기 힘든 엄연한 사실이다. 아울러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학계와 시민단체등에서 다문화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증대되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한국 사회의 단일민족 의식과 순혈주의, 불법체류자의 증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복지예산 증액,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율 증가, 새터민과 다문화가정 2세들의 학교와 사회에서의 부적응, 외국인범죄의 증가 등이 이러한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해결 방안과 학계 및 시민사회의 진지한 고민과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상이다. 이 글에서는 저간의 ‘다문화’ 담론들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역설적으로 문화공동체로서의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의 실체를 규명하는 단서를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문화의 실체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임에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목적을 위해 다양한 담론이 조작, 변형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다양한 ‘다문화’ 담론들이 사실은 한국이라는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다문화’ 담론들은 어떠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 형성, 변화되어 왔으며,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현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긴요하고도 시급한 일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and reviews critically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currently progressing into multiculturalism discourses through some concrete examp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 will focu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so-called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view critically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For this purpose, I will examine and review critically the diverse dimension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meanings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s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regard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or “multicultural family” and so forth, as an important socio-cultural phenomena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s or cultural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identity in contemporary Korea. It is designed that this attempt is a part of academic inquiry for establishing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nalysis new framework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In conclusion, this attempt to examine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meanings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dentity in Korea, is to improv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damunwha gajeong, or damunwha gajok(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and Korea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 경상북도 다문화가족자녀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배옥현(Bae, Ok-hy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인간 Vol.6 No.1

        본 연구는 경상북도 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직업 교육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우리사회에서 유능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청소년기(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와 각 분야별로 활동하고 있는 방문지도사, 실무자, 공무원 및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진로지도나 직업교육 또는 취업체험에 대한 구체적이고 밀착적인 요구사항 파악을 통해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인식전환 및 생활환경, 학습 여건의 우선적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부교육 및 부모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관들과의 연계와 지역사회의 협력체계를 통한 다문화자녀역량강화 채널의 다양화 및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가족 및 선주민들에게도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이 다문화가족 및 선주민들에게도 강화·확대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자녀의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과 이중언어 대회 및 캠프를 통해 이들의 강점을 강화하고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지지기반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다문화자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학교 내학급임원이나 회장단 선거 및 청소년 관련 위원회 위원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권장한다. 일곱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 내 다문화 부부, 부모-자녀, 고부관계 등 가족체계 기능을 높이는 ‘가족통합’ 서비스 지원을 마련한다. 여덟째, 공급자 중심의 지원 패러다임에서 수요자 중심의 참여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find ways to foster qualified human resources in our society by considering the provision of customiz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tudy targets parents of children with childr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visiting counselors, practitioners, civil servants, and teachers.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multicultural family attitudes, living environment, and learning conditions first. Second,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s ’education and parental assistan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ir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and expand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multi-cultural youth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Fourth,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extend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colleges. Fifth, they should strengthen their strength through the gam programs and strengthen their strengths through dual language competitions and kaempeu programs and Sixth, it is recommended to promote a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target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executives or Seventh, we provide support for family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multicultural couples, parents and gobu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Eighth, the ja Support paradigm suggests a shift from suyo to ja participation paradigm.

      • 학령기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주의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분석 및 개발 방안 연구

        이윤정(LEE, Yuon-Ju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인간 Vol.5 No.2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한국 사회가 좀 더 좋은 방향으로 변할 수 있도록 사회 다각도에서 노력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7차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목 교재 내용을 통해 다문화 교육을 도입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에서도 한국어라는 언어적 도구를 통하여 다문화 배경을 지닌 한국어 학습자들이 인종·문화가 다른 다양한 화자들과 자기의 문화와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통해 다문화이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에게 다문화주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주의 이해능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7차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다문화주의와 관련한 내용을 많이 확장시키고 있었지만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에는 다문화주의와 관련한 내용이 많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성방안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마련하였다. Change is inevitable to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society is a bit better through these changes direction can change in multipronged effort to society. Seventh amendment to diffuse the awareness of the field of education, multicultural curriculum subjects and introduc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extbook cont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anguage learners through a linguistic tool called multicultural backgrounds Korean speakers and their cultures and different races and cultures are different. Multicultural literacy by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thoughts could impr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cultural background to learners of multiculturalism national level in order to improve literacy curriculum and analyzed the standard Korean curriculum.This Korean language for multiculturalism based on the literacy curriculum development suggested. The national curriculum level 7 Cha from 2015 increasingly expand a lot of content related to multiculturalism, but by revising curricula in Korean curriculum standards.Wanting a lot of content related to multiculturalism can tell.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into the curriculum construction plan based on and analysis was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