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ing Images of Medieval Women Saints : From St. AEthelthryth to Margery Kempe of Lynn

        Sono MORISHITA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6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8

        성인전과 특히 지역사회에서 추앙되는 숭배는 당시대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마저리 켐프의 책에 기록된 성녀 에셀드레다와 마저리 켐프의 생애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세 영국의 유명한 여성들인 성녀 에셀드레다와 마저리 켐프는 상당히 대조적인 인물이다. 이어서 성녀 에셀드레다의 생애와 마저리 켐프의 책을 비교함으로써 앵글로 색슨 시대에서부터 중세 말기까지 성녀들의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성녀들의 이미지는 변하고 있다. 성녀 에셀드레다와 마저리 켐프의 이미지는 사뭇 달라 보이지만 유사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녀들의 이미지는 당시대 여성들의 사회적·종교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Hagiographies reflect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especially the cults being practiced in the local community. In this paper, I will first examine the lives of St AEthelthryth and Margery Kempe, as documented in the Book of Margery Kempe. St. AEthelthryth and Margery Kempe are both famous women from medieval England, and they are quite contrasting women. I will then compare the life of St. AEthelthryth and the Book of Margery Kempe, to illustrate the changing image of female saints from the Anglo-Saxon Age to the late Medieval Age. Image of women saints changes. Images of St. AEthelthryth and Margery look different, but both images reveal similar problems, and both images give us clues to help us understand women’s social and religious circumstances in those days.

      • KCI등재

        Reading Richard Rolle’s Officium : The Life and Miracles of an Uncanonized Hermit in Medieval England

        Sono MORISHITA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9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4

        본 논문은 종교 생활의 이상적인 상이 어떻게 변했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 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막의 교부들의 살아온 금욕적인 삶의 기원과 성 베네딕트 계율을 검토하고, ‘사도적 삶’을 부활시키고자 했던 움직임에 대해 살 펴본다. 이어서 중세 은둔자의 전형적인 인물인 리차드 롤 (1349년 몰)의 삶과 그가 행한 기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중세 은둔자에 대한 정의는 불분명하 다. 시대마다 은둔자의 모습이 달랐기 때문이다. 리차드 롤의 경우를 통해 이전 시대와 비교하여 중세 말 은둔자의 모습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볼 수 있다. At the Seventh Korean-Japanese Symposium on Medieval History of Europe, I considered the gender bias problem of medieval religious women. It was not satisfactory, because I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male counterpart. In this paper, I will reconsider changing images of idealistic religious lives, firstly by studying the origin of ascetic lives of the Desert Fathers, secondly by studying The Rule of St. Benedict, and thirdly by studying ‘Vita Apostolica’ movement and revival of anchoritic life. Then, I will focus on writings about the life and miracles of Richard Rolle of Hampole (d.1349). Richard Rolle of Hampole is a good example of a medieval hermit. His social status appeared high, but his writings show his defensive tone. Medieval hermit is/was marginalized too, and the definition of hermit itself is not clear, because it has been changed. His canonization was failed, but his Life and Miracles show us complex images of medieval hermit.

      • KCI등재

        중세 이스트 앵글리아 지방의 종교 여성들 -고립화라기보다는 주변화

        모리시타소노 ( Sono Morishita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0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26

        논문 제목인 ``종교 여성들``이라는 용어는 중세사가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종교 여성들``이라는 용어는 중세 사회에서 ``수녀``, ``은둔자``, ``서약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모든 유형은 역사 연구의 주제가 되어왔다. 수녀와 수도승, 그리고 남성 은둔자와 여성 은둔자 간의 문화적 사회적 차별성은 학문적으로 동의되어 온 바이다. 역사적으로 무시되어진 여성을 구원하기 위한 일은 여성사를 구축하는 것으로, 교회사 속의 여성들을 조명해 보는 것이다. 줄리아 노리치와 마저리 켐프 린은 양자 모두 중세 시대에 노퍽 지방에서 유명한 종교 여성들이었다. 그들의 성격과 이미지는 각기 서로 상반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말해서, 마저리는 신학자들로부터 매우 비판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여성 학자들에 의해서는 높이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다. 이 두 여성은 꽤나 문제를 제기하는 여성들이다. 왜냐하면 줄리아의 저작은 굉장한 것이었으나 그녀 자신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것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줄리아가 중세 시기에 가장 유명한 ``은둔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을지라도, ``은둔자`` 줄리아와 그녀의 집단 간의 연관성을 드러내는 어떤 단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역사적 사료의 부재는 일부 종교 여성들을 우리의 시야에서 비가시적인 것으로 만든다. 동시에 종교 여성들에게 근대적인 용어를 적용하면 그들의 일부에 대해 지나치게 과대평가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의미에서 줄리아 노리치와 마저리 켐프 린은 모두 주변화된 종교 여성들이다. 이들 종교 여성들은 근대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중세 세계라는 도식 속에 소수집단으로 분류되어 버렸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