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W. M. Tharanga Dilruk Ranasinghe,정준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2

        Popularly known to be origina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curation is widely applied in many other fields ranging from curation commerce to curated databases by today. Libraries also have started to provide different types of curation services such as data curation, digital curation, content curation, book curation, and social cur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ation service and the library service is not adequately studied and documente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at gap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ation service and the library service.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uration service and library reference service. The research methods used by this study were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some carefully selected real-world examples of curation services in libraries and other fields. The authors have analyzed and documented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wo concepts, the challenges faced by library reference service, and the applicability of curation as a modest form of library reference service in the 21st-centur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is paper concludes that curation service is not a new concept for the library but a natural evolution of the library reference service in response to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user expectation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도서관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참고서비스의 혁신인가? 진화인가?

        Ranasinghe, W.M. Tharanga Dilruk,Chung, Jun M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2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 알려진 큐레이션은 오늘날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큐레이션 데이터베이스까지 다양한 다른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서관도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북 큐레이션, 소셜 큐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는 적절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비스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와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도서관 참고서비스가 직면한 과제와 큐레이션의 적용가능성, 두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논문은 큐레이션이 도서관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대응한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제안한다. 게다가 도서관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혁명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 Popularly known to be origina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curation is widely applied in many other fields ranging from curation commerce to curated databases by today. Libraries also have started to provide different types of curation services such as data curation, digital curation, content curation, book curation, and social cur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ation service and the library service is not adequately studied and documente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at gap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ation service and the library service.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uration service and library reference service. The research methods used by this study were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some carefully selected real-world examples of curation services in libraries and other fields. The authors have analyzed and documented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wo concepts, the challenges faced by library reference service, and the applicability of curation as a modest form of library reference service in the $21^{st}$-centur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is paper concludes that curation service is not a new concept for the library but a natural evolution of the library reference service in response to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user expectation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박주현,Park, Juhyeon,Ranasinghe, W.M. Tharanga Dilruk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eded to impro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r students and citizens through changes in the concept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nd its Assessment Framework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ing of PISA Reading Literacy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Second, concept and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the whole process of reading. Third, the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a number of factors similar to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model like Big6 Skill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Fourth, the digital reading is reflected in the Assessment Framework. The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required for librarians to develop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models and assessment frameworks to improve citizens'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