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소아청소년 중독 환자의 경향: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

        이경재 ( Kyeongjae Lee ),김경환 ( Kyung Hwan Kim ),신동운 ( Dong Wun Shin ),박준석 ( Junseok Park ),김훈 ( Hoon Kim ),전우찬 ( Woochan Jeon ),박준민 ( Joon Min Park ),김현종 ( Hyunjong Kim ) 대한임상독성학회 2017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features of infant, child, school aged and adolescent patients treated for acute poisoning in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s (E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data pertaining to patients under 19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for acute poisoning in nationwide EDs from 2013 to 2015.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fant and child group’ (0 to 5 years), ‘school age group’ (6 to 12 years) and ‘adolescent group’ (13 to 18 years). General characteristics, Korea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7<sup>th</sup> (KCD-7) codes and results of care were collected. Results: There were 14,500 pediatric poisoning cas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istribution of patient age was bimodal with two peaks among infant, child and adolescent group. The proportion of alert mentality at the ED visit of the infant and child group was 99.3%, while that of the adolescent group was 86.4%. The proportion of intentional intoxication was higher in the adolescent group (40.7%) than other age groups. Among children less than 13 years of age, various poisonous substances and therapeutic drugs were common. Conclusion: There were some clinical differences in acute poisoning patients between age group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eventive pla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by age. Since the KCD-7 code has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oisoning pati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gistration system of poisoning patients.

      • Theoretical Study of the Electron Transport in Graphene with Vacancy and Residual Oxygen Defects after High-Temperature Reduction

        Lee, Geunsik,Kim, Kwang S.,Cho, Kyeongja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1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 Vol.115 No.19

        <P>It is known that a high-temperature reduced-graphene-oxide (HT-RGO) exhibits 3 orders of magnitude increase in the conductivity compared to original graphene oxide but still 3 orders of magnitude below the value of pristine graphene. Substantial amounts of defects that remain in the reduced sample are responsible for the inferior transport quality. On the basis of the defect model which involves C vacancies and the O substitution of edge C atoms, we study the electronic structure and conductivity of HT-RGO using nonequilibrium Green's function theory in tight binding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schemes. It is shown that electrons are localized within 10–40 nm due to vacancy defects. We also discuss the transport behavior via such localized carriers in connection with recent experimental findings.</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jpccck/2011/jpccck.2011.115.issue-19/jp111841w/production/images/medium/jp-2010-11841w_0002.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jp111841w'>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이경자(Lee, Kyeongja),유정민(Yoo, Jung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I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고 나아가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해 대면 수업과의 차별적 인식을 조사하고,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실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들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평가결과는 대면 수업과 차이가 없거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등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이중적인 인식 기준을 보였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평가 공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며, 연구대상 학생들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경험에 따른 교육 경험이 평가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비대면 수업에 있어 수업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수자의 현존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 등을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형 수업 설계를 제안하며, 비대면 평가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별화된 평가방식의 개발 및 비대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화된 교육 형태의 개발과 개별화된 교육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및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ensure their quality. It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 fac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result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discover what importan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thes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believe that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face-to-face classes. They conside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of non-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iated from face-to-face classes. However, they do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when it comes to actual evaluation results, and they were even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results under non-face-to-face systems, showing a degree of duplicity in their assessment. Further, they consider evaluation method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These results are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ifferent class experience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blended learning system should be adopted for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a shortage of actual conta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 also suggest that universities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applying various online educat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must now cope with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providing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후보
      • Atomic Layer Deposition of Dielectrics on Graphene Using Reversibly Physisorbed Ozone

        Jandhyala, Srikar,Mordi, Greg,Lee, Bongki,Lee, Geunsik,Floresca, Carlo,Cha, Pil-Ryung,Ahn, Jinho,Wallace, Robert M.,Chabal, Yves J.,Kim, Moon J.,Colombo, Luigi,Cho, Kyeongjae,Kim, Jiyoun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2 ACS NANO Vol.6 No.3

        <P>Integration of graphene field-effect transistors (GFETs) requires the ability to grow or deposit high-quality, ultrathin dielectric insulators on graphene to modulate the channel potential. Here, we study a novel and facile approach based on atomic layer deposition through ozone functionalization to deposit high-κ dielectrics (such as Al<SUB>2</SUB>O<SUB>3</SUB>) without breaking vacuum.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functionalization have been studied theoretically using <I>ab initio</I> calculations and experimentally using <I>in situ</I> monitoring of transport properties. It is found that ozone molecules are physisorbed on the surface of graphene, which act as nucleation sites for dielectric deposition. The physisorbed ozone molecules eventually react with the metal precursor, trimethylaluminum to form Al<SUB>2</SUB>O<SUB>3</SUB>. Additionally, we successfully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dual-gated GFETs with Al<SUB>2</SUB>O<SUB>3</SUB> of sub-5 nm physical thickness as a gate dielectric. Back-gated GFETs with mobilities of ∼19 000 cm<SUP>2</SUP>/(V·s) are also achieved <I>after</I> Al<SUB>2</SUB>O<SUB>3</SUB> depos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zone functionalization is a promising pathway to achieve scaled gate dielectrics on graphene without leaving a residual nucleation layer.</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ancac3/2012/ancac3.2012.6.issue-3/nn300167t/production/images/medium/nn-2012-00167t_0007.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nn300167t'>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도암호 유역 소하천에서 탁수 발생지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권혁준 ( Kwon Hyeokjoon ),이재완 ( Lee Jaewan ),임정하 ( Lim Jungha ),우수민 ( Woo Soomin ),김종건 ( Kim Jonggun ),임경재 ( Lim Kyeongjae ),홍은미 ( Hong Eunm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도암호 유역은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강우시 토사 유실로 인한 수질오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역이다. 기존 도암호 유역에서는 유역 말단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한 유량가중평균농도 산정 또는 모형을 이용한 모의유출로 유역 말단부 오염부하량 산정 등과 같은 연구가 주로 행해졌으며, 유역 전체 하천을 대상으로 오염물질 발생원 모니터링을 수행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 8월 15일 강우 모니터링과 2019년 10월 18일 비강우 모니터링을 하였으며, 이후 SS(Suspended Solid), 탁도, TP(Total Phosphorus), TN(Total Nitrogen),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항목의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시료를 바탕으로 조사지점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우시 전체 지점에서 고농도 탁수가 발생했으며, 하천별 오염물질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횡계천은 전체 유역 중 SS 평균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농도 탁수가 발생한 지역은 대부분 고랭지밭 부근이였다. 반면 비강우시에는 하천공사가 진행된 곳을 제외하고 탁수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도암호 유역 중 고농도 탁수 발생지역에서 오염물질 발생원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관리기법 적용으로 탁수 배출 저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SCIE
      • 머신러닝을 활용한 유역단위 하이브리드모델 개발 및 평가

        박상준 ( Sangjoon Bak ),이서로 ( Seoro Lee ),이관재 ( Gwanjea Lee ),정연지 ( Yeonji Jeong ),금동혁 ( Dong Hyuk Kum ),류지철 ( Ji Chul Ryu ),임경재 ( Kyeo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다양한 수문연구에서 유량 및 수질을 모의하기 위해서 수리 수문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유역단위 수리 수문 모델은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in Fortran),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L-THIA ACN-WQ (The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Model with Asymptotic Curve Number Regression Equation and Water Quality model)등 다양한 수문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역 모델을 통한 모의는 다양한 연산 과정을 진행하여 모의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머신러닝/딥러닝을 이용한 유출 및 수질 예측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단순 머신러닝/딥러닝 기반 모델링 기법은 점단위인 최종유출구에서의 예측만 가능하다. 이는 하천 라우팅 등 선단위 모델링과 최적관리 기법 적용 등과 같은 면단위 모델링이 어려워 더욱 정확한 유량/수질 모의 및 유역관리 방안을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머신러닝/딥러닝을 통해 일부 수문 프로세스를 대체하고 소유역별 하도추적 기법을 연계하여 유량 및 수질 항목들의 모의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비점오염물질측정망(N도진)이 설치되어있는 지점의 유량을 모의하여 모델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모델은 머신러닝/딥러닝이 유역 모델의 일부 연산 과정을 대체하여 모의시간이 빠르며, 기존 머신러닝/딥러닝 예측 모델에서 평가가 어려웠던 유역 관리 방안 및 최적관리기법 적용 평가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