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ynergistic mechanism of natural products in the insecticidal activity

        Jun-Hyung Tak(탁준형) 한국농약과학회 2022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11

        The repeated insecticides application in the agricultural practice often results in the undesired development of resistance. In some cases, selection of the insecticides belonging to different classes to slow down the development process would not be possible if the numbers of insecticides registered for certain crops or animals are limited, leaving no choice but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active ingredients or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This will lead to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purchase costs of commercial insecticides, illegal use by overdosing than allowed, or even adverse effect on the environments, along with humans and wild animals. Research on synergistic effect would be beneficial since it can reduce the amounts of insecticide usage. Plant extracts and essential oils are complex mixtures of various constituents, which sometimes exhibit complicated interaction among the constituents. They are frequently reported to be synergistic not only among the constituting compounds but also to synthetic insecticides. Several synergistic mechanisms were proposed to elucidate the underlying enhanced bioactivity, including the increase of cuticular penetration, multiple modes-of-action, or inhibition of detoxifying metabolism. Several studies provide supporting evidence, while others seem not clearly explaining the synergistic interaction.

      • 살생물제품내 유효성분 함량 설정을 위한 효능 시험방법 개발 사례: 살충제 및 기피제

        탁준형(Jun-Hyung Tak),이민진(Minjin Lee)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화학제품안전법 시행과 더불어, 살충제와 기피제의 대상 생물의 범위는 모기, 파리 등 기존 약사법에 의거하여 관리되어 오던 의약외품 살충제 및 기피제의 구제 대상인 위생해충을 비롯하여 쌀벌레류, 좀벌레류, 날벌레류 등 질병을 매개하거나 인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해하지는 않으나 가옥 내 발생하여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불쾌해충까지 대상 해충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신규 관리대상을 방제하는 살생물물질 및 살생물제품의 경우 이전까지 일반공산품으로 판매되어왔으며, 이들에 대한 효력 및 인체 안전성에 대한 기준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진은 최근 기존 법적 비 관리 해충에 대한 방제제의 효력시험 기준을 확립하였으며, 이와 함께 기존 의약외품 살충제의 효력시험법을 검토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특히, 좀벌레류를 방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옷장용 및 서랍장용 방충제의 경우 제조사에 따라 제품 내 유효성분 함량에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실사용 조건에서 목적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의약외품 살충제인 에어로졸, 액체전자모기향, 매트전자모기향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된 효력시험법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평가한 경우 준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냈으나, 실사용 조건을 모사한 시험공간에서는 살충효과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Toxicity and Repellent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Blending Effects Against Two 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Koch

        윤준호,탁준형,Yoon, Junho,Tak, Jun-Hy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3

        Miticidal and repellent activity of twenty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e adults of two 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were examined. Sandal wood oil was the most potent one in mortality, whereas clary sage oil exhibited the greatest repellent activity. On those twenty essential oils tested,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oxicity and repellency was observed. When the most active oils were blended, the combinations tend to exhibit antagonistic interactions in both toxicity and repellent activity.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andal wood oil and clary sage oil were identified via GC/MS analyses, and the major constituents of sandal wood oils were sesquiterpene compounds, whereas the major ones for clary sage oil were monoterpenes. Among the major components in clary sage oil, linalyl acetate was not only the most abundant constituent, but also the most responsible one for its repellent activity. 본 연구에서는, 20종의 식물정유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활성 및 기피활성을 확인하였다. 살비활성 평가에서는 샌달우드 오일이, 기피활성 평가에서는 클라리 세이지 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평가에 사용한 20종의 식물정유간에는 살비활성과 기피활성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높은 활성을 나타낸 정유들의 혼합시험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조합이 서로간에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샌달우드 및 클라리 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은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샌달우드는 세스퀴터펜류가, 클라리 세이지 오일은 모노터펜류가 주종을 이루었다.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 중에서는 linal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정유가 기피효과를 갖는 주된 효능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