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모로코 경제 현황 연구

        조화림 ( Cho Hwarim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1

        본 논문은 모로코 모하메드 6세의 ‘국가모델구상정책’과 모로코 경제 현황을 분야별로 조망하고 코로나 19팬데믹 이후 모로코가 아프리카 경제 발전에 하나의 롤모델이 될 수 있는지, 또 모로코식 경제 개발 모델이 지닌 한계는 무엇인지를 실업 문제와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17년 모로코 고용노동부는 120만 개 일자리 창출, 100만 구직자들의 고용 확대, 50만 명 이상의 구직자를 위한 유급 일자리 지원, 2만 개 이상의 소기업 창업 지원, 46% 이상의 경제활동 비중을 유지하기 위한 국가계획 (PNPE 2017-2021)을 발표했다. 20세기 후반부터 아프리카 경제의 새로운 주자로 부상한 모로코는 지난 50년 동안 시장경제와 국가 보조를 받는 민간부문에 집중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왔다. 또한 개방 정책에 따라 모로코식 고유 모델을 채택하고 자유주의 모델을 도입하며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합류했다. 그러나 확실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모로코의 산업 부가가치 성장률은 국내총생산의 성장에 비례하지 못하고 충분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못했다. 모로코 중앙은행과 경제사회환경위원회도 최근 보고서에서 국내 경제를 견인하는 대중 관광과 집약 농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모로코가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 세계가 아프리카의 성장 가능성과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는 이 시점에 모로코가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를 견인할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역내외 생산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 수립 및 혁신적인 경제외교 정책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R&D 강화, 그리고 소외계층을 적극적으로 우대하며 포괄적인 산업화를 보장하는 ‘새로운 발전모델’ 구축이 시급하다. African economies appear to be “growth drivers” for Western economies affected by the 2008 crisis, especially with the return of powerful players in Africa,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mergence of new powers such as China, India among others, which strengthens competitions and exacerbates interests. The Moroccan economy as it stands today is the result of founding choices that, almost half a century ago, made the double bet of a “liberal” development model driven by both the private sector and the opening up o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the service of these choices, the State has deployed multiple and varied public policies throughout the last decades, with the aim of ensuring its succ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ign of Mohammed VI did not mark a break from that of Hassan II, but registered an inflection that allowed a certain dynamism of the economy and an awareness of the difficult living conditions of a large part of the population. In fact, new initiatives are being taken to accelerate a dynamic (such as infrastructure investment, trade liberalization), break down an existing policy framework (replace the national plan with sector plans) or introduce new governance that is more in tune with the times but democratically problematic. The difficulty of the Moroccan economy in reducing its current account deficit is due to a multitude of factors, including the lack of export dynamism and the low sophistica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FDI with low capacity-based effects in addition to certain aspect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policy and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exchange rate policy. However, developments corroborate the observation that the national growth model is becoming less inclusive through employment, especially sinc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jobs created are in low-skilled and precarious jobs and, therefore, cannot be genuine vectors of social ascent. As a result, young people continue to suffer from major difficulties in accessing employment, with their unemployment rate 2.6 times the national average and above 40% in urban areas. This situation refers, in particular, to the limited impact of the various youth integration programmes and calls into question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integrated and long-term vision for youth employment. In the same vein, the weakness of entrepreneurship helps to reduce the scop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Indeed, the various obstacles faced by young project owners mean that the rate of business creation remains limited in Morocco, especially since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called ≪entrepreneurs by necessity≫ who have opted for entrepreneurship as a last resort in the absence of opportunities in wage-earning, remains significant in Morocco. It would therefore be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rategy, so that Morocco could play a pivot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frican continent, allowing opportunities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s well as that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different social and African str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