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안군 비금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 및 생산량(Biomass)에 관한 연구

        양효식 한국습지학회 2006 한국습지학회지 Vol.8 No.2

        하천은 지구상에서 풍부한 생산량을 가지며 다양한 생물이 어우러지는 생태 ․ 기능적 상호작용 및 상호 연결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역동적인 연결생태계로서 생물 종들의 이동과 산포의 생태통로(eco-corridor)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환경부, 1995). 하천이나 농경지수로의 하변(riparian) 공간은 육상과 수계의 생물군집을 공유하는 추이대(ecotone)로 인식되며 다양한 생물종의 생활공간이다(Malanson). 그러나 오늘날 인구의 증가에 따라 도시화와 산업화가 시작된 이후 도 ․ 농의 하천이나 수로는 복개나 직강화로 하천변의 동 ․ 식물이 살수 없는 콘크리트 구조물화 함으로써 생태계의 파괴 및 생물종다양성의 하락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 梅花島의 植生에 관한 生態學的 硏究

        李浩俊,梁孝植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0 理學論集 Vol.15 No.-

        梅花島의 植生調査는 1989年 6月부터 9月까지 現地踏査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植生은 Braun-Blanquet의 방법에 따라 調査하였고, 군락의 구분은 Ellenberg등의 방법에 따라 分類하였다. 調査地域의 森林植生은 곰솔群落과 굴참나무群落으로 分類되었으며, 곰솔群落은 典型下位單位와 각시그령下位單位의 2가지 類型으로 區分되었고, 鹽生植物은 순비기나무群落, 갯능쟁이群落, 칠면초群落, 천일사초群落, 갯메꽃群落 및 모래지치群落 등 6개의 群落으로 區分되었다. 한편 이 地域의 植生은 곰솔林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現存植生圖는 곰솔林과 耕作地가 대부분이었다. 綠地自然度는 等級 6과 2인 地域으로 양분되었다. 그러나 섬주민의 감소와 연료의 대체로 인해 森林의 피해가 줄어들고 있어, 점진적인 森林의 回復으로 곰솔林이 사라지고고 나면 이 지역의 自然植生으로 생각되는 落葉闊葉樹林으로 遷移가 進行되어 갈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綠地自然度 等級 또한 上昇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Maehwa-do Islet were investigated on the spot from June through September, 1989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surveyed is classified into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former of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typical subunit and Eragrostis japonica subunit, respectively. Halophytic vegetation comprises 6 communities such as Vitex rotundiforia, Atriflex subcordata, Suaeda japonica, Carex scabriforia, Calystegia soldanella and Messerschmidia sibirica. Vegetation of this area is dominated by Pinus thunbergii forest and the actual vegetation map shows the predomination of Pinus thunbergii forest(51.5%) and arable land(48.5%).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s divided into 6 and 2 in grade,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 Pinus thunbergii forest disappears with the gradual recovery of forests as the inhabitants of the islet decrease and the damage of forests is reduced due to the substitution of firewood, it may be foreseeable that the succession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which is believed to be the natural vegetation of this islet area will take place and that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also will rise in grad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양효식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2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26 quadrats, the pine forest was classified two communities and six subcommunities : Ardisia japonic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lsodon japonicus -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arfugium japonicum subcommunity, Quercus serrata sub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of Ardisia japonica - P. densiflora community, Juniperus rigida subcommunity, Pourthiaea villosa subcommunity and Typical subcommunity of lsodon japonicus - P. densiflora community. The subsidiary knowledges from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clarify the syntaxonomy of natural pine fore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 KCI등재
      • 溪谷川의 植生에 관한 硏究

        임병선,양효식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6 沿岸環境硏究 Vol.13 No.1

        This studies were investigated by Braun-Blanquet in Gyekok-chon, Haenam-gun from March to October, 1996.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otal 18 community types as follows : A Submerged hydrophytes, A1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 A2 Pota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community, A3 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 B Flaoting hydrophytes, B1 Nuphar japonicum community : C Emergent hydrophytes, C1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C2 Zizania latifolia community, C3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C4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C5 Paspalum thunbergii community, C6 Scirpus fluviatilis community : D Roadside grassland, D1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D2 Imperata cylindria var. koenigii community, D3 Pennisetum alopecuroides community, D4 Leptochloa chinensis community, D5 Humulus japonicus - Percicaria hydropiper community : E Riverside tree forest, E1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E2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E3 Amorpha fruticosa community.

      • KCI등재후보

        신안군 임자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에 관한 연구

        양효식 한국습지학회 2008 한국습지학회지 Vol.10 No.1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 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피군락, 나도겨풀군락, 흑삼 릉군락, 미나리군락, 물피군락, 골풀군락, 사마귀풀군락 및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은 마름군락,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군락과 개구리밥군락, 침수식물은 물수세미군락 및 가래군락으로 총 15개 군락이 식별되었다. 임자도의 수생 관속식물군락 중 흑삼릉군락의 출현이 특이하다. A study of the vascular hydrophyte communities was undertaken in the wetlands of Imjado, Shinangun,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15 communities. Among them, emergent hydrophytes consisted of 9 communiti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Paspalum disticum var. indutum community, Sparganium erectum community, Oenanthe java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Aneilema keisak community and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floating hydrophytes 1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free-floating hydrophytes 2 communities including Lemna paucicostata 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and submergent hydrophyte 2 community, including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 and Potamogeton distinctus community.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the wetland of Imjado wa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structure of aquatic plant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