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ree-Dimension Land Boundary Range Establishment and Public Announcement Method

        Kim, Hong Taek(金鴻澤),Baek, Seung Cheol(白承喆),Jang, Jin Woo(張眞瑀)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토지이용이 고도화ㆍ입체화됨에 따라 더욱 요구되어지는 3차원 토지경계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시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3차원 토지경계는 입체적 토지경계로써, 지표뿐만 아니라, 지상과 지하공간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토지경계로 볼 수 있었다. 먼저, 지상경계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표에 대한 토지등록 형태에서 벗어나, 지적측량을 실시하여 그 측량결과를 공적장부에 입체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였다. 지하경계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지표와 지하공간 사이에 대한 높이값(층간 간격)이 고려된 지적측량과 지하공간에 설정되어 있는 각종 권리관계의 면밀한 조사ㆍ분석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지하공간과 지상공간에 대해 경계를 정확히 구획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시하기 위해서는 지하와 지상공간의 이용 등에 관한 각종 규정을 담고 있는 해당 법률관계의 검토가 필요하였다. 또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범위 설정 기준이 요구되었으며, 정확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의 입력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 필지에 대한 각종 등록사항을 규율하는 근거법인 지적법의 개정 작업 내지는 별도의 특별법을 제정(가칭 “입체적 공간정보에 관한 법률”)하여 입체적으로 토지경계를 등록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patial range of three-dimensional land boundary which is increasingly demanded as land use evolves toward ever increasing heights and cubic dimension, and to propose efficient public announcement methods on such basis. The research result has shown that three-dimensional land boundary, as a cubic land boundary, may be viewed as land boundary that includes not only ground surface but also above ground and basement space. First off, to establish ground boundary range, there needs be system that can register the result of cadastral measurement in public record book cubically by performing measurement of cadastral information beyond the existing land registration of ground surfac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boundary range required cadastral measurement which considered the values of height(gap between floors) between ground surface and underground space detailed survey and analysis of various rights issues established on underground space. Therefore, to accurately map out the boundary of underground space and above ground space and to efficiently publicly announce such information, it was necessary to review applicable legal matters that contain various provisions on the use of underground and above ground space etc. Also, specific and clarified range establishment criteria were required, and input work of accurate 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s information was shown necessary to follow. In particular, it was shown required to pursue efficient programs to cubically register land boundary by revising Cadastral Act; the base law stipulating various registration issues on one single parcel, or by establishing separate special law(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 on cubic Space Information”).

      • KCI등재

        土地所有權의 立體的 範圍에 관한 法的 檢討

        李範寬(Lee, Beom Gwan),金鴻澤(Kim, Hong Taek) 한국지적학회 2009 한국지적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학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토지소유권의 입체적 범위를 법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을 토지소유권의 입체적 범위로 한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1992년부터 현재까지로, 내용적 범위는 토지소유권의 입체적 범위를 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접근방법은 법률적 접근방법을,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표를 중심으로 한 토지등록 형태에서 벗어나, 구체적으로 상하 효력범위를 설정한 후 이를 공적장부에 입체적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지적학 이론을 토대로 지적학의 접근방법에 의해 범위 설정이 가능할 것이며, 그 법적 근거는 토지의 조사ㆍ등록에 대한 기본법인 ‘지적법’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토지관리와 소유권을 보호하고, 토지의 상하공간에 대해 입체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법ㆍ정책적 연구, 등기제도의 정비 등과 같은 절차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gally examine three dimensional scope of land ownership based on Cadastrology approach. Study target was limited to three-dimensional scope of land ownership. The scope of time was set from 1992 to the present. The scope of contents was limited to legal examination of three-dimensional scope of land ownership. As a method of administrative approach, legal approach was us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search were used, and a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to set the concrete upper and lower scope of effectiveness and to register this to the official register book, deviating from existing indicator-oriented land registration, scope could be set with the cadastrology approach based on cadastrology theory. This study also asserted that its legal ground must be ‘cadastrial law’ which is the basic law for research and registration of land. Furthermore,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land, protect ownership and to set three-dimensional scope for upper and lower space of the land, procedure-related studies such as studies on laws, policy and improvement of registration system must follow.

      • KCI등재

        獨島敎育의 評價와 發展方向 硏究 : 慶一大學校를 中心으로

        李範?(Lee, Beom Gwan),金宗南(Kim, Jong Nam),金鴻澤(Kim, Hong Teak) 한국지적학회 2009 한국지적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독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독도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독도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도출된 문제점을 평가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조사대상을 경일대학교로 한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06년 3월부터 현재까지로, 공간적 범위는 국내로, 내용적 범위는 독도교육의 평가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접근방법은 역사적 접근방법을,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사례조사법을,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일대학교 부동산지적학과와 독도·간도교육센터의 독도교육은 다채로운 체험교육(탐방교육, 독도모형설명교육, 독도퍼즐대회, 독도골든벨대회, 특수교육)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수강생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독도적보의 표준화·체계화·현대화가 시급하고 둘째, 독도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재 개발이 요구되며, 셋째, 독도교육의 방향(내용, 방법)이 명확하게 정립될 필요가 있었다. 넷째, 독도 전문가의 양성이 시급하고 다섯째, 독도에 관련된 내용 및 정보들이 각종 기업체 입사시험 등에 지문 형식 등으로 축제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여섯째, 기업체 연수원, 교육원 등에 독도강좌 개설을 유도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Dokdo education and based on the finding, draw out problem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by evaluating the problems. The target of the study was limited to Kyungil University and the time scope was from March 2006 to the present. The study's spatial scope was limited to Korea and the scope the content was limited to evaluating Dokdo education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As for the research method, historical approach,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studie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epartment of Real Estate & Cadastrology and Dokdo & Gando Education Center are motivating students through various experience educations (Inspection Education, Dokdo Model Illustration, Dokdo Puzzel Competition, Dokdo Golden Bell Competition, Special Education) The university is induc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ety of programs and it is getting good evaluation from the participants. The suggested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standardization, systemat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information on Dokdo are urgently needed. Second,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material for Dokdo education is required. Third,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need to be clearly defined. Fourth, nurturing of Dokdo experts is urgently needed. Fifth, we should search for the ways where Dokdo related questions can be ask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corporations. Sixth, we need to induce corporations' training and education centers to hold Dokdo related lectures.

      • KCI등재

        國ㆍ公有地의 效率的 管理方向에 관한 硏究 - 慶尙北道를 中心으로

        李淑子(Lee Suk Ja),李範寬(Lee Beom Gwan),金鴻澤(Kim Hong Taek)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ㆍ공유지의 관리ㆍ운영 실태를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평가하여 효율적인 관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을 국ㆍ공유지로 한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1950년 4월 8일부터 현재까지로,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 지역으로, 내용적 범위는 국ㆍ공유지의 효율적인 관리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을,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BR>  연구 결과, 관리 조직적 측면에서의 평가로는 국ㆍ공유지 관리담당공무원의 전문성 결여, 국ㆍ공유지 관리조직 체계의 비효율성, 담당공무원의 책임감 결여 등을 들 수 있었고, 관리 내용적 측면에서의 평가로는 국ㆍ공유지 관리정책 수립 미흡, 국ㆍ공유지의 정확한 실태 조사 미흡, 구체적ㆍ체계적인 국ㆍ공유지관리 업무내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리 조직적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관리방향으로는 국ㆍ공유지 담당공무원의 전문성 확보, 국ㆍ공유지관리 조직의 효율성 확보, 국ㆍ공유지관리 담당공무원의 책임감 있는 업무수행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내용적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관리방향으로는 중ㆍ장기적 국ㆍ공유지관리 정책 마련, 국ㆍ공유지 현황에 대한 정확한 전수조사 및 실태조사 실시, 표준화된 국ㆍ공유지관리 업무내용의 체계가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effectively manage the public land through evaluation of the subsequent problems with the managerial affairs of the public land, based on the study resul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after restricting the region within Kyung sang buk do. Therefore, to satisfy the study purpose effectively, the voluntary settings are as followings. The overall study scope is limited only to the public land. The scope of time is set from 8th ,April in 1950 when the national property Act was initially created up to now. The spatial scope is restricted within Kyung sang buk do. The scope of contents is limited by suggesting an effective way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land after evaluating the shown problems. A method of administrative approach is used to research and analyze the subject matter more effectively. A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a method of documentary reference and Internet use and a case method are also used for the acquirement of data needed.<BR>  With the scope and methods used, The results that are evaluated both in organization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are as followings.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problems, It seems that the public officers in charge of public land maintenance are in lack of specialty in evaluation of the problem with managerial offices. The supervision system of the public land is literally ineffective. The public officers in charge are in lack of responsibility for their work. In terms of content management problems, A policy act for the public land management is not outstanding. An exact investigation into public land is not to the satisfying extent. Works done for the public land control are insufficient. To manage the public land more effectively, On the basis of the evaluated results, it is suggested as followings. In terms of organizational aspects, More specialty of the public officers in charge of it is required. Effectiveness of managerial organization is required. More responsibility and ability to get the jobs done are required. In terms of content aspects, A long-term based managerial policy for the public land maintenance is urgently required. An exact investigation into the public land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the public land maintenance should be much more systematized and ro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