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선교사 은퇴 후 복지 문제

        황윤일(Yoon i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8 No.-

        한국교회는 198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적극적으로 해외선교사 파송을 하였고 현재 전세계에 약 2만2천여 명의 선교사를 파송했다고 하며, 우리 교단의 선교사도 현재 1,125명이 선교현장에서 사역하고 있다. 이제 한국교회의 선교가 한 세대(30년)을 보내게 되었고, 선교지로 떠났던 젊은 청년 선교사들은 노령기를 맞아 선교현장에서 은퇴해야 할 시기에 도달하게 되었으며 오늘날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의 은퇴 후를 위한 복지정책을 수립해야 할 시기에 도달하였다. 필자는 설문을 통해서 우리 교단의 은퇴 후 선교사 복지의 현실을 진단하여 보았다. 선교사들은 은퇴문제를 생각해본 경우가 70.2%이었으며 그 대책을 생각해본 경우는 63.8%였다. 즉 30% 이상은 은퇴나 그 대책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은퇴를 위하여 연금재단에 가입한 경우는 78.7%였으나 8.5%에 해당하는 선교사는 아예 연금재단에 가입조차 한 적이 없으며 12.8%는 연금을 도중에 중단한 것이 확인되었다. 선교사들이 은퇴 후에 귀국하여 살 집을 가진 경우는 17.0%이며 83.0%는 주택이 없다. 은퇴를 하면 아예 귀국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경우가 72.3%이며 그들 중 46.8%는 집이 없는 것이 이유이다. 여생을 위한 건강보험은 반수 이상(51.1%)이 가지고 있지 않다. 은퇴 후에 계속 일을 하기를 원하는 이는 85.7%에 이르고 선교지에 남아서 계속 일을 하고 싶다는 경우가 72.3%이다. 국제 선교단체인 WBT, SAM, Mision Suisa 등은 은퇴 후의 복지 대책의 하나로 은퇴 후에 계속 일을 할 수 있도록 길을 열고 놓고 있다. 본 교단의 은퇴 후 복지정책의 신속하고 분명한 수립을 기대하며 선교사와 후원교회와 총회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선교사는 먼저 은퇴가 필연의 문제라는 것을 인정하고 은퇴 후 여생에 대한 일차적 책임자로서 실제적 생활대책을 구체적으로 준비하기를 제언한다. 2. 후원교회는 선교사 파송시에 선교사의 은퇴 후의 후생복지 문제까지 고려하여 파송하길 제언한다. 3. 총회는 선교사의 파송 최종 책임자이다. 선교사 은퇴 후의 복지정책을 확실하게 수립하기를 제언한다. 연금의 의무화, 주택정책, 의료건강 보험가입 의무화를 하고 정년의 연령을 조정하라. 특히 매년 합동 은퇴식을 거행하고 은퇴 선교사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한 지속적 관리와 백의종군 선교사 제도를 개발하여 은퇴 후에도 계속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정책을 수립하기를 제언한다. Since 1988 the Korean Church has been an active participant in Global Missions, now counting with 22,000 Korean missionaries on the field. Thirty years have passed and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missionaries is now facing retirement. With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lone 51 missionaries retired at the end of 2010 and by 2015, 57 more will have retired. With no precedents for retirement in Korean Missions, both missionaries and sending churches are uncertain as to what steps need to be taken, what retirement plans should be set in place, and what role retired missionaries will take on in Korean Missions. This study assesses the current perspective and situation of missionaries regarding retirement through a survey given to 47 PCK missionaries who have served on the field for over 15 years. It was found that 78% is enrolled in some kind of pension plan, that approximately 50% count with post-retirement health care, that only 17% have housing arrangements in Korea, and that up to 72% wish to remain and continue to serve on the field. After considering these statistics and reviewing other global mission organizations’retirement plans, this study concludes and recommends the sending churches and the Korean General Assembly to set up mandatory pension plan enrollment, mandatory post-retirement benefit plans enrollment, and to open up the option for retired missionaries to continue working o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