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mployees’ Approaches to Deep Learning for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eta-competency

        박민정(Min-jung Park),홍아정(HONG, AHJEONG),Marie Volpe,김시진(Si-Jin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일터에서의 학습접근방식에 따라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습접근방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력 메타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303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학습 접근 방식은 심층학습접근, 피상-합리적 접근, 피상-무질서 접근으로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였다. 그 결과는 심층학습접근 방식이 주관적 경력성공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피상-합리적 접근방식과 피상-무질서 접근방식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층학습접근과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는 경력 메타 역량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이를 통해 조직과 인사담당자들은 구성원의 심층학습을 촉진하고 성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구성원은 새로운 업무와 교육 참여, 조직 내부, 외부의 다양한 네트워킹,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경험의 폭을 늘려가며 경력 정체성과 경력 적응성을 함께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he learning approach in the workplac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eta-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of the learning approach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tatistical analysis for 303 survey responses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In particular, the learning approach included three components: a deep learning approach, a superficial-rational approach, and a superficial-disordered approach. Th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deep learning approach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However, the superficial-rational approach and the superficial-disordered approach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ep learning approach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career meta competency. Organizations and HRD practitioners need to keenly seek ways to promote the deep learning and increase the level of reflection, and organization members should strength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adaptability by engaging in new task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various networking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주도적 경력행동을 통한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규미 ( Park Gyumi ),김정민 ( Kim Jungmin ),홍아정 ( Hong Ah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이 연구는 대학생의 주도적 경력행동이 잘 드러날 것으로 기대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서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이러한 학습 경험이 예비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면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교과 프로그램은 직업 세계로의 이행을 준비 중인 대학생이 주도적 경력행동을 통하여 실제적 학습,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학습자 성찰 등 다양한 학습 경험을 쌓는 중요한 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과 프로그램에서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는 예비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직업인으로서의 자아상을 그려보며 자신의 진로 분야에서 의미하는 전문성의 의미를 찾아가거나, 직업인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협업과 의사소통을 꼽으며,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직업인이 되기 위한 변화를 자발적으로 시도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한 실무자와의 만남은 연구 참여자들이 미지의 영역에 있는 직무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새로운 경력 경로를 확보하는 네트워크로 작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숙한 직업탐색과 진로 의사결정을 촉진할 수 있는 대학교육 방안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are expected to reveal undergraduate students' proactive career behaviors and their identity as a future worker. To this e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confirmed that an extracurricular program is a significant learning area that clearly shows proactive career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ing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skill development, and networking in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ey were also forming occupational identity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s that reflected proactive career behaviors. They realized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professionalism required in their career field. Weak ties of networking with employee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offered confidence and new career paths to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experience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participants realized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competencies which is essential for professional workers. They tried to change themselves to be good futur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univers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