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본추출이론에서 설계기반 추론과 모형기반 추론의 비교

        홍기학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4

        While the design based approach has been widely used in sample surveys the model based approach as an alternative method to improve and better estimate or predict population parameter of interest also has an very important meaning. Since those two methods have merits and demerits we can say that both of them are admissible. The purposive selection or balance sampling was suggested by Royall(1970) as an alternative method of sample selection. We compared the two sampling, the balanced sampling and the randomized one, in view of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ratio estimator. We can show that balanced sampling has merits in robustness and efficiency while randomized sampling has merits in the simpleness of selection and social recognition. 오늘날 표본조사에서 설계기반 접근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모형기반 접근 방법 또한 상당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들 두 방법은 서로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둘 다 허용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1970년 Royall에 의해 표본 추출 방법의 한 대안으로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모형기반 추론의 기반이 되는 균형 추출방법(purposive selection 또는 balanced sampling)과 설계기반 추론의 기반이 되는 확률 추출방법(randomized sampling)의 장·단점을 층화 추출법에서 비추정량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균형 추출방법은 강건성(robustness)과 효율성(efficiency) 측면에서 확률 추출방법은 추출의 간편성과 사회적 인식 측면에서 각각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것을 예감분산과 경험적 예를 통하여 나타내었다.

      • Warner모형과 Greenberg et al.모형의 새로운 비교

        홍기학 東新大學校 2002 論文集 Vol.12 No.-

        In this paper, we can see that the Dowling and Shahtman's(1975) original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the Warner model(1965) with the Greenberg et al.'s (1969) are misleading because they regarded the meaning of λ and λ' as the same. We compare these two-type models under the same value of P(yes|A), and can show that the Warner model is comparatively itself very efficient as we expected.

      • 결합 확률화응답모형

        홍기학,정영해 東新大學校 1998 論文集 Vol.10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ndomized response procedure that combines Morton's forced yes model and Greenberg et al.'s unrelated question model. Proposed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these of Mangat(1994), Warner(1965) and Greenberg et al.(1969), and it is also shown to be more protective than those of Lee and Hong(1998) and Greenberg et al.(1969) in terms of privacy.

      • KCI등재

        무응답을 고려한 직접질문방법과 확률화응답기법의 효율성 비교

        홍기학,이기성,손창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4

        It is easy to imagine someone having little difficulty in interpreting or formatting the information it asks for, but still giving the wrong answer. Survey researchers call these questions like these "sensitive", and they become more common on national surveys as researchers attempt to monitor the use of illicit drugs or the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the spread of HIV/AIDS.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to face survey method of having non-responses as an one of tools for gathering informations from sensitive population and compare it with the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We suggest a condition in which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is more efficient than the direct one by empirical study. 사회조사에서는 조사자가 얻고자하는 정보를 위해 질문을 만들고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결과적으로는 잘못된 응답만을 얻는데 그치고 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조사연구자들은 이러한 속성을 가진 질문들을 "민감한 질문"이라고 간주한다. 이러한 민감한 질문들은 연구자들이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세금회피나 약물남용, 그리고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인 HIV/AIDS 등의 조사에 더욱 관심을 가짐으로서 점점 조사항목으로서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민감한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간접조사방법인 확률화응답기법을 사용할 경우 직접질문의 경우보다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직접질문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무응답이 발생하여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민감한 모집단의 모수 추정 방법으로 무응답을 고려한 직접조사방법을 제안하고 확률화응답기법과 그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주요용어 : 면대면조사, RRT, 무응답, 응답확률, PPSWR.

      • KCI등재

        A GENERALIZED MODEL-BASED OPTIMAL SAMPLE SELECTION METHOD

        홍기학,이기성,손창균 한국전산응용수학회 2002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Vol.9 No.2

        We consider a more general linear regression super-population model than the one of Chaudhuri and Stenger(1992).We can find the same type of the best linear unbiased(BLU) predictor as that of Chaudhuri and Stenger and seethat the optimal design is again a purposive one which prescribes choosing one of the samples of size n whichhas bar x closest to bar X.

      • 표본크기가 2일 때 Brewer 추출방법과 Midzuno 추출방법의 효율성 비교

        홍기학,이기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9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19 No.-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Brewer sampling method with the Midzuno sampling method when sample size 2. We see that under the suitable range of zi the Midzuno sampling method is roughly efficient than the Brewer sampling method regradless of the population size of N, and that the Midzuno sampling method is more conviednt sampling method than Brewer sampling method.

      • KCI등재

        국내 전자상거래 통계정보의 평가와 신뢰성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

        홍기학,이기성,손창균 한국통계학회 2003 응용통계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규모의 추정치와 예측치가 각 조사기관별로 차이가 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객관화, 표준화하여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추정치에 대해 보다 신뢰성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러한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조사기관이나 연구 단체에서 발표하는 전자상거래 통계의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We analyze the factors leading to discrepancy in estimators and predictors of e-commerce size each survey institution, and then we make a evaluation criterion to obtain objective and standard results in e-commerce surveys. We would like to guarantee reliability for e-commerce statistics published by the survey institutes and the public ones by adapting the criterion which suggested.

      • KCI등재

        층화이중추출을 이용한 결합 확률화응답기법

        홍기학 한국통계학회 2004 응용통계연구 Vol.17 No.2

        We suggest a method to procure information from the sensitive population which combine a direct survey method, BB and an indirect survey one, RRT, and a combined estimator that uses the stratified double sampling to estimate the sensitive parameter. We compare the efficiency of our estimator with that of Mangat and Singh model. 본 연구에서는 민감한 모집단에 대한 자료수집 방법으로 직접 질문 방법 인 Black-Box 방법과 간접 질문 방법인 확률화응답기법(RRT)의 결합적 방법을 제시하였고, 층화이중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주어진 추정량의 효율성을 Mangat과 Singh 추정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 KCI등재

        An Indirect Forced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Model

        홍기학,이기성,손창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To procure a reliable information from the population related to the privacy, Warner (1965) proposed an ingenious model, called randomized response model (RRM). Since then many researchers including Eichhorn, Hayre (1983), have developed the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he mean of the stigmatized variable beyond the estimation of the population proportion of a sensitive attribute which was originally suggested by Warner in 1965. We suggest an indirect forced quantitative randomized response (IFQRR) model in which we use the scrambled response of Gupta et al. (2002) instead of using that of Eichhorn, Hayre (1983) which Saha (2011) used. By so doing, we can demand true response twice indirectly from respondent and we extend it to stratified population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our model with Saha (2011) model and Gupta et al. (2002) model. We can see that the suggested model is always more efficient than Saha (2011) model regardless of the values of q_{ihj} (i=1,2) under the condition of theta = 1 and i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Gupta et al. (2002) when q_{ihj} ge q.

      • KCI등재

        Rao-Hartley-Cochran 추출방법에 근거한 대체추정량들의 효율성 비교

        홍기학,이기성,손창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3

        In large scale survey, Rao(1966) suggested an alternative estimator which was a biased but had a little varian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stimators under the assumption of empty correlation between the auxiliary variable and study ones.Since then many researchers such as Bansal and Singh(1985) and Amahia et al.(1989) have suggested alternative estimators assuming a littl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alternative estimator for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pooly correlated with the selection probabilities by applying the Amahia et al.(1989)'s estimator to Rao-Hartley-Cochran(RHC) sampling scheme and compare it with that of Rao(1966)'s in terms of RHC sampling scheme under a super- population model.Keywards : alternative estimator, super-population model anticipated variance. 일반적으로 대규모 표본조사에서는 여러 개의 속성들에 대한 모집단 총합이나 평균 등을 동시에 추정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도 조사자는 보통 하나의 보조변수에 대한 정보에 근거해서 1차추출단위(primary sampling unit : psu)를 추출한다. 이 때 보조변수와 상관이 매우 높은 속성에 대한 추정량의 효율은 매우 높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속성들에 대한 추정량은 비편향임에도 불구하고 추정의 효율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Rao(1966)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관심변수와 보조변수간의 무상관을 가정한 대체추정량을 제시하였다. Bansal과 Singh(1985), Amahia et al.(1989) 등은 관심변수와 보조변수간의 약한 상관관계를 고려한 대체추정량을 제시하였다.본 논문에서는 Amahia et al.(1989)의 대체추정방법을 RHC(Rao-Hartley-Cochran)추출방법에 적용시킨 추정량을 제시하고, Rao추정량과 RHC추출방법 측면에서 그 효율성을 비교하였다.주요용어 : 대체추정량, 초모집단 모형, 예측분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