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보’의 반복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글쓰기’

        허진혁(Jinhyuk He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이 논문은 임현묵의 영화 “소설가 구보의 하루”와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비교 분석한다. 영화는 글쓰기 자체를 실체화하면서 ‘구보’라는 인물을 반복한다. 이를 통해 영화는 소설가로서의 구보와 그의 글쓰기라는 대상을 환기한다. 그러나 소설에서 구보의 글쓰기를 다시 발견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소설 속 구보는 글을 쓰지 못하고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즉, 소설에서 글쓰기는 부재하는대상인 것이다. 소설 속 구보는 글쓰기의 부재에 대한 대응으로서 소설가라는 사회적 정체성을 가장한다. 따라서 영화가 반복하는 대상은 소설 자체가 아닌 제3의 참조점으로서의 또 다른 대상이다. 구보의글쓰기가 존재하는 소설이 가정되는 것이다. 이때 영화가 상정한 글쓰기는 소설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아니라, 영화로 반복됨을 통해서 소급적으로 규정되는 잠재적인 글쓰기이다. 글쓰기의 잠재성은 반복을 통해서만 드러난다는 점에서 “소설가 구보의 하루”를 경유하여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읽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film Sisyphus’s vacation and the novel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The film repeats the character 'Kubo', while actualizing the writing itself. The film evokes the object of Kubo as a novelist and of his writing. However, the attempt to find writing again in the novel fails. Kubo in the novel is unable to write. Writing is an absent object in the novel. In the novel, Kubo pretends the social identity of a novelist as a response to the absence of writing. Therefore, the object that the film repeats is not the novel itself, but another object as a third point of reference. A novel in which writing exists is assumed. Writing as a virtual object is not inherent in the novel, but is retroactively defined through its repetition in the film. Virtual writing is only revealed through repetition, it can be a way of reading the novel through the film.

      • KCI등재

        이상 소설 「十二月十二日」에 나타난 ‘죽지 않음’의 서사화

        허진혁 ( Heo Jinhyu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4 한국언어문화 Vol.- No.83

        이상 문학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주로 ‘죽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상 문학의 출발점에 위치한 「十二月十二日」은 작가의 전기적 사실과 더불어 죽음을 향한 열망과 완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소설의 주인공은 바라던 죽음을 성취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만 실패하며, 그 실패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十二月十二日」은 죽음이 아닌, 벗어날 수 없는 삶이 끊임없이 지속되는 ‘죽지 않음’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죽지 않음’은 가장된 생활의 반복이라는 형식을 통해 서사화된다.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아닌, 이에 대한 시도와 실패의 반복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죽지 않음’을 중심으로 접근할 때, 「十二月十二日」은 이상 문학의 보다 근본적인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작품으로 재정립될 수 있다. Existing discussions on Yi Sang’s literature mainly centered on ‘death’. In particular, December 12th, which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Yi Sang’s literature, was analyzed as a desire and accomplishment for death along with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Howeve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given the opportunity to achieve the death he wishs for, but fails. And, he is forced to repeat the failure. Therefore, December 12th is a novel that deals not with death or mortality, but with ‘immortality’, which is the inescapable continuation of life. ‘Immortality’ is narrated through the form of repetition of a pretended life. It is not the goal to be reached, but the repetition of attempts and failures that becomes the aim itself. When approached with a focus on ‘immortality’, December 12th can be redefined as a work that can read more fundamental structure of Yi Sang’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