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용 정보를 고려한 미발견 공공 지식 추출: Swanson의 ABC 모델 재현 및 확장

        함정은,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2

        It is useful to find something valuable for researching through literature based discovery. Swanson’s ABC model, known as literature based discovery, sugg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ities undiscovered yet.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valid relationship between entities by referring to citation which connects articles on similar topic. We collect citation from references in articles, and extract important concepts in titles and abstracts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We repro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fish oil and Raynaud’s disease, which is known as one of Swanson’s work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entities identified from traditional approach. 많은 연구들 가운데 살펴볼 가치가 있는 대상을 찾아 제시해주는 문헌기반 발견의 접근법은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다. 문헌기반 발견 연구의 대표 이론인 Swanson의 ABC 모델은 기존에 검증되지 않은 개체들의 관계를 연구할 것을 제안해 준다. 본 연구는 Swanson의 ABC 모델에 인용 정보를 고려하여 유의한 관계에 있는 개체들을 더 효율적으로 찾아내고자 하였다. 수집 논문들의 참고문헌 목록에서 인용 정보를 확인하고 논문의 표제와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중요한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Swanson의 연구들 중 어유와 레이노드 질병 및 증상의 관계를 재현하였으며 기존의 접근법으로 확인되는 개체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 KCI등재

        서부산 서사원형을 매개로 한 서사 창작 연구

        함정 한국문예창작학회 2017 한국문예창작 Vol.16 No.3

        This study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creating the narrative archetype of the Western Busan. Western Busan refers to Sasang-gu, Saha-gu, Gangseo-gu and Buk-gu which are located in the west side of Busan. It is composed of river and ocean, estuary and port, mountain and island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and has industrial characteristics that form the historicity of the refuge capital and massive industrial complex as the irrigation system. The works in Korean novel literature that made the Western Busan of the space of novel are representative of Cho Myeong-hui’s 「The Nakdong River」 (1927), Kim Jeong-han’s 「The Story of the Sandbar」(1966) and Lee Mun-yeol’s 「Estuary」(1981). The novel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the 2010s are Ham Jeung-im’s 「Archeology of Memory」(2012) and Kim eon-su’s 「Estuary」(2013). Compared to the geographic terrain placeness, the historicity, and the specificity as an industrial area of Western Busan, it is extremely rare to have objectified into a space of novel.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from 2011 to 2017, carried out “Novel Creation Seminar” for the Western Busa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port, the Daldongnae(poor hillside village) that formed in the era of refuge, industrial zone created in the industrialization era and the Eulsuk island Eco Center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cological space, etc. In the process, 100 creations were produced.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form of the Western Busan of the world with the works of the established writers such as Kim Jung-han, Lee mun-yeol, and etc, with the works produced in the “Novel Creation Seminar”, and check out the winning works from “the Sandbar literary awards”,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5. Through this study, analyzes the geographic terrain characteristics, allteglichkeit, the narrative archetype linked to the documentary heritage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Western Busan are fictionalized in some contents and form, it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o check what implies each meaning and possibility. The first is the “Imagination of the estuary beyond the border”, the 7 creative works including Lee mun-yeol and Kim eon-su’s backgr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econd is ‘The narrative archetype and transformation of the sand’, the 2 creative works inspired by Kim Jeonghan’s 「The Story of the Sandbar」, the third is the “Ami-dong and Gamcheon-dong, Archeology of the Daldongnae(poor hillside village)”, the 20 creative works with 「The Archeology of Memory」by Ham Jeungim which based on the Daldongnae(poor hillside village) formed in the era of refuge, and the fourth is “The dream of the post-industrial ecocommunity”, the 3 other creative works with 「trifoliate orange tree house 146」will examine. The aspect of expressing of the narrative by the young narrative subjects presented with the works of the established writers will work as the power of new narrative creation in the 21st century. 본 연구는 서부산권 서사 원형을 탐색하고, 창작화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서부산은 부산 서쪽에 자리잡은 사상구・사하구・강서구・북구를 가리킨다. 자연 환경적인 측면으로는 강과 바다, 하구와 포구, 산과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피란기 수도로서의 역사성과 대규모 공단지대를 형성했던 산업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 소설 문학에서 서부산권을 소설공간으로 삼은 작품은 조명희의 「낙동강」(1927),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1966), 그리고 이문열의 「하구」(1981)가 대표적이다. 2010년대 이곳을 배경으로 창작된 소설로는 함정임의 「기억의 고고학」(2012), 김언수의 「하구」 (2013)가 있다. 서부산권의 지리 지형적 장소성과 역사성, 그리고 산업지대로서의 특수성에 비하여 소설 공간으로 대상화된 것은 극히 미미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주목하여,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낙동강 하구와 포구, 피란기에형성된 달동네, 산업화시대에 조성된 공단지대, 생태 공간으로 거듭난 을숙도 에코센터 등 서부산권을 대상으로 소설창작세미나 강좌를 진행했고, 그과정에 100편 가까운 창작품이 생산되었다. 본 연구는 서부산권의 서사 형상을 김정한, 이문열 등의 기성작가의 작품들과 함께 소설창작세미나 강좌에서 생산된 학생들의 창작품들, 그리고 2015년부터 사하구청에서 전국 공모 형태로 시행하고 있는 사하 ‘모래톱문학상’의 수상작들을 한자리에 모아 점검한다. 이를 통해 서부산권의 지리 지형적 특성과 일상성, 기록유산과문화유산에 연계된 서사 원형들이 어떤 내용과 형식으로 소설화되고, 어떤의미와 전망을 내포하는지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각각의 양상을 점검한다. 첫 번째는 ‘경계 너머, 하구의 상상력’으로 낙동강 하구를 배경으로 한 이문열과 김언수의 「하구」를 비롯, 7편의 창작품을 고찰한다. 두 번째는 ‘모래의 서사 원형과 변형’으로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를 매개로 한 2편의 창작품을 점검한다. 세 번째는 ‘아미동과 감천동, 달동네의 고고학’으로 피란기에 형성된 달동네를 무대로 한 함정임의 「기억의 고고학」과 20편의 창작품을 분석한다. 네 번째는 ‘탈산업 에코 공동체의 꿈’으로 김제인의 「탱자나무 집 146번지 앞」 외 3편의 창작품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기성 작가의 작품과 학생 창작자의 습작품을 모두 망라하여 대상화한다. 지금까지 부산과 서부산권을 무대로 형상화한 소설과 연구 현황이 매우 저조하고, 연구는 동일한 작가의 작품에 집중적이고도 반복적으로진행되어 온 것을 한계로 지적한다.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본 연구는 1920년대에서 1980년대 초까지 생산된 소수의 기성 작가 소설들에서시야를 전환하여 지금 이곳의 젊은 서사 창작 주체들이 포착한 장소와 이야기를 모두 한자리에 올려놓고 살펴봄으로써 미래 서부산권의 서사 창작 확장성을 도모한다.

      • 유아체육교육에 관한 남·북한 비교 연구

        함정은,이선경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difference of a situation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in preschool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provid a basic data for new barometer of physical education in preschool of united Koreans. The conclusions are like below. First, the educational philosophy in South Korea is 'Hong-Ik-In-Gan' ideology and North Korea is Juche(Autonomy) ideology. And the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is composed of 6-3-3-'f(yr), 1-6('l-2)-1(6)(yr) in North Korea. Second, the purpose of preschool education in South Korea i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North Korea is to make 'a communist of ability'.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preschool of South Korea is composed of 5 living fields which are health, society, expression, language and investigation. The North Korea is consisted of the political ideology lesson and the intellectual lesson, the emotion, the physical training, and play. Third, the practical side of physical education in preschool of South Korea is consists of basic movement, body conditioning activity, dance and rhythmic activity and recreation and North Korea is movement education, play and war-play.

      • 정신지체아를 위한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함정은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f the recreation program development it could be applied to th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It was conducted on 7 persons in elementary school from 8 to 11 years of age. The recreation program was applied for 50 minutes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2 weeks. This study was done according to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methodical manner and participation of more organised and systematic activity in the case of HMG, NHS, LBL, KSJ, KGH. Second, the physically recreation program will be able to induce the advancement of the society, emotional, physically and mentally of mental retardation children.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chance of program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continuous.

      •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고찰

        함정은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a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recre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it was used a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next is the conclusion which it get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First, the recre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recre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social adjustment and subordinate territo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more research becomes accomplished wishes like this conclusion with bas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