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구축과 재해예방효과

        오병한(Oh Byoung Han),최병정(Choi Byong Jeong),한명환(Han Myong Hwan),임환택(Lim Hwan Taek),조태구(Cho Tae Gu)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17 재난안전논문집 Vol.1 No.1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KCSHA 18001)은 사업주가 자율적인 의지로 안전보건분야를 경영의 한 부분에 포함시키고 자사의 유해위험요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투자예방순위를 경정하되 PDCA cycle에 따라 각각 단계별로 안전보건활동이 운영되도록 체계화된 시스템을 말한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통해 건설업체의 재해율은 100대 건설업체의 평균재해율보다 약 50%정도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같은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시스템동바리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립방법 개선

        박명선(Myung Sun Park),최병정(Choi Byong Jeong),한명환(Han Myong Hwan),임환택(Lim Hwan Taek),조태구(Cho Tae Gu)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17 재난안전논문집 Vol.1 No.1

        최근 건설현장에서 시스템동바리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시스템동바리 붕괴사고가 계속 발생되고 있고 이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물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붕괴사고는 시스템동바리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는 시스템동바리 부재인 가새재 미설치 또는 누락을 주요 원인으로 뽑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편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수평력 및 조립과정에서의 수직도 시공오차에 의한 횡변위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동바리에 가새재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도 시스템동바리부재를 조립하는 경우 단위부재마다 가새재를 설치하도록 하여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시스템동바리 단위부재마다 가새재를 설치하도록 하여 수명하중에 저항토록 하는 규정은 과도한 안전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시공조건과 조립방법으로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시공하는 노력을 가새재 설치만으로 제한함으로써 실제 건설현장에서는 이러한 법 규정이 건설기술자에게 외면을 받게 되고 결국 이를 위반하여 시공하는 부작용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 수평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은 시공조건 및 조립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반영하여 시공할 수 있는 환경(관련 법령 개정 등)을 만들어 준다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동바리의 가새 부재수를 줄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반영하여 시스템동바리를 2차원으로 모델링한 후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규정모델의 최대변위 및 부재 웅력비 값의 비교ㆍ검토로 안전성 확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련산업안전보건법 규정의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볼트 체결형 강판-콘크리트 합성보의 형상 제안

        조태구(Cho Tae Gu),김도범(Kim Do Bum),최병정(Choi ByongJeong),한명환(Han Myong Hwan),임환택(Lim Hwan Tadk)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2017 재난안전논문집 Vol.1 No.1

        기존의 강판-콘크리트 합성보는 성형 강판을 용접조립하고, 강판과 콘크리트 사이에 전단연결재를 사용하였다. SPC 합성보는 전단연결재 절감과 시공성 개선을 목표로, 용접 대신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방식을 고안하였다. SPC 합성보는 한쌍의 절곡한 강판과 ‘ㄷ’형강을 볼트로 체결하고, 상부에 Cap 형태로 절곡한 강판을 부착하였다. SPC 합성보의 휨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2점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의 휨강도는 소성웅력분포법과 변형율 적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비교결과, 스터드를 생략하고 Cap을 설치한 SPC합성보는 휨강도가 완전합성보로 가정한 이론값 대비 약 76%의 휨강도를 나타내었다. Cap은 스터드와 부속철물의 역할을 하며, Cap의 설치량을 조절하여 합성보로서 활용이 기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