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전자정부 책임성 구현을 위한 대안적 접근: 맥락적 정의와 공유된 인지모형

        최태현 ( Tae Hyon Choi ),김덕수 ( Deok Soo Kim ),하정연 ( Jung Yun Ha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4

        전자정부는 정부업무의 효율성과 민주성의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전자정부기반 기술의 발전이 가져오는 변화는 책임성의 개념적 이해 및 책임성 확보의 실천에 중대한 도전을 안겨주었다. 이 논문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사례 분석을 통해 전자정부를 위한 맥락적 행정책임성 개념틀을 제시하고 책임성 확보 방안으로서 공유된 인지모형의 구축을 제안한다. 먼저 개념의 측면에서 맥락적 행정책임성 개념틀은 전자정부 체계가 다루는 정보의 속성, 정보통신기술의 속성, 정책집단을 고려하면서 합법성, 효율성, 민주성 간 균형을 책임성의 핵심으로 본다. 이러한 책임성을 실현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가치들의 균형을 위해 전자정부 체계 요소들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공유된 인지모형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접근의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systems has brought serious challenges to accountabilit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how to understand and ensure accountability while pursuing both efficiency and democracy. This article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of contextual accountability for electronic government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A contextual accountability framework is composed of the contextuality tier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policy groups, and the value tier including legal accountability, efficiency, and democracy. We argue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ole of a shared mental model of a specific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among policy groups than to the traditional internal/external control mechanism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hared mental model should begin at an earlier stage of system adoption along with a high level of stakeholder inclusiveness to ensure contextual accoun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