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0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과거제도의 시행

        플라센 라헬 ( Rahel Plasse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1 韓國史論 Vol.67 No.-

        본 논문은 10세기 고려의 과거제도 시행을 재조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과거제도의 시행 목표를 일관되게 ‘왕권 강화’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구체적인 설명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내적인 의미만을 염두에 둔 이해방식이다. 동시에 과거제도의 시행 자체가 유발하는 의문도 있다. 광종대는 왜 소수의 급제자만을 선발하였는가? 이들은 왜 광종대에 의미 있는 관직을 역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가?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진 광종대는 외교를 활발히 펼친 시기이기도 하다. 광종은 오대십국 시기의 여러 국가와 ‘전방위적 외교’를 펼쳤으며, 이 사실은 당시의 국제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게 한다. 10세기는 당의 멸망으로 인해 다수의 황제국이 세워진 시기이다. 광종대의 여러 개혁과 제도 시행은 황제국의 표방과 보조를 같이한 것이었다. 이에 논문의 1장에서는 광종의 전방위적 외교와 황제국 체제의 수립을 연결지어 검토하였다. 여기에 과거제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외교문서의 작성과 전달이 중요해진 시기에 이를 담당할 인재들은 줄어든 상태였다. 광종대 쌍기의 주도하에 치러진 과거 시험과목을 살펴보면, 당시 제술과는 四六騈儷體의 작성 능력을 시험하였는데, 이는 국내 공문서와 외교문서에 대표적으로 쓰이던 문체였다. 2장의 핵심 논점은 외교문서 작성 역량이 과거제도를 통해 길러질 수 있었다는 점이다. 광종은 당시의 인적 수요를 관료 선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10세기 후반 과거제도의 운영은 당시 당면한 외교 과제와 상호작용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송 관계에서 과거급제자들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종대 송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966년에서 972년까지는 교류가 없었다. 그런데 바로 이 시기에 고려에서 과거제도의 시행도 정체되었다. 이 사실은 과거제도가 오로지 국내적인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송의 중원 통일을 계기로 재시행된 과거제도 역시 위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해 준다. 마지막으로 지공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쌍기, 왕융과 같은 귀화인의 역할이 광종 초기의 과거를 넘어서 성종대 말까지 이어졌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 10세기 후반, 성종 16년을 기점으로 지공거의 역임 시 관직이 변화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과거제도가 다른 방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들은 광종이 과거제도의 시행을 통해 추진한 외교 역량의 강화를 보여준다. 이렇게 국제 관계를 함께 고려했을 때, 10세기 과거제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re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under King Gwangjong (r. 949-975) in the light of 10<sup>th</sup> century diplomatic relations. As the fourth ruler of the newly founded Goryeo dynasty, Gwangjong conducted a series of reforms that have been interpreted as designed to strengthen royal power. Reasonable as this assumption may appear,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graduates as well as their rather modest role under the king’s reign suggest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during his times. As recent research has shown, Gwangjong’s rule can be characterized by active engagement in diplomacy. He maintain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Five Dynasties as well as the Ten Kingdoms. After the collapse of the Tang dynasty, a power vacuum on the mainland allowed for the formation of several states, not few of them imitating the Great Tang imperial state. Hence,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ims at discerning Gwangjong’s imperial ambitions. Formally accepting investiture, he effectively positioned Goryeo as an equal player on par with the Chinese states. In his effort to further increase Goryeo’s prestige, Gwangjong seems to have faced a shortage of capable diplomats. Until the downfall of Tang, the Silla kingdom sent students abroad, making them attend the imperial examinations for foreign visitors. Educated in the “four-six parallel ornate style” (saryukbyeollyeoche, 四六騈儷體), those who returned were qualified for writing official documents. During Gwangjong’s times, the state could no longer rely solely on this reservoir of talents. By introducing the examination system, Gwangjong established an institution that would provide him with officials capable of writing state document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focuses on this particular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tracing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the 10<sup>th</sup> century. The first successful candidates initially seem not to have played any significant role in civil service. Only some 20 years later, under King Seongjong (r. 981-997), their names appear among the roster of higher ranking officials. An analysis of their career paths, however, discloses their importance in the field of diplomacy. The Goryeo-Song relationship seems to have exerted direct influence o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examinations were conducted. When the exchange of envoys was sparse, the examinations came to a halt, too. Lastly,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the examiners (jigonggeo, 知貢擧)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decades, those appointed examiners were selected from the ranks of the Hallim (翰林) scholars. This changed at the end of the 10th century, when the diplomatic equation was altered fundamentally by the Khitan expansion. Eve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observations, it might be biased to claim that the examin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diplomatic purposes only. Nevertheless, a consideration of Gwangjong’s imperial policies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10<sup>th</sup> century can help to shed some new light on an ancient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