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음 개념의 변화와 디자인 흐름

        추석화(Choo, Suk Hw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최근의 기술 발전이 이룬 성과는 마음 개념에 대한 변화와 같이 흐른다. 오랫동안 인류는 마음을 분석할 때 데카르트의 이원론적 구분으로 이해하려 들었다. 그러나 현상학적 전통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꾸준히 몸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심신이 분리되지 않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마음은 체현된 인지라고 개념 지워진다. 최근 개발되어지는 스마트 제품군은 체현된 인지를 보여준다. 체현된 인지의 기반이 되는 현상학적 성찰은 마음이 지향적 대상의 표상으로 이뤄진다고 본다. 마음은 곧 지향적 상태에 관한 것이다. 철학적 관점에서의 지향성의 개념과 철학자 데닛의 지향계과 지향적 자세에 대한 개념은 디자인 수사로서 감정의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한 방편이 된다. 이를 간소한 조형 실습으로 파악해보고자 하였고, 중력에 대한 정향성과 복잡한 부분이 갖는 정면성과 형상을 파악할 때의 위상성과 같은 속성을 유추하게 되었다. 지향성에 대한 지식은 디자인의 수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Recent technological advanced achievements are moved with changing concept of mind. Long time when analyzing the human mind, they were tired understanding as Cartesian dualistic division. But, traditional phenomenological consta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body. Mind and body are not separate, to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concept referred to a embodied cognition. Recently smart products have shown like embodied min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mind is consists with representations of intentional target. Mind is about intentional status. It can be explained that concept of ‘intentinality’, american philosopher Dennett’s ‘intentional system’ and ‘intentional stance’ as a method of design rhetoric. It was to identify some intentional things like orientation of gravity, frontality about complex surface and topological shape, through simple modeling practice. Knowledge about intentionality can be a way to understand design rhetoric.

      • KCI등재후보

        3D 시각화 향상을 위한 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추석화(Choo, Suk Hw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공간 능력은 창의성의 핵심이면서 3D를 다루는 디자이너의 필수 능력으로 거론된다. 그만큼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능력이지만, 그 개념과 디자인과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능력의 근본적인 속성이 ‘마음의 눈’으로 여겨지는 공간능력에 있다고 보았으며, 공간 능력에 관한 주요 학자들의 이론과 실증 자료를 통해 공간 능력은 적절한 훈련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본성에 대한 Cross의 연구에서 공간 능력이 디자인 능력으로서 언급됨을 확인함으로, 문제해결과 창의성에 관한 디자이너의 기본 능력이 공간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면, 3D CAD를 처음 학습할 때 어려움을 갖는 것은 심적 회전 능력의 부족 때문임을 유추할 수 있다. 3D 시각화 향상을 위한 기초 디자인 교육의 효율성을 찾는 단초와 시점을 문헌 고찰을 통해 얻고, 이로써 향후 인지적 교육 방안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Spatial ability is discussed the key to creativity, and the essential ability of 3D designers. Although much important ability for designers,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and some designing activities is not easy to explain in detail. In the study,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design capacity is the spatial ability that called ‘mind’s eye’. Through major scholars’ theories and empirical date about spatial ability, it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with as appropriate training. On the basis of Cross’s study about Designing in nature, it was based on the spatial ability that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of the designer’s basic capacity. For example, difficulty of first 3D CAD, it may be due to a lack of mental rotation abilities. Thus, this article is provided to find of view for effective basic design eduction for improvement of 3D visualization, and it can be a theoretical basis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educ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