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성격타입(A/B), 정신력과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Kim In-Soo),최정아(Choi Jeang-a)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A/B 타입 성격과 정신력, 운동몰입 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축구선수로 등록된 236명과 중학교 축구 선수 110명을 대상으로 A/B 타입 성격척도, 정신력 척도, 운동몰입척도를 사용하여 집단 간 t-test 및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해 A/B 타입 성격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A/B 타입 성격 간 비교에서A 타입 성격소유자가 B타입 성격소유자에 비해 정신력과 운동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경력유무집단 간 비교에서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는 그렇지 못한 선수에 비해 A 타입 성격, 정신력, 운동몰입이 높았다. 초등학교 축구선수와 중학교 축구선수 간 비교에서는 성격타입, 정신력, 운동몰입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기한 결과 A/B 타입 성격, 정신력, 운동몰입 간에는 서로 유의한(p<.01)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변인 간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A/B 타입 성격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형은 이론모델로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χ2=20.13, df=7, Q=2.88, RMR=.01, GFI=.97, TLI=.94, NFI=.96, CFI=.97, RMSEA=.08) 세부 구조경로에서는 A/B타입 성격 → 정신력, 정신력 → 운동몰입의 경로가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경우 A타입 성격 성향이 강할수록 정신력과 운동몰입 수준이 높으며 지방대회 3위 이상의 입상경력을 가진 선수는 그렇지 않는 선수에 비해 A 타입 성격 성향이 강하고, 정신력과 운동몰입 수준이 높다. 또한, A/B 성격 성향은 정신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신력은 운동몰입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교 축구선수의 운동몰입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신력의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structural relation among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occer players. Methods: This study set up a structur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A/B type behavior pattern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of soccer players. The participants were 236 elementary school and 110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who lived in G city and J province. This study used A/B type behavior pattern scale, Mental toughness scale and commitment scale. Results: In analysis of t-test, A type players show higher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than those of B type. The players who had experienced more 3rd place in province soccer competition show higher A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behavioral commitment than those of the ot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players and middle school players in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In analysis of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χ2=20.13, df=7, Q=2.88, RMR=.01, GFI=.97, TLI=.94, NFI=.96, CFI=.97, RMSEA=.08).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A/B type behavior pattern → mental toughness, mental toughness → sport commitment. Conclusion: In this study define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B type behavior pattern, mental toughness and sport commitment. To approve sport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occer players, players kept up A type behavior pattern and make strong mental toughness.

      • KCI등재후보

        스포츠 활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치인식에 따른 욕구만족이 스포츠 활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최정아(Jeang A Choi),김중형(Joong Hyeoung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치인식에 따른 욕구만족이 스포츠 활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성인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스포츠 참여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여 672명(남:364, 여:308)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 스포츠 가치인식, 심리적 욕구만족 및 스포츠 활동학습에 대하여 Fredricks와 Eccles(2005)의 사회적 지원 척도, Williams, Ryan과 Deci(2004)의 심리적 욕구만족척도, Wigfield와 Eccles(1995)의 스포츠 가치척도, Sabiston과 Crocker(2008)의 스포츠 참여척도를 사용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인과모델은 전반적인 모델부합도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론 모델로서 양호함을 보여주었으며(χ2/df= 2.980, GFI=.925, TLI=.918, CFI=.923, RMSEA=.087(.083~.097)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가족과 친구로부터 주어지는 사회적 지원은 타인과의 관계성과 스포츠 활동, 스포츠 가치인식은 유능성 및 관계성과 스포츠 활동, 유능성과 관계성 동기는 스포츠 활동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In this theoretical model exogenous variables were social support and recognition of values of physical activity, endogenous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ports activities of learning athletic participation in adults were constructed. The subjects were 672 adults(men: 364, women: 308) who lived in the CB province. This study used Fredricks & Eccles(2005)` social support scale, Williams, Ryan, & Deci(2004)`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Eccles & Wigfield(1995)` subjective value of physical activity scale, and Sabiston & Crocker(2008)` athletic participat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ggested model was a good fit to data(χ2/df= 2.980, GFI=.925, TLI=.918, CFI=.923, RMSEA=.087(.083~.097)), in analysis each path significant, the path of social support → relative motivation, and athletic participation, values of physical activity → competence and relative motivation, and athletic participation, competence and relative motivation, and values of physical activity → athletic participation was testified significant as a theoretical model.

      • KCI등재

        체육수업이 초등학교 폭력행동 및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중형(Joong Hyoung Kim),최정아(Jeang A Choi)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 학교폭력의 행동개선과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 함으로서 초등교사들에게 학교폭력 해소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70명을 유층 표본추출 방식으로 선정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유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 예방 및 폭력태도 해소를 목적으로 재구성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 학교폭력의 행동개선과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폭력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써 일선 시도 교육청의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평가 방법 및 인식의 전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교사연수실시 및 전문상담교사 배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학부모 간의 연계지도 체계 그리고 다양한 학생신고제 보급 및 확대적용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out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 the improvement of violent behavior and school violence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The PE class referred in this study is the one, which was reconstituted to mitigat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This study also gives alternative suggestions to cope with the school violence. 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rough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y were divided into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quasi-experiment was don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was reconstitut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improve violent altitude of student, has positive impact on the impulsiveness, aggressiveness, individual psychology, control of anger and personal relation. It has been also found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positive impact on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such as permitting altitude, change in the attitude of school violence assailant and victim and responding attitude when a school vio.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uggestions to prevent and improve school violence are; improving the school evaluation method regarding school violence, making a school violence preventing program on state level, educating teachers, deploying counselor-teacher specializing in school violence,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prevent school violence through cooperation of teachers/parents and reinforcing the school violence report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