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Status of Forces Agreement in Korea: History of Conflict and Understanding
Tsche Kwang-Jun(최광준)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50 No.2
두 여중생 효순과 미선이 장갑차에 치어 사망한 지 7년여의 세월이 지났지만, 한미주둔군협정은 여전히 개정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 그런데, 한미주둔군협정이 개정되어서, 미국이 아니라 한국이 형사재판관할권을 가지게 된다면 효순과 미선을 사망케 한 미군병사 2명에 대해서는 유죄판결이 내려지는 것은 거의 확실한가? 아마도 많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미국인들이 이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변을 할 것이다. 결국 미국이 관할권을 가지게 되면 미국의 배심원들은 피의자인 미군의 편을 들어줘서 무죄판결이 나올 것이고, 한국이 관할권을 가지게 되면 한국법원은 피해자인 한국인의 편을 들어줘서 피의자인 미국군에게 유죄판결을 내릴 것이라는 논리가 서게 되는데, 미국과 한국 중 어느 한쪽이 형사재판관할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선택이 강요된다면 어느 경우에도 양국에 모두 공평한 결과는 기대할 수가 없게 될 것이다. 한국이 형사재판관할권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 이번에는 미국시민들이 한국의 불공정한 재판을 우려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충돌의 원인은 근본적으로 서로에 대한 불신에서부터 비롯된다고 생각된다. 한국인에게 일반적으로 비춰지는 미국의 이미지는, 미국은 자국의 이익과 자국민의 보호를 위해서는 한국인의 인권은 쉽게 무시해 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노근리사건을 위시하여 속속 밝혀지고 있는 미국군의 한국민간인에 대한 학살사건은 이러한 한국인들의 미국에 대한 편협한 견해를 지지해 주고 있다. 한편 미국인들은 한국의 법체계 자체에 대해 불신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효순과 미선의 사망사건에서 두 미군병사가 무죄평결을 받은 데에 한국인들이 반발하자 미국대사관의 홈페이지에는 이 사건에 대한 질의응답 코너를 개설하였었는데, 그 내용 중에는 미국에서는 '책임이 있다는 것(responsible)’과 '법적으로 책임 (legally responsible)이 있다는 것’은 서로 별개의 것이며, 유죄판결을 위해서는 '합리적 의심을 넘는 (beyond reasonable doubt)’ 증명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등의 기본적인 법지식을 해명(?)인 양 실어 놓고 있었는데, 이러한 설명은 무죄평결의 이유를 알고 싶어 하는 한국인들을 전혀 만족시켜 주지 못했다. 오히려 미국인들이 한국의 형사법체계가 미국의 그것보다 허술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오해만을 불러 일으켰는데, 실재로 미국은 촛불시위 등 대규모시위를 통해 반미감정을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감정적(?)인 한국인들의 형사법체계 역시 그다지 공정하지 않을 것이고 많은 부분 이러한 국민적 감정을 대변할 것이라는 의심을 하고 있는 듯하다. 결국 양족 모두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서부터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까? 우리는 한미주둔군협정이 서로 이해를 달리하는 두 국가간의 협정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라는 공통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체결된 동맹국간의 약속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미주둔군협정의 개정논의도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전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첫째, 협정의 개정논의에 앞서, 서로의 다른 문화와 법체계에 대한 상호이해를 증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호신뢰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개정의 논의는 분쟁의 수준을 뛰어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현 합의의사록에 의하면 한국이 전속재판권을 갖는 경우에도 한국에 대해 미국은 전속재판권의 포기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규정을 통해 결국 미국은 한국의 전속재판권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동맹적 상호주의에 반한다. 셋째, 협정에 의하면 미국이 전속재판권을 갖는 경우에도 미국은 이를 포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미국은 포기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법원에 재판권을 넘기는 것이 동맹국의 상호주의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넷째, 전체적으로는 나토 협정과의 차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한미주둔군협 More than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tragic deaths of Hyosoon and Misun, but nothing much have changed in the tension between Korea and the U.S. in respect of the Korea SOFA arrangemen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onflict seems to lie in the fact that both parties do not fully trust each other. In the eyes of average Koreans, the United States appears as though it would make no scruple to ignore the human rights of Korean people when it comes to its own interests or protection of its own citizens. Many Koreans hold such a narrow-minded view of the US, and their view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reports of the US military's massacres of Korean civilians in the past, including the incident of Nogeun-ri. As for the Americans, the majority of them seem to distrust the Korean judicial system. Where do we need to star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OK-US SOFA is not a mere treaty between two countries with different interests, but it is a promise made by two allies, both of which share the common objective of achiev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precisely what the two countries must bear in mind. In conclusion, they should proceed with the discussion on the revision of the SOFA in accordance with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With this in mind,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of all, prior to discussing the revision of the SOFA, they sh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ir culture and their legal systems. If they do not have mutual trust for each other, the discussion will degenerate into nothing more than a series of conflicts. Secondly, according to the current SOFA minutes, even in a case in which South Korea reserves exclusive jurisdiction, the US is still allowed to demand that South Korea waive jurisdiction. It would be better to abolish this particular provision because it implies that the US completely denies South Korea's right to exclusive jurisdiction, and thus this provision runs counter to mutual reciprocity between allies. Thirdly, the US should transfer exclusive jurisdiction to Korean courts whenever it deems necessary, since the US can choose to waive its exclusive jurisdiction under the agreement even when it is entitled to it. This would better correspond with mutual reciprocity between allies. Fourth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Korea SOFA should be revised in a way that would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 SOFA and NATO SOFA. Although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various SOFAS, the US has not officially clarified this issue. Unless there are military or strategic reasons for which South Korea should have more limited rights than NATO countries, this kind of unequal treatment will vitiate mutual reciprocity between South Korea and US. The best course of action for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to promote more dialogue and educate the other party about how its legal system operate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led the U.S. to the delay of apologizes. Most troubling are apologies that are purely symbolic, and carry no concrete shifts in resources or practices to alter the current situation. The apologies of the United States were regarded by the Koreans as one of those troubling apologies.
과거청산의 의의와 「의문사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
최광준 ( Kwang Jun Tsche ) 경희법학연구소 2003 경희법학 Vol.38 No.1
Im Jahr 2000 wurde vom damaligen sudkoreanischen Prasidenten, Kim Dae Jung, eine Wahrkheitskommission ins Leben gerufen, um sog. Uimunsa (suspekte Todesfafle) zu klaren, die sich unter der autoritaren Herrschaft seiner Vorganger ereigneten. Diese Aufgabe ist politisch wie auch rechtlich auBetst schwierig, denn Militardiktaturen und andere repressive Regierungssysteme pragten einen groBen Teil des koreanischen Lebens seit der von AuBen aufgedrangten Teilung Halbinsel am Ende des Zweiten Weltkrieges. Die Kommission hat im Jahr 2002 ihre Arbeit beendet und veroffentlichte auch den Schlussbericht uber dreiundachtzig FaUe.20) Aber nach dem Aufruf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Kommissionsarbeit wieder in Gang zu setzen, hat die Legislatur das bisherige Klarungsgesetz geandert, so dass die Komrnissionsarbeit auf em Jahr verlangert wurde. Also hat die zweite Periode der Kommissionsarbeit begonnen. Jedoch ist das Gesetz uber die Klarung der Uimunsa (suspekte Todesfalle) nach folgenden Gesichtspunkten zu andern. Erstens, der Anwendungsbereich des Gesetzes ist zu eng. Es beschrankt sein Anwendungsbereich auf die Wahrheit uber suspekte Todesfalle zu erforschen, die sich wahrend der Demokratisierungsbewegung ereigneten. Damit stellt das Gesetz ein Erfordernis seitens Opfers, dass sich das Opfer an einer Demokratiserungsbewegung teilgenommen haben muss. Dies verstobt gegen das Gleichheitsgebot der koreanischen Verfassung. Nach dem jetzigen Gesetz kann die Kommission nicht die Falle untersuchen, die nicht mit einer Demokratiserungsbwegung in Zusammenhang gebracht werden konnen, obwohl anzunhemen ist, dass das Opfer von der autoritaren Regieme getotet wurde. Zweitens fehlt der Kommission rechtlich die notwendige Machtbefugnisse, um ihre Arbeit erfolgreich abzuschliessen. Falsche Aussagen zu machen hat, zum Beispiel, keinerlei rechtliche Konsequenzen. Ohne jegliche Bestrafung befurchten zu mussen, hatten daher viele Beamten und Offiziere, die damals bei den problematischen Ereignissen beteiligt waren, keinerlei Motivation, mit der Wahrheit ans Licht zu rucken. Das hatte ihnen nur schaden konnen. Drittens wurde der Kommission die notige politische und administrative Unterstutzung nicht gewahrleistet, weder von der Polizei noch vom Militar oder vom Geheimdienst. Viele wichtige Dokumente waren entweder bereits zerstort oder nur sehr muhsam zu erhalten. Die Konmission wurde viel effektiver, wenn sie, wie das in Sudafrika der Fall war, Amnestie gegen Wahrheit austauchen konnte. Mehr uber die Vergangenheit zu wissen, ware fur die Angehorigen der Opfer von groBer Wichtigkeit gewesen. Es geht vor allem darum, ein polirisches Verstandnis der Vergangenheit zu erarbeiten, das dann einen gesellschaftlichen Heilungsprozess einleiten konnte. Nur so lasst sich das verlorene Vertrauen zwischen Staat und Burger langsam wieder herstellen.
인권침해에 대한 국가의 책임, 소멸시효완성의 항변과 신의칙
최광준(TSCHE, Kwang-Jun)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2
Korea has a sad history with countless human rights violations. During numerous hardships, including ideological conflicts and wars, which were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long term dictatorship, and civic struggles against authoritarian regimes, the lives and properties of the Korean people had been deprived of state power.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Korean society has finally taken legal steps to rectify past wrongs. In 2000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was established to find truth in so called ‘suspicious deaths (uimunsa)’ cases. The deaths were ‘suspicious’ because the government’s official announcements for the cause of deaths were suspicious.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a number of democratization activists and critical intellectuals were found dead. State authorities announced that they had died either by accident or suicide. The torture victims’ outcries were not heard under that regime and the State ignored the families’ requests to re-examine the cause of these suspicious deaths. Suggestions that law enforcement officers tortured citizens during interrogation, or that they concealed such deaths resulting from torture, often were treated as fallacious attacks on the regime s legitimacy. It was only after democratization that victims and their families were given credence. In spite of limits of investigation power and period of time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could reveal some importan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After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nother commissio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in 2005, broadening the scope of investigation. According to Art 2(1) [Framework Act on Clearing up Past Incidents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ad the right to investigate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from the time of Japanese Occupation to the end of the authoritarian regimes. After truth-finding and official recognition by both commissions the victims’ families filed lawsuits against the Korean government for compensation in court because there has been no special act existing for their reparation. Reparation and enactment of special act for reparation was just one of many recommendations of both commissions which the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has not followed yet. Moreover, in the lawsuit of the victims’ families, the state as a defendant claimed the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without any exception. This deed of the state has been criticized in many ways. It is commonly recognized in Korean courts that a debtor s claim of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cannot be allowed as an abuse of rights violat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special circumstances which make it grossly unjust or unfair to allow the debtor to refuse performance. Such circumstances include (1) when the debtor has made it impossible or significantly difficult for the creditor to exercise his rights or to toll the prescription period, or (2) acted in a way making the creditor believe such a measure would be unnecessary; when there was an objective hindrance preventing the creditor from exercise of rights; (3) when after the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the debtor acted in a manner that suggested he would not assert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which made the right-holder believe so as well; or when there is a great need to protect the creditor and other special circumstances exist, such as other creditors under similar conditions already received payment, etc. Court should apply the above principle more strongly in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so that the state s claim of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can be properly blocked. The fear, excluding the state s claim of expiration of limitation perio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ch is constituted as general rule would undermine the legal [대통령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나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등을 구성하여 과거 인권침해사건들에 대한 진실을 상당부분 밝혀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책임은질수 없다면서피고인국가는- 그어느소송에있어서나예외없이 - 소멸시효완성의 항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법부는 어떠한 판단을 해야 하겠는가? 과거사 사건은 모두가 ‘인권침해사건’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과거사 문제의 해결을 위한 각종 소송사건들은 이러한 인권침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 인권의 회복을위한 노력들이라고 볼 수 있다. 애초에 과거 인권침해사건들에 대한 진상규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정부는 배 보상의 문제를 함께 고려했어야 옳았으나, 이에 실패하였다. 결국 이 과오를 오늘날 사법부가떠안게 된 것이다. 그동안 인권회복을 위한 사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피고인 국가의 소멸시효항변이 권리남용 내지 신의칙 위반으로 저지되기에 이르렀고, 결국 소멸시효의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법원 2013.5.16. 선고 2012다202819 전원합의체판결에서는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진실규명결정이있은후상당한기간안에소를제기해야만피고인국가의 소멸시효항변을 배척할 수 있다고 판시하면서, ‘상당한 기간안의 소의 제기’라는 새로운 요건을 추가하여 많은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인권침해사건에 있어서도 상당한 기간 안에 소의 제기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다. 다만, 대법원은 권리를 ‘상당한기간’ 안에 행사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는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관계, 손해배상청구권의 발생원인, 채권자의 권리행사가 지연된 사유 및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기까 지의 경과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인권침해사건에 있어서의 특별한 사정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오류로 인해 ‘상당한 기간’의 기준을 시효정지의 짧은 기간에서 찾고 있는데, 이는 부당하다. 이판결은또한적용하는신의칙의유형에관하여, (소멸시효가완성된경우도) 채무자가소멸시효 완성 후 시효를 원용하지 아니할 것 같은 태도를 보여 권리자로 하여금 이를 신뢰하게 하였고, 그로부터 권리행사를 기대할 수 있는 상당한 기간 내에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였다면, 채무자가소멸시효완성을주장하는것은신의성실원칙에반하는권리남용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하면서, 국가의 신뢰형성에 관하여, 과거사정리법의 제정을 통하여수십 년 전의 역사적 사실관계를 다시 규명하고 피해자 및 유족에 대한 피해 회복을 위한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하면서도 그 실행방법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아니한 이상, 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피해자 등이 국가배상청구의 방법으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법적 구제방법을 취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수용하겠다는 취지를 담아 선언한 것이라고볼수밖에없고, 거기에서파생된법적의미에는구체적인소송사건에서새삼소멸 시효를 주장함으로써 배상을 거부하지는 않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취지가 내포되어 있다는입장이다. 그러나 모든 소송에서 예외 없이 소멸시효완성의 항변으로 일관하고 있는 피고국가를 상대하고 있는 인권피해자들이 과거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밝혀진 사건들에 관해서만은 국가가 소멸시효완성으로 항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실제로 가지고 있었을지는의문이아닐 수없다. 그런데, 대법원의입장을그대로수용한다면, 피고인 국가가 이제와서 소멸시효완성을 이유로 항변하는 것은 관련법을 제정하여 진실규명을 하는 등의 선행위에 대한 모순으로서 모순행위금지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될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피고인 국가를 일반채무자(개인)의 경우와 동일시하려는 대법원의 시도는 표면적으로는법적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보이나, 엄연히 다른 것을 동일하게 취급하려는 시도로써 오히려 법적안정성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체적으로는 과거사문제가 일반 불법행위와 다른, 인권침해사건이라는 점에 대한 대법원의 인식 이아직부족하다는생각이다. 인권침해자체가절대있어서는안될극히예외적인경우에해당한다. 이러한 사건에 신의칙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구체적 타당성을 지킨다고 해서법적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반대다.
최광준(TSCHE, Kwang-Jun)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4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을 받고 있는 공공미술관의 경우 미술품의 구입을 위해 사용할 수있는 재원이 한정되어 있어 천정부지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 고가의 유명미술품을 직접 구입하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많다. 독일의 경우도 공공 미술관의 구입예산이 아예 전혀 없는 경우에서부터 수십만 유로에 이르기까지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정도의 예산은 오늘날 거래되고 있는 고가의 미술품 가격을 고려할 때 턱 없이 모자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럽의 미술관은 모자라는 구입예산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양질의 소장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일까? 그 비밀은 영구대여에 있다. 미술관은 직접 구입하지 않고 콜렉터들로부터유명작품을 빌려서 전시한다. 대신에 미술관은 소속된 전문가들과 노하우를 활용해 빌려온 미술품을 최대한 잘 보존하고 관리해 준다. 결국 미술관으로서는 고가의 미술품에 대한구매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유명미술품을 전시하는 이익을 누릴 수 있다. 개인콜렉터의입장에서도 이 협력관계가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준다. 유명한 공공미술관에 작품이 전시되어 일반대중의 접근이 가능해지면 그 만큼 해당 미술품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는데, 결국 해당 미술품의 가치가 점차적으로 상승될 뿐만 아니라 그 작품 소장자의 품격도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릴 수 있게 된다. 영구대여는 특수한 형태의 사용대차라고 할 수 있다. 콜렉터는 미술관에 대해 자기 소유미술품의 사용, 즉 해당 미술품을 전시하도록 허락하는데, 이에 대해서 반대급부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결국 영구대여에 있어서는 증여의 경우와는 달리 콜렉터가 소유자로 남는다. 영구대여에서의 ‘영구’의 의미는 계약기간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할 뿐, 사용권이 무한정 미술관에 이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영구대여를 해 주는 콜렉터 역시 사용대차의 대주로써 자기 소유 미술품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갖는다. 이 반환청구가 실현됨으로써 소유와 점유의 계속적인 불일치를 언젠가는해소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영구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영구대여에 있어 미술관은 여러 가지의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데, 이 의무의 이행을 위해적지 않은 비용의 지출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콜렉터는 미술관이 한번에 전시할 수 있는수량보다 훨씬 많은 수량의 미술품을 한꺼번에 대여하는 것이 보통이다. 미술관으로서는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고 있음으로 해서 다양한 전시를 기획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전시에 사용되고 있는 미술품뿐만이 아니라, 사용되지 않고 있는 다수의 미술품들을 - 많은비용을 들여 - 수장고 등에 보관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적절한 보관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온도와 습도조절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냉난방 및 제습, 경우에 따라서는 가습 시설 이 필요하고 올바른 보관을 위해서 수장고나 보관함이 각각의 미술품에 적합하게 특수 제작되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이 모두가 상당한 비용을 요하는 일이다. 더구나 화재, 도난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데, 물건의 가치에 비례하여 보험비용이 결정되기 때문에 고가의 미술품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보험비용을 들일 수밖에 없다. 기간의 정함이 없는 영구대여관계의 법적 성질은 장기간의 사용대차라고 할 수 있는데,여기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차주가 언제 계약관계를 종료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국내의 미술관 실무에서는 영구대여의 사례를 거의 찾아 보기가 힘들다. 반면 유럽에서는 고가의 미술품에 있어 매우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거래의 형식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럽을 대표하여 독일법을 중심으로 영구대여의 사례들과 해결방안을 살펴본 후 우리 민법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맺는 말 부분에서 간략하게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미술품의 거래는 국경을 넘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는이유만으로 무관심해져서는 아니 된다. 한국의 콜렉터가 유럽 미술관에 자기의 작품을 영구대여할 경우 또는 한국 미술관과 외국 콜렉터 사이의 거래관계에 준거법으로 한국법이아니라, 독일법을 포함하여 EU 국가의 법이 적용될 경우 유럽의 미술관실무에서 적용되고있는 영구대여의 법리를 잘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 연구를 통하여, 영구대여의 관행이 거의 없는 국내의 미술계에서도 콜렉터와미술관 양쪽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거래형태인 영구대여(장기간의 사용대차)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기대해 본다. Leihgaben privater Kunstsammler sind ein wichtiger Teil der Bestände vieler Museen in Deutschland. Um zu gewährleisten, dass die Kunstwerke der Allgemeinheit langfristig in Ausstellungen zugänglich gemacht werden können, schließen das Museum und der Sammler häufig einen Dauerleihvertrag. Diese besondere Form der Leihe ist gesetzlich nicht näher ausgestaltet, was zu Problemen führen kann, wenn die Parteien, wie oft in der Praxis, die Vertragsbedingungen nicht im Einzelnen regeln. Unklar ist in diesen Fällen vor allem, unter welchen Voraussetzungen der Sammler die Leihe beenden kann. Diese Frage bildet den Schwerpunkt dieses Aufsatzes. Die Dauerleihgabe ist eine besondere Form des Leihvertrags. Der Sammler als Verleiher gestattet dem Museum den Gebrauch, das heißt die Ausstellung seiner Kunstwerke, ohne dafür eine Gegenleistung zu erhalten. Da der Entleiher zu keiner Gegenleistung verpflichtet ist, ist die Leihe kein gegenseitiger Vertrag. Anders als bei der Schenkung bleibt der Leihgeber Eigentümer der Leihgabe. Der Wortbestandteil“Dauer” weist darauf hin, dass die Gebrauchsüberlassung bei der Dauerleihgabe über einen längeren Zeitraum zu erfolgen hat. Die Dauerleihgabe führt aber nicht zu einer endgültigen Gebrauchsüberlassung; der Leihgeber bleibt zur Rückforderung des Leihgegenstands berechtigt. Das Rückgaberecht verhindert, dass Eigentum und Besitz dauerhaft auseinanderfallen. Der Begriff der Dauerleihgabe, der den Eindruck einer zeitlich endlosen Leihe vermittelt, ist folglich ungenau und taugt nicht als verbindlicher Rechtsterminus. Vorab soll untersucht werden, welche zeitlichen Grenzen die gesetzlichen Regelungen des Leihverhältnisses einer Dauerleihgabe setzen. Die Beendigung der Leihe ist in §§ 604f. BGB geregelt. Gemäß § 604 I BGB ist der Entleiher verpflichtet, die geliehene Sache nach Ablauf der für die Leihe bestimmten Zeit zurückzugeben. An einer „für die Leihe bestimmten Zeit” fehlt es aber bei der vertraglich nicht näher ausgestalteten Dauerleihgabe, so dass der Anspruch auf Herausgabe in diesem Fall nicht auf § 604 IBGB gestützt werden kann. Ist eine Zeit nicht bestimmt, so ist die Sache zurückzugeben, nachdem der Entleiher den sich aus dem Zweck der Leihe ergebenden Gebrauch gemacht hat, kann der Verleiher die Sache schon vorher zurückfordern, wenn so viel Zeit verstrichen ist, dass der Entleiher den Gebrauch hätte machen können. Haben die Parteien schriftlich oder, wie es in der Praxis üblich sein dürfte, durch mündliche Absprachen oder konkludente Handlungen einen Dauerleihvertrag vereinbart, so kann der Verleiher in der Regel nicht vor Ablauf von 30 Jahren die Kunstwerke herausverlangen. Ob ihm gem. § 605 BGB ein Kündigungsrecht zusteht, ist eine Frage des Einzelfalls. Solange das Museum seinen Pflichten nachkommt, können Kündigungsgründe jedenfalls nur aus veränderten Umständen auf der Seite des Verleihers resultieren. Kein besonderer, zur Kündigung berechtigender Umstand ist der Tod des Verleihers33, so dass die Erben von ihren Verpflichtungen nicht frei werden. Dies ergibt ein Umkehrschluss aus § 605 Nr. 3 BGB, der ein besonderes Kündigungsrecht ausschließlich für den Tod des Entleihers vorsieht. Ob Steuerlasten, die mit dem Tod des Verleihers zusammenhängen, einen nicht vorhergesehenen Umstand i.S. des § 605 Nr. 1 BGB darstellen, ist bislang nicht entschieden worden. Eine hohe steuerliche Belastung dürfte aber allenfalls zu einer Teilkündigung berechtigen, die sich auf die Kunstwerke erstreckt, deren Veräußerung erforderlich ist, um die Steuerlast zu tragen. Die Arbeit stellt die rechtlichen Probleme und die europäische Praxis der Dauerleihgabe der Kunstwerke zum erstan Mal in Korea vor, mit der Hoffnung, dass die sowohl dem privaten Ku
契約의 成立을 前提로 하는 普通去來約款의 適用과 行爲無能力者保護의 문제
崔光濬(Tsche, Kwang-Jun)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04 경희법학 Vol.39 No.1
Wird ein Geschäftsunfähiger auf der U-Bahn oder Eisenbahn als Schwarzfahrer angetroffen, so ist sein Schutz erforderlich. Der Verfasser vertritt hier die Auffassung, in solchen Fällen die vertraglichen Ansprüche zu verneinen und lediglich die bereicherungsrechtlichen Ansprüche geltend zu lassen, falls die Voraussetzungen hierfür erfüllt sind. Wird ein Geschäftsunfähiger Fahrgast auf U-Bahn ohne gültigen Fahrschein angetroffen, kommt gegen ihn ein Anspruch auf Zahlung der dreißigfachen Höhe des normalen Fahrpreises aufgrund § 53 Abs.1 der Seouler U-Bahn Verordnung in Betracht. Bei der Verordnung handelt es sich jedoch um allgemeine Geschäftsordnungen, für deren Gültigkeit ein wirksamer Vertrag vorausgesetzt wird. Zwar ist eine Generaleinwilligung des gesetzlichen Vertreters möglich, jedoch erstreckt sich diese nicht auf eine Fahrt ohne gültigen Fahrschein. Also ist es so auszulegen, dass die Zustimmung des gesetzlichen Vertreters mit der Bedingung erteilt ist, dass der Geschäftsunfähige einen gültigen Fahrschein erwirbt oder besitzt. Nach dem sog. Taschengeldparagraph des § 6 des koreanischen BGB ist anzunehmen, dass die Wirksamkeit des Beförderungsvertrages durch Zahlung des Fahrpreises bedingt ist. Damit wird vermieden, dass der Geschäftsunfähige zunächst Schuldner wird und so sein Vermögen in Gefahr bringt. Folglich ist daran festzuhalten, dass die Wirksamkeit des schuldrechtlichen Vertrages bei denGeschäftsunfähigen ohne gültigen Fahrschein von der Einwilligung des gesetzlichen Vertreters abhängt. Die Einwilligung des gesetzlichen Vertreters wird aber im Normalfall nicht zu erwarten sein, so dass die Wirksamkeit des Vertrages regelmäßig zu verneinen wird. Auch wenn man in solchen Fällen eine Vertragsannahme durch sozialtypisches Verhalten anerkennt, ändert sich nichts an die Verneinung der vertraglichen Ansprüche, denn auch dann kommen - entgegen der verbreiteten Auffassungen der koreanischen Literatur - die den Geschäftsunfähigen schützenden Regelungen der § 5 ff. des Koreanischen BGB in Anwendung. Im Falle der Eisenbahn kommt § 16 Abs.1 des Eisenbahngesetzes in Betracht. Es kann gut vertreten werden, die Regelung käme unabhängig von der Wirksamkeit des Vertrages in Betracht, da es sich nicht um allgemeine Geschäftsbedingung wie beim U-Bahn, sondern um ein Gesetz handelt. Das Eisenbahngesetz berücksichtigt aber nicht den privatrechtlichen Schutz des Geschäftsunfähigen. Es ist hier auch fraglich, ob das öffentliche Recht immer dem Privatrecht vorgehen soll. Das Eisenbahngesetz gehört zwar dem öffentlichen Recht, aber dem Gesetz ist wenig öffentlichrechtlicher Charakter zugemessen. Vielmehr regelt das Gesetz die “privatrechtlichen” Beziehungen zwischen Fahrgäste und Beförderungsunternehmen. Im Ergebnis kann angenommen werden, dass der Schutz des Geschäftsunfähigen ein höherrangiges Ziel ist, welches auch in der Geltung des Eisenbahngesetzes durchgesetzt werden soll. Anders als das deutsche Recht scheitern die deliktische Ansprüche nicht bereits daran, dass hier kein absolutes Rechtsgut verletzt wird, da die Verletzung eines absoluten Rechtsguts keine Haftungsvoraussetzung des koreanischen Deliktsrechts ist. § 750 des Koreanischen BGB, welche die deliktische Haftung regelt, kennt nach dessen Wortlaut fast keine Beschränkung für geschützten Rechtsgüter, so dass sogar ein bloßes Recht nach dem Deliktsrecht geschützt werden kann. Problematisch ist hier aber die Frage, worin der Schaden des Beförderungsunternehmens entsteht. wenn der Geschäftsunfähige Fahrgast ohne gültigen Fahrschein in die U-Bahn oder Eisenbahn einsteigt. Es könnte vertreten werden, dass dem Beförderungsunternehmen überhau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