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어린이 해열,진통제의 유치 법랑질 부식효과

        천수경 ( Su Kyung Cheun ),정문진 ( Moon Jin Jeong ),안용순 ( Yong Soon Ahn ),이예진 ( Ye Jin Lee ),고미경 ( Mi Kyung Ko ),정순정 ( Soon Jeong Jeong ),임도선 ( Do Seon L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3

        어린이 해열·진통제 중 안전상비의약품 3종을 유치에 적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유치의 표면과 경도변화를 SEM과 EDX로 비교·분석하여 부식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 측정 결과, 처리 전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1), 3일, 5일, 8일 경과 후 각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EDX를 이용하여 Ca과 P의 정량분석 결과, 유치 법랑질 기질 내 Ca은 8일 경과 후 각 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P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SEM을 이용하여 유치 표면을 관찰한 결과, pH가 가장 낮은 어린이용 타이레놀 정이 표면 거칠기가 가장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어린이 부루펜 시럽, 어린이 타이레놀 현탁액, 증류수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pH가 낮은 어린이 해열·진통제는 법랑질 표면에 치아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Ca과 P의 소실은 치아우식증에 이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린이 해열·진통제 투약 시 유·아동은 칫솔질과 같은 구강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약회사에서는 이러한 약품들을 복용한 유·아동들이 구강위생조치를 할 수있도록 약품 내 주의사항 안내서에 치아부식 가능성을 고지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regarding possible enamel erosion by three kinds of fist-aid antipyretic and analgesic medicines over a period of time,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ing deciduous teeth surface and microhardness chang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examine the surface erosion and changes. The Kruskal-Wallis test show differences in surface erosion and changes after 3, 5 and 8 days of treatment as well a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rly deciduous teeth enamel surface microhardness (p>0.01). However there were signigicant changes after 3, 5, and 8 days (p<0.01). Calcim (Ca) and phosphorous (P) analysis using ED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ame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tissue area after 8 day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areas for P content (p>0.05). In the surface observation with the SEM treatment with Children’s Tylenolⓡ tablet, which has the lowest pH, looked the roughest, followed by Brufen syrup for children and Children``s Tylenolⓡ susp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ntipyretic and analgesic medicines for children, which have lower pH values, may cause tooth erosion. Hence, it is necessary to give special attention to oral hygiene in young children or infants by brushing their teeth after such drugs are administered.

      • KCI등재

        불소도포 및 지각과민처치제 적용 후 상아세관 폐쇄효과와 지속력 평가

        이예진 ( Ye-jin Lee ),정문진 ( Moon-jin Jeong ),안용순 ( Yong-soon Ahn ),천수경 ( Su-kyung Cheun ),정순정 ( Soon-jeong Jeong ),임도선 ( Do-seon L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소화합물과 지각과민처치제의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비교분석하고,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유효성 분의 지속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지 3개월 이내의 우식이나 수복, 보철물이 없는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 35개를 선택하여 4등분하였고 이 중 135개의 시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들 시편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5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고, 실험군은 산성불화인산염, 불소바니쉬, Gluma, Super Seal, SE-Bond를 선정하여 대상치아에 도포하였다. 이후 1주(140회), 2주(280회), 4주 (560회)에 해당하는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였고, 각 시편별 3 부위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상아세관 폐쇄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동칫솔질 시행 1주, 2주, 4주에서 모두 불소바니쉬 도포군의 상아세관 폐쇄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SE-Bond 도포군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Gluma 도포군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가장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으며, 칫솔질 시행 4주에서는 Gluma 도포군과 Super Seal 도포군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처치 4주 후에도 불소바니쉬와 SE-Bond는 다른 실험군에 비해 상아세관 폐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지각과민 치료 시 불소바니쉬와 SE-Bond의 사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ccluding effects of fluoride compounds and desensitizers, which are commonly used in dental clinics, on dentinal tubule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persistence of the active ingredients over time by performing toothbrushing with an electric toothbrush. Thirty-five molar teeth, which had been extracted within the past 3 months from healthy people without tooth decays, amalgam fillings, or dental crowns, were divided into 4 pieces each. Of these, 135 teeth pieces were used as study specimens. Thes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 untreated group, and 5 experimental groups (acidulated fluoride gel, fluoride varnish, Gluma, Super Seal, and SE-Bond). The specimens were then subjected to toothbrushing equivalent to 1 week (140 times), 2 weeks (280 times), and 4 weeks (560 times), and the occluding effects on dentinal tubules in 3 regions of each specimen were examin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luoride varnish treated group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dentinal tubule occlusion effects during the first, second, and fourth weeks of toothbrushing, with the SE-Bond treated group showing the second highest degree and the Gluma treated group showing the lowest degree. After 4 weeks of toothbrushing, the Gluma treated group and the Super Seal treated group showed the lowest degrees of dentinal tubule occlusion effects. In summary, the fluoride varnish treated group and the SE-Bond treated group displayed higher occlusion effects even after 4 weeks of treatment than di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refore, it is the authors’ belief that fluoride varnish and SE-Bond are effective for treating dentinal hyperesth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