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도시브랜드 개성과 아이덴티티 요소의 관계 분석 - ‘선전’시를 중심으로 -

        주월동 ( Zhou¸ Yuetong ),김면 ( Kim¸ Myo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오늘날 도시는 규모에 상관없이 무형자산이 있는 전 세계 도시들을 상대로 경쟁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다른 도시와 확연히 차별화될 수 있는 요인을 구축하는 ‘브랜드 개성’이 있으므로 이를 연구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 브랜드 개성과 아이덴티티 요소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의 대표 도시 선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을 실시했다. 전문가의 FGI조사 결과를 토대로 선전에 방문하는 중국인(선전시민 제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브랜드 개성 측정항목은 15가지,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는 8가지로 구성된다. 둘째, 도시 브랜드 개성 측정항목은 독특성, 믿음성, 매력성, 역동성, 편안성 등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은 ‘시각적 요소’, ‘자연적 요소’, ‘계획적 요소’ 등 3가지로 정리된다. 셋째,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개성 요인은 독특성, 믿음성과 매력성 요인 등으로 도출되었으며, ‘자연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개성 요인은 매력성과 역동성 그리고 편안성 요인으로, 그리고 ‘계획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개성 요인은 믿음성, 역동성 그리고 편안성 요인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도시가 가지고 있는 정확한 특성을 탐색하여 중국 선전 브랜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cities of all sizes are competing against cities around the world. At the center of this is the ‘brand personality’ that builds a factor that can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so it is noteworth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brand personality and identity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Shenzhen, a representative city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s FGI surve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Chinese (not Shenzhen citizens) visiting Shenzh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rban brand personality measurement items consist of 15 items and city brand identity elements consist of 8 items. Second, urban brand personality metrics consist of five factors: uniqueness, credibility, attractiveness, dynamism, and comfort. I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rategic'. Third, the brand personality factors affecting the 'visual perception aspect' of urban brand identity were derived as uniqueness, reliability and attractiveness factors, and the brand personality factors affecting 'nature and environment' were attractiveness and dynamism. And as a comfort factor and brand personality factors affecting 'planning and strategy', reliability, dynamism, and comfort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brand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in Shenzhen, China by exploring the precis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ities.

      • KCI등재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도시 브랜드 디자인 방향 -중국 도시‘선전’을 중심으로-

        주월동 ( Zhou Yuetong ),김면 ( Kim Myo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현대 도시 디자인의 의미는 단순히 도시환경 디자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브랜드라는 추상적 가치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세계의 도시들은 도시의 발전과 경쟁력을 지속시키기 위해 도시 브랜드 디자인을 활용하고 있으며, 도시 브랜딩 전략은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최근 중국경제가 전면적으로 개방되며 중국 내 많은 도시가 이러한 취지에서 브랜드 개발을 시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선전’을 중심으로 브랜드가 도시 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 도시 브랜드 디자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했다. 우선, 도시 브랜드 디자인과 도시 브랜드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중국내 도시인 홍콩, 상하이 두 도시와 해외 도시인 바르셀로나, 뉴욕, 교토, 부산 4개 도시의 브랜드와 도시 이미지를 실증 분석했다. 또한, 중국 선전의 도시 브랜드 디자인을 분석해 이것을 국내외 도시 이미지와 비교했다. 비교 분석한 결과, 도시 브랜드 가치가 높고 좋은 도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뉴욕의 ‘I♥NY’은 개혁적인, 다문화적인, 신뢰감, 도시 이미지로 브랜드 차별화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선전’의 도시 브랜드는 도시 이미지와 다문화적 이미지에서 높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이는 도시 브랜드 디자인과 도시 이미지가 정비례의 관계에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향후 ‘선전’의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전’의 도시 브랜드 디자인이 관한 문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우선 도시 브랜드를 위한 전략이 마련된 후 도시 브랜드의 디자인의 계획적인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meaning of modern urban design is not just limited to urban environment design but is expanding to the abstract value of the urban brand. Cities around the world are using urban brand design to sustain th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cities, and urban branding strategies provide a direction for enhancing the brand value of cities and ultimately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a sustainable city. In particular, the Chinese economy has been fully opened in recent years, and many cities in China are starting to develop brands for this purpos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brands on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focusing on Shenzhen one of the major cities in Chin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brand design.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brand design and urban brand image, the brand and urban image of two cities in China, Hong Kong and Shanghai, and four cities overseas, Barcelona, New York, Kyoto, and Busan, were empirically analyzed. In addition, it analyzed the urban brand design in Shenzhen, China, and compared it with the image of cities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I♥NY' of New York, which has a high city brand value and a good city image, scored high in brand differentiation with its innovative, multicultural, trustworthiness, and urb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 city brand of Shenzhen did not get a high score for the city image and multicultural imag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urban brand design, the higher the score of the urban image was,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at urban brand design and urban image are in a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of Shenzhen in the future, the problem of urban brand design in Shenzhen needs to be urgently improved. To this end, a strategy for an urban brand must first be prepared, followed by planned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an urban br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