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외파생상품거래의 규제에 대한 연구 -미국의 도드-프랭크법(“Dodd-Frank Act”)의 규제를 중심으로-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1

        이 논문은 2010. 7. 21. 제정된 미국의 “도드-프랭크 월스트리트 개혁 및 소비자 보호법 (이하 “도드-프랭크법”)”의 내용 중 장외파생상품의 규제에 관한 주요 내용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법은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 금융소비자 보호 등 미국의 금융시장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광범위하게 제시하고 있는 미국의 금융 규제에 있어 가장 광범위한 입법으로서 무려 16개의 장(title)으로 구성된 총 848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법인바, 미국의 금융시스템 전반에 있어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도드-프랭크법의 주요한 내용은 소비자 금융보호국(Bureau of Consumer Financial Protection)과 금융안정감독위원회 (Financial Stability Oversight Council) 등의 새로운 규제기구의 신설과 은행의 자기자본 거래(proprietary trading)를 금지하는 볼커 룰(Volcker Rule)의 도입, 신용평가회사의 강화된 투자자보호의무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이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장외파생상품의 규제에 관한 장은 제 7장 “월스트리트 투명성 및 책임(Wall Stree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으로서, 그 핵심적인 내용은 규제기구 간의 협력의무의 신설을 통한 통일적인 규제체계의 정비, 장외파 생상품매매업자의 건전성과 신뢰성 확충을 위한 자본과 증거금 요건 및 강화된 영업행위 준칙의 제정 등을 포함하여 더 나아가 장외파생상품의 거래에 있어 반드시 일정한 요건을 갖춘 스왑실행기구(Swap Execution Facility)나 적격거래소(Designated Contract Market)에서 거래될 것을 강제하고, 자격을 갖춘 중앙청산소(Central Clearinghouse)에서 청산이 이루어 질 것을 요구하며, 스왑이나 증권기초스왑과 관련된 스왑 기구에 대한 연방의 지원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등으로서, 이를 통해 그간 규제의 공백상태에 있던(deregulation) 장외파생상품 거래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제고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고 금융 시스템의 안전성을 제고하고자 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도드-프랭크법의 장외파생상품의 규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분석을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면서, 국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상의 장외파생상품의 규제에 관한 내용을 비교한 후, 도드-프랭크법의 새로운 개혁 내용, 특히 중앙청산소를 통한 청산 등에 관한 내용이 우리 자본시장법의 추후 개정 방향과 관련하여 가지는 시사점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This article will perform the survey on key provisions of Over-the-counter derivatives (OTC derivatives) regulations in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hereinafter Dodd-Frank Act)” which was signed in 2010 by U.S. President Barack Obama. The Dodd-Frank Act is the far most extensive legislation in U.S. financial regulations, which is comprised of 16 tittles and amounts to 848 pages, and exercises strong influence throughout the whole U.S. financial system. Some of the principal reformations are1) establishment of new regulation entity including Bureau of 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and Financial Stability Oversight Council, 2) enactment of Volcker Rule, which prevents banking industry from proprietary trading, 3) enhanced obligation for credit rating companies to protect investors. Among the numerous reformations enacted in Dodd-Frank Act, this article will focus on the title 7, “Wall Stree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which covers the regulations of OTC derivatives. The key provisions in this title are 1) imposing cooperation duty to regulating entities(i.e. SEC and CFTC), 2) capital and margin requirements for swap and security-based-swap dealers, 3) enhanced business conduct rules required to dealers and major market participants, 4) obligation to trade in properly regulated exchanges such as Swap Execution Facility and Designated Contract Market, 5) obligation to clear in eligible clearinghouses, and 4) prohibition of federal assistance to swap entities, which aim to restor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trading OTC derivatives which was hardly regulated since enactment of CFMA in 2000, thus protect investors and reinforce soundness in financial system. This article will also examine regulation of OTC derivatives in Korea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with the Dodd-Frank Act, and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e OTC derivative regulation in Dodd-Frank Act in future revision on Korea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with focus on establishment of central clearinghouse.

      • KCI등재

        문화재의 불법적 국제 거래에 대한 형사 책임에 관한 연구

        주강원(Joo, Kang-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江原法學 Vol.64 No.-

        불법문화재 유통의 효과적인 근절을 위하여 불법 반출된 문화재의 반환과 소유권의 회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문화재의 반출과 유통에 관여한 행위자에게 형사 책임을 묻는 것 역시 실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문화재보호법은 지정문화재 및 일반동산문화재의 국외 반출 금지 의무(문화재보호법 제39조 제1항, 제60조 제1항 등)에 위반하여 문화재를 국외로 수출 또는 반출하거나 또는 이를 알면서 해당 문화재를 양도 양수 또는 중개하는 행위, 즉 우리 문화재의 국외 반출에 관여하는 행위를 처벌하고 있으나(문화재보호법 제90조), 타국에서 불법적으로 반출되어 국내로 반입된 해외 문화재를 국내에서 유통하는 행위를 처벌하고 있지 아니하다. 이에 이 논문은 타국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불법적으로 반출된 문화재를 자국내에서 유통하는 행위에 대하여 형사 책임을 묻고 있는 미국의 연방법으로서 도난물품법(National Stolen Property Act)과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재의 도난 및 불법적인 취득, 발굴, 수출, 수입, 시장에서의 유통 등의 행위에 대한 형사 처벌에 관한 협약인 문화재 관련 범죄에 관한 유럽 평의회 협약(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Offences relating to Cultural Property)의 주된 내용을 소개하고 우리 문화재보호법에의 시사점에 대하여 살피고자 한다. 국제적인 협력이 강하게 요청되는 불법적인 문화재 거래 규제의 특성상 국외 반출과 국내 수입 및 유통을 포괄적으로 규제할 때에 비로소 불법적인 문화재 약탈과 거래에 대한 효과적인 대웅이 될 수 있다. 이에 국외 반출로부터 우리 문화재를 보호하려는데 초점을 맞춘 문화재거래법의 협소한 규율을 탈피하여 불법적으로 수입되어 거래되는 외국 문화재의 국내 유통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규제하여 균형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It is highly important in preventing and eradicating the illicit trade of the cultural property to recover the cultural property which had been unlawfully excavated or exported and to restitute its title. At the same time, imposing criminal sanctions on the offenders who engaged in trafficking and distributing illicit cultural property would be as effective as seeking civil measures. Regarding the criminal liabilities, Korea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provides penalties on outbound export, trade and/or dealing of cultural properties in violation of the act, but fails to penalize the import and the domestic sale of the foreign cultural properties which were unlawfully exported or excavated from their states of origin.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foreign legislations, which penalize the offenders who engage in the domestic sale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properties exported without lawful authorization of the states of origin, such as “National Stolen Property Act of U. S.” and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Offences relating to Cultural Property(hereinafter ‘Nicosia Convention’)”, and to consider their implication on Korea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by analyzing the relevant provisions in order to regulate illicit trade of the foreign cultural property in the domestic market.

      • KCI등재

        상법상 준법통제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1

        This paper purports to address the desirabl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standard of compliance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compliance officer. For this purpose operation of Compliance and Ethics Program, which is mandated by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on condition of probation or mitigation of punishment,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compliance standards provided in Corporate Integrity Agreement, which is offered to health care providers b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ill be compared to those prescribed in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and current trend that requires corporations to distinguish compliance function from general counsel will be discussed. On this ground the status and authority of compliance officer according to Korean Commercial Code will be examined and the plausibility and necessity of separation of compliance function and legal counseling function will be discussed. In this light compliance officer`s obligation of periodical report and frequent access to board should be ensured. Finally decisions made in Delaware courts on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of directors regarding compliance control and maintenance of compliance system will be analyzed. In re Caremark case, the leading case in acknowledging director`s oversight duty, will be compared to Stone v. Ritter case, which provided stricter standards in accepting director`s liability arising from failing to discharging duty to monitor, and recent cases decided in line with Stone case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예술의 법적 정의에 관한 고찰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홍익법학 Vol.12 No.1

        이 논문은 법과 예술의 관계 및 예술의 법적 정의에 대한 고찰을 다룬다. 이를 위해 예술법 분야에 있어 선도적인 국가인 미국에서 예술법이 발전하게 된 역사를 먼저 살핀 후, 미국의 연방 법규와 판례를 통해 구체적인 사안에서 예술은 어떻게 정의되고 해석되었는지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각 주법에서의 예술의 정의를 비교하여 미국의 연방법과 주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국내의 문화예술진흥법과 저작권법 등의 태도와 비교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적으로 국제협약 등에 나타난 예술의 정의도 함께 고찰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문화 예술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법규에서도 예술을 해당 법규 내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규정하여 적합한 법적보호를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aw and legal definition of art. For this purpose the brief history of art law in U.S. will be introduced in the beginning. Secondly U.S. federal statutes and cases will be analyzed to review how art was defin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contexts. Third, selected state statutes will be examin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definitions in the respective state statute. Also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current articles in Korean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Copyright Act will be reviewed for comparison. On this ground, it will be asserted that more precise and detail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rt in the Korean statutes is needed to provide proper protection to pertinent type of art.

      • KCI등재

        상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의 제한에 관한 연구 -지상 제3자에 대한 책임의 제한을 중심으로-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1

        With focus on limitation of liabilities to damage to the third parties on surfa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provisions on liabilities of Air Carriers in Commercial Code, which was adopted on May 23, 2011. Chapter on Air Carriage of Commercial Code, which was adopted in 2011 revision, seems to incorporate international conventions which took place of domestic legislation on privat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air carriage, such as Convention for the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for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i. e. Montreal Convention), Convention Suppelementary to the Warsaw Convention for the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Relating to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Performed by a Person other than the Contracting Carrier, Signed in Guadalajara on 18 September 1961(i.e. Guadalajara Convention), Convention on Damages Caused by Foreign Aircraft to Third Parties on the Surface (i.e. 1952 Rome Convention), Protocol to Amend the Convention on Damages Caused by Foreign Aircraft to Third Parties on the Surface(i.e. 1978 Rome Convention). Among the provisions of Chapter 6 Air Carrier of Commercial Code, this Paper shall focus on the limitation on liabilities of air carrier. For this purpose, firstly principal provisions on air carriers` liabilities in Montreal Convention and 1978 Rome Convention will be presented. Secondly, main provisions of Convention on Compensation for Damage to Third Parties, Resulting from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Involving Aircraft(i. e. Unlawful Interference Convention) and Convention on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Aircraft to Third Parties (i.e. General Risk Convention), which was adopted at Diplomatic Conference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n Montreal on May 2, 2009, in a bid to overcome the criticism of 1978 Rome convention, will be examined. Finally, appropriateness of the provisions of Commercial Code on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Aircraft to Third Parties on the Surface, which refelected 1978 Rome Conven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일반논문 : 재난과 재난법에 관한 소고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2

        이 논문은 이에 현대 사회에서의 재난의 의미는 무엇이며, 재난법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지 및 재난법의 기능과 역할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첫째, 이 논문은 학문적으로 재난과 재난법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재난을 정의하기 위한 요소로서의 위험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및 공동체의 대응능력과 재난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본다. 둘째, 재난의 대응과 관련하여 국제법적으로 재난은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재난의 국제공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분야별 지역별 국제협약 및 국제규칙을 검토하고 그 중 특히 정보통신자원의 국제적 지원과 관련한 탐페레협약 및 전염병의 예방 및 확산 방지와 관련한 세계보건기구의 신보건규칙상의 국제공조에 대해서 알아본다. 셋째, 최근 발표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안의 검토와 관련하여 미국과 일본의 재난관리에 관한 기본법인 스태포드법과 재해대책기본법을 살펴보고 우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및 그 개정안과 비교한다. 비교법적인 고찰을 통해 각국의 재난법의 체계를 살펴보고 특히 재난의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재난의 구호에 대한 규정체계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한 후 및 앞으로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에 관하여 제시할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contemplate on what would be the meaning of disaster, how the disaster law should be defined and what would b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disaster law in the modern era of risk society. In this regard, firstly, this article shall look into the theoretical meaning of disaster and disaster law in various context by analyzing natural and social risk factors which constitute a disaster, an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 ability of a community and a disaster. Secondly, this article shall examine the definitions of disaster in the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nven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s rendered by parties to those treaties and convention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regional or sectoral conventions and treaties will b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Tampere Convention on the Provision of Telecommunication Resources for Disaster Mitigation and Relief Operations and WHO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Finally Robert T. Stafford Disaster Relief and Emergency Assistant Act of U.S. and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Act of Japan will be briefed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Korea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nd its recent amendment draft. In this comparative approach the structure of each respective legislation and the difference of provisions regarding assistance to the victims and measures for reconstruction will be analyzed with a view to presenting desirable improvement direction.

      • KCI등재후보

        국제항공운송 분쟁에서의 관할에 관한 연구 -미국 판례법에 나타난 몬트리올 협약의 해석을 중심으로-

        주강원 ( Kang Won J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硏究 Vol.23 No.3

        이 논문은 항공기의 사고로 인하여 항공운송인에 대해 손해배상소송이 제기될 경우의 국가간 국제재판관할(jurisdiction)에 대하여 살피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 국적의 원고들이 미국의 법원에서 제소할 경우의 관할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몬트리올 협약은 운송인의 주소지, 주된 영업소, 계약을 통해 운송인이 영업소를 가지는 곳 또는 목적지에 위치한 가입국에 공통적인 관할을 인정하고, 더 나아가 손해가 여객의 사망이나 상해로 인한 경우 여객의 주된 영구적 거주지가 위치한 가입국의 법원에 국제재판관할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관할 중 여객의 주된 영구적 거주지의 관할은 몬트리올 협약의 채택 당시에 새로이 추가된 이른바 ‘제5의 관할’로서 채택 당시 특히 논란이 많았던 규정이다. 이 논문에서 주된 관심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제5의 관할의 해석과 관련된 미국 판례법의 태도이다. 이른바 제5의 관할은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채택 당시 미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타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력히 주장하여 관철시킨 조항이다. 따라서 이에 의해여 미국 시민은 운송인의 주소지와 영업소, 도착지 등이 미국이 아닌 국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5의 관할의 규정에 의해 타국에 비해 손해배상액을 높게 인정한다고 평가되는 자국 법원에서 편리하게 소송을 할 수 있는 이익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시민권자가 아니거나 미국이 아닌 국가에 거주하는 자들의 경우, 미국에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되더라도 미국 외의 국가에도 역시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될 경우 미국은 불편한 법정의 원칙(forum nonconveniens)에 의해 관할을 부정될 수 있어 미국내에서 제소하고자 할 경우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외국인인 우리나라 국적의 원고가 우리나이 논문은 항공기의 사고로 인하여 항공운송인에 대해 손해배상소송이 제기될 경우의 국가간 국제재판관할(jurisdiction)에 대하여 살피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 국적의 원고들이 미국의 법원에서 제소할 경우의 관할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몬트리올 협약은 운송인의 주소지, 주된 영업소, 계약을 통해 운송인이 영업소를 가지는 곳 또는 목적지에 위치한 가입국에 공통적인 관할을 인정하고, 더 나아가 손해가 여객의 사망이나 상해로 인한 경우 여객의 주된 영구적 거주지가 위치한 가입국의 법원에 국제재판관할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관할 중 여객의 주된 영구적 거주지의 관할은 몬트리올 협약의 채택 당시에 새로이 추가된 이른바 ‘제5의 관할’로서 채택 당시 특히 논란이 많았던 규정이다. 이 논문에서 주된 관심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제5의 관할의 해석과 관련된 미국 판례법의 태도이다. 이른바 제5의 관할은 1999년 몬트리올 협약 채택 당시 미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타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력히 주장하여 관철시킨 조항이다. 따라서 이에 의해여 미국 시민은 운송인의 주소지와 영업소, 도착지 등이 미국이 아닌 국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5의 관할의 규정에 의해 타국에 비해 손해배상액을 높게 인정한다고 평가되는 자국 법원에서 편리하게 소송을 할 수 있는 이익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시민권자가 아니거나 미국이 아닌 국가에 거주하는 자들의 경우, 미국에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되더라도 미국 외의 국가에도 역시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될 경우 미국은 불편한 법정의 원칙(forum nonconveniens)에 의해 관할을 부정될 수 있어 미국내에서 제소하고자 할 경우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외국인인 우리나라 국적의 원고가 우리나라 항공사를 상대로 제소하고자 할 경우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되더라도 미국의 법원은 미국이 당사자들에게 불편한 법정임을 이유로 쉽게 청구를 배척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미국 판례의 분석을 통하여 미국 법원이 제5의 관할을 통하여 자국민의 외국 항공사에 대한 청구를 미국내에서 널리 받아들이고 있는 반면, 협약상의 관할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불편한 법정의 원칙에 의해외국인의 청구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경향을 분석하고 각각의 요건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international jurisdiction regarding claims for the compensation of damages against air carriers arising from aircraft accident, with focus on the situation where plaintiffs with Korean citizenship intend to invoke treaty jurisdiction permitted by Montreal Convention 1999 in the territory of United States. Montreal Convention provides 5 jurisdictions in Article 33; domicile of the carrier or its principal place of business, or where it has a place of business through which the contract has been made or the place of destination, and in respect of damages resulting from the death or injury of a passenger, the principal and permanent residence of passengers in the territories of State Parties. Among these 5 jurisdictions, the principal and permanent residence of passengers is the so-called ``the fifth jurisdiction``, which was newly added to the Montreal Convention and was the most controversial in the course of drafting. This paper will analyze mainly the U.S. federal courts` decisions in regar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fifth jurisdiction in Montreal Convention, which was strongly supported by United States in spite of the opposition from other countries, with a view to protect the right of American citizens to seek remedies. With this new jurisdiction, American citizens or permanent residents are now permitted to bring suits before the courts of their own country, which are known to grant relatively higher compensations for damages than those which are granted in the courts of other countries, even in the situation where carrier`s domicile, principal place of business or destination is not located in the territory of United States. However for plaintiffs without American citizenship or permanent residency, American courts are inclined to dismiss the case on the ground of forum non conveniens even in the case where the jurisdiction of the Montreal convention exists. Especially when foreign plaintiffs bring suits against foreign air carriers, there are high likelihood that American court will dismiss the case asserting that it is inconvenient forum for part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shall examine the tendency of U.S. federal courts to accept more cases brought by American citizens based on the fifth jurisdiction and to accept limited cases brought by foreigners on the ground of forum non conveniens.

      • KCI등재

        전자선하증권의 현황과 법적 과제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1

        The trade is defined as the transaction between the parties located in the different states, and trade is based on the transportation of goods from one state to another, which is called carriage. The carriage is classified in three diffenent groups; the land carriage, the air carriage and the carriage by sea, which takes the most part in the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The Bill of Lading(hereinafter “B/L”), the most commonly used document of carriage is the document that ensures the receipt and shipment of the freight and the electronic B/L is the electronic form of document which issues and registers B/L in the electronic way. The electronic B/L has been discussed in response to the B/L crisis under which the traditional B/L required considerable time in drafting, delivering, verification, etc., and had difficulty in keeping up with the actual transportation of the freight. Another problem with the traditional paper B/L is that it bears the risks of forgery, alteration and loss and also the costs in regard to issuing and maintaing. Moreover the current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is inclined to the electroniz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2007 Commercial Act of Korea was amended to provide the articles and regulation for the electronic B/L, which allow the issuance of the electronic B/L by means of registration with the registry agency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Justice and transfer of the electronic B/L through the said designated registry agency. This legislation would prevent the risks related to forgery, alteration and loss, reduce the costs of issuing, maintaining and distribution. The goal in adapting the electronic B/L system is to facilitate the electronic trade and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hsed uTradeHub(https://www.utradehub.or.kr/) which provides e-B/L service. For all this goodness of the electronic B/L, it has not been commonly used in the trade practice. In this paper the practical, systemical and legal issues would be analyzed. Among these issue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legal issues and the plausible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surrounding the current practice in regard to the electronic B/L.

      • KCI등재

        상법상 특별배임죄에 대한 연구

        주강원 ( Kang Won Jo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法學硏究 Vol.18 No.3

        Korean Commercial Code Articles 622 through 624 have penal provisions punishing misappropriation done by corporate officials including directors, promoters, auditors, etc., which are special provisions to misappropriation in the conduct of business prescribed in Korean Penal Code. Similar legislative approach is rarely seen except in German and Japanese law, and application of such provisions are not common in Korean practice. Thus this article shall examine issues and arguments such as the subject, the legal interest, and the nature of the crime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and analyze actual behaviors constituting misappropriation shown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law, and finally deal with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