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난 40년 간 공포소구 연구의 통합

        이병관(Byoung Kwan Lee),손영곤(Young Kon Sohn),서동명(Dong Myoung Seo),좌보경(Bo Kyoung Jwa),홍현호(Hyun Hho Hong),이진우(Jin Woo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3

        본 연구는 지난 40여 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공포소구가 수용자의 태도나 행동변화에 미치는 설득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 12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포수준이 증가할수록 커뮤니케이션 수용자들의 지각, 태도, 행동의도, 행동에 직접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었다. 반면 공포유형의 설득 효과는 공포수준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 제시 형태별로는 이미지나 텍스트를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텍스트만을 적절하게 변화하는 것만으로도 설득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행동변화를 행동중단과 행동권고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행동권고가 더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공포 소구에 의한 설득 효과의 방향과 강도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통합하여 체계화된 결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 quantitative integration and review of the persuasive effect of fear appeals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 in Korea. A meta-analysis of 12 studies in major academic publications over the past 40 year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s that strong fear level were more persuasive on perceptions, attitudes, intentions, behaviors than low fear appeal. But it is found that the effects of fear type were weak. In regard to the types of manipulation, stimuli using text messages alone produced higher effects than the combination of image and text. Results also shows that fear appeal to promote commencement of a new desirable behavior have a greater average effect size than fear appeal promoting the cessation of an existing undesirable behavior. This study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fear appeal research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