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연구 : 시대에 따른 서술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승연(Lee Seungyeon),조현준(Jo Hyeonjun),윤명식(Yoon Myungsik),전혜리(Jeon Hyer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고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조선어 교재의 서술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말회화(류학생용)>(1984),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2015, 2017), <쉽게 배울수 있는 조선어>(2019)의 세 교재를 바탕으로 교재에 나타나는 서술 방향을 살펴보았다. 세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시간’, ‘장소’, ‘표현’의 예문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일과 날짜, 절기 등의 시간을 다룬 과에서는 <1984>에서 흔하게 나타나던 지도자 일가에 대한 찬양이나 북한 체제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드높이는 표현이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장소를 다룬 주제에서도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북한의 체제를 강조하고 칭송하던 표현들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1984>에서 사용된 주변국에 대한 주관적인 표현, 모든 주제에서의 북한 정권의 찬양과 추대 등은 2010년대에서는 드러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1980년대에는 북한의 주체사상 및 북한 정권의 찬양과 추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2010년대의 교재에서는 사실적인 정보를 서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지도자 일가에 대한 찬양이나 북한 체제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드높이는 표현이 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s paper took notice of the changes in the narrative styles of cho-sŏn-ŏ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m being a potential curriculum. Concretely, the directions of narrations appearing in these textbooks were examined based on three textbooks, namely <cho-sŏn- mal-hoe-hwa(lyu-hak-saeng-yong)>(1984), <hon-cha-sŏ pae-ul su iss-nŭn cho-sŏn-mal>(2015, 2017), and <swip-ke pae-ul-su iss-nŭn cho-sŏn-ŏ> (2019).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example sentences for “time,” “place,” and “expression,” which are commonly mentioned in the thre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essons dealing with time, such as the days of week, dates, and seasons, expressions that praised the leader, or emphasized and praised the stabi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were observed to disappear. Second, the expressions that emphasized and praised the North Korean system in subjects that dealt with places were observed to decrease as the times changed.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expressions for subjective self-reliance ideology that had been used to undermine the neighboring countries until <1984>, and expressions in the praise of and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regime in all subjects were no longer used in the 2010s. While the praise of and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self-reliance ideology and the North Korean regime accounted for large portions of textbooks in the 1980s, the textbooks in the 2010s described only factual information. As a result, the expressions that praised the family of the leader or emphasized and praised the stabi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showed a tendency of disappearing from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