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을 가꾸어 가는 "이야기 도덕" 실천 사례

        조인실 ( In Sil Ch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아이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는 이야기적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 ‘이야기 도덕’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로 자신의 삶을 만들고 가꾸어 가는 도덕이다. ‘이야기 도덕’은 이야기를 도덕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살고 이야기하고 이야기를 살고 다시 이야기하는 이야기로 도덕을 살아낸다. ‘이야기 도덕’에서 살아내는 도덕은 나와 모든 사람의 좋은 삶을 위한 실천지이다. ‘이야기 도덕’은 이야기로 살아내기 위해 교사와 아이들은 다양한 실천경험을 하게 된다. 자신의 실천 경험을 이야기로 만들면서 스스로 삶을 구성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간다. 실천경험들이 의미와 통일성을 지난하나의 이야기가 되면서 아이들은 자신의 삶을 만드는 주체가 되고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가꾸는 도덕적 주체가 된다. 본 연구는 이야기 도덕을 통해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구성하면서 도덕적 존재가 되어 가는 과정을 경험이 이야기된 현장이자 경험을 탐구하는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Children constantly live their lives through talking. Narrative moral is the idea in which children cultivate their lives in conjunction with their favorite narratives. Narrative moral doesn``t utilize narrative as a way of moral education. Narrative moral is a simple concept that only requires one to live and talk through their life. Narrative Moral results in greater wisdom about one``s self and environment : creating a better life for everyone involved.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a variety of practical experiences that can result in moral narrative. They beautifully cultivate their narratives through these practical experiences. This narrative has meaning and unity as it is cultivated by both teachers and children. This study details the process in which children create their lives around narrative and how this narrative impacts their morality. This narrative quest is a way to explore one``s own experience in the world.

      • KCI등재

        다문화 공감교육 실천 사례 연구-비폭력대화와 회복적 정의를 중심으로

        조인실 ( Cho In Sil ),김세광 ( Kim Se Kwang ),안지영 ( Ahn Ji You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5

        이 글은 `다문화 공감교육`실천 사례에 관한 세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다. 구체적인 실천 모델은 `비폭력대화`와 `회복적 정의`의 패러다임과 기술이며,내러티브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연구 과정은 `이야기에 들어가기(“모두 달라요”),이야기 살기(“달라도 괜찮아”),다시 이야기하기(“달라서 아름다워”)`로 진행되었다.연구 결과는 첫째,다양한 학습 주체들이 상호작용하는 학교 현장에서의 현실을 생생하게 비춰봄으로써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되짚어 볼 수 있었다.둘째,현장 교사 연구자와 각 분야 전문가인 두 연구자가 함께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실행함으로써 이론과 실제가 조화를 이루었다.셋째,교사와 아이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다문화 공감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구성되는 계기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향후 다문화 교수자 및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by three researchers on practical cases of `Multicultural Empathy Education.` The specific practical model is a paradigm and description of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consisting of narrative curriculum. The research process i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Telling a story (“We all are different.”), living the story (“It is okay being different.”) and retelling the story (“We are beautiful because we are different.”). When it comes to the outcomes, first, it reminded us of the assign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vividly describing the reality of schools where various learning subjects ar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Second, the two researchers (a teacher and a specialist for each field) worked together to seek and execute the curriculum so that the theories and practice were balanced. Third, it was able to identify the opportunities and details of how practical knowledge was established on multicultural empathy education through the narratives of teachers and children. It is expected to use the research outcomes as basic data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s and learners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

        도덕교육을 위한 실천적 내러티브 운영 사례 연구

        조인실 ( In Sil Ch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인간은 시간 속에서 내러티브(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드러낸다. 즉 인간은 살고 이야기하며, 다시 살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을 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내러티브는 도덕교육에서 예화나 스토리텔링의 한 기법으로서 활용되었다. 그러나 도덕교육에서 내러티브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로서 수동적 역할을 하는데 머물면서, 학생들 자신의 내러티브를 주체적으로 도덕교육으로 끌어들이는 데는 소홀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 삶을 구성하는 도덕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천적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실천적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교사가 각각의 학생이 자신의 존재의미와 목적을 이야기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이 도덕적 존재구성의 과정이 되도록 돕는 교육적 삶의 형성과정이다.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실천적인 삶의 이야기인 실천적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탐구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존재를 구성하면서 도덕적 존재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People reveal meanings for their existence through narrative in their time. That means people compose of themselves in the continual process of living and talking. Narrative was used as a technique in moral education as fables or storytelling . But the narrative in moral education has failed to attract students` own active narratives ; the moral education plays a passive part as a story which a teacher tells thei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design their own moral curriculum that mainly composed of their lives. This study composed of practical narrative curriculum explores this. Practical narrative curriculum is the developing process of educational lives that a teacher uses to help students compose meaning and purpose for their existence, the composing process of moral existence. This research study shows how students compose of their moral existence and the study analyzes and explains practical narrative, the practical talk between a teacher and their students`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