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문제에 대한 Bobbitt의 패러독스적 해법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의미

        조상연 ( Sangyean J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시대가 제기한 교육과정 문제에 대해 적절한 답을 제시했던 Bobbitt의 문제 해결 방식으로부터 현재 우리가 당면한 교육과정 문제를 조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obbit의 주요 저서 ≪The curriculum≫과 ≪How to make a curriculum≫을 중심으로, 먼저 그가 처한 시대적 맥락에서 당대의 학교교육을 어떻게 읽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내놓은 그의 제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로부터 Bobbitt의 문제 해결 방식을 유추하였다. 연구 결과, Bobbit는 당시의 학교교육을 문제 상황으로 진단하고 그 해결책으로 과학적 접근을 통한 학교교육의 효율성과 일반성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가 활용한 문제 해결 방식은 패러독스적 해법(paradoxical solutions)이었다. 그는 상식과 비상식, 익숙함과 낯섦, 이상과 현실, 특수와 일반 등 학교교육 전반에 존재하는 이항 대립적 요소들의 양립을 꾀하는 방식으로 당면한 교육과정 문제를 해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curriculum issues that educators are confronted with today,based on the problem-solving approach of John Franklin Bobbitt, which sought to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for curricular issues at that time. Toward this end, this study addresses how Bobbitt grasped school curriculum issues, as noted in his two best known books, ≪The curriculum≫and ≪How to make a curriculum≫, and view them in light of a contemporary context. Second, this study examines Bobbitt’s sugges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in schools. Third, the problem-solving approach of Bobbitt was inferred from the findings from examining of those suggestions. As a result,it was revealed that Bobbitt suggested to expand generality of school education for reforming problematic situations in school education of the day. Bobbitt adopted ``paradoxical solutions`` as aproblem-solving approach. He attempted to settle curriculum problems by seeking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binominal confrontational elements that exit in school education in general,such as ideal vs. reality, specialty vs. generality, etc.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아비투스 분석`의 가능성 탐색

        이윤미 ( Yunmi Lee ),조상연 ( Sangyean Jo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행위 및 현상을 해석하는데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를 분석의 `틀(framework)`로 사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Bourdieu의 아비투스와 관련된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이 개념들을 기반으로 `아비투스 분석` 틀을 구안하였다. Bourdieu의 아비투스는 구조, 행위자, 체화, 행위, 전략, 가치관의 전도, 재전환 전략, 이력 효과 등의 개념들로 설명되었고, 이를 통해서 개인의 행위나 사회의 특정 현상을 해명할 수 있었다. 둘째, 이 개념들을 기반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행위 및 현상을 해명하는데 유용한 `아비투스 분석` 틀을 구안하였다. 셋째, 연구자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을 대입하여 설명하며 이 분석 틀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행위 및 현상에 대한 `아비투스 분석`이 유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Bourdieu`s Habitus can be used as a `framework` to explain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study first looked for major concepts of Bourdieu`s Habitus analysis and based on these concepts, researchers created the framework of `Habitus analysis.` Bourdieu`s Habitus was consisting concepts such as structure, a agent, action, embodiment, strategies, value conversion, reconverted strategy and hysteresis response etc. which thus could be incorporated as a method to explain individual`s behavior or specific social phenomena. Second, a “Habitus analysis framework” was introduced for providing a good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of a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produced. Lastly, within this framework, researchers` own experienc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revisite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researcher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uphold Habitus analysis for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 연구자의 지역화 보완도서 집필 경험

        이윤미 ( Yunmi Lee ),조상연 ( Sangyea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지역 보완도서인 ‘전라북도의 생활’ 집필에 참여하면서 겪었던 경험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화 보완도서의 강점과 난제를 밝힘으로써 지역화 교재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전라북도의 생활’은 해마다 이전 버전을 포함하면서 새로운 컨셉을 추가하는 형태로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개발되었다. 1년차 2.0버전은 ‘학생들의 발달단계와 흥미를 고려한 교과서’, 2년차 3.0버전은 ‘성취기준을 유연하게 반영한 교과서’, 3년차 4.0버전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을 기르는 교과서’를 지향하였다. ‘전라북도의 생활’ 집필경험으로 본 지역화 보완도서의 강점은 우선, 집필 프로세스가 안정적이라는 점, 즉 순차적 개발로 충분한 연구와 의견 수렴이 가능하고 이런 과정에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보다 유연하고 과감하게 적용해볼 수 있다는 면에서 교사교육의 기능을 갖는다는 점도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약점이자 난제로는 교과서의 지위를 갖지 못하다보니 학교교육용 교재로서 채택률이 낮은 점,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 및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보완도서 개발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아래로부터 위로’의 교육과정 개발로 교육과정의 자치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정교과서를 보조하는 자료가 아니라 대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보완도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who has participated in writing localized complementary textbook, ‘The life of Jeollabukdo’. Furthermore, the study is to search of development courses for localized elementary textbooks by stating strong points and difficult problems of localized textbooks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life of Jeollabukdo. ‘The life of Jeollabukdo’ has been developed in phases over the three years in the way to add a new writing direction including previous version. The 2.0 version developed in a first year was the textbook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interests of children. The 3.0 version made in a second year was the textbook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lexibly. The 4.0 version written in a third year is designated as the textbook that can be cultivated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The strong points of localized textbooks based on writing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process of textbook was stable. Therefore, public opinions including teachers’ can be possibly accepted through sufficient research by sequential development approach. In addition, teachers could apply implement perspectives of curriculum in flexible and strong ways. Lastly, the localized textbooks can help develop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and give teacher edu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localized textbooks are not in the category of official textbooks, teachers rarely adopt localized ones and there are no interests and supports from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expenses for developing textbooks and local community are not supported.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utonomy of curriculum need to be set up with bottom-up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ly, th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not as a complementary material of a government approved textbook but as an alternative of it. Lastly, localized textbook can give an opportunity to improve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if it provides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teachers are not just an user of curriculum but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developer of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이윤미 ( Yunmi Lee ),조상연 ( Sangyean Jo ),정광순 ( Gwangs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Fullan과 Pomfret(1977), Berman과 Pauley(1975), McLaughlin(1976), Snyder, Bolin, Zumwalt(1992)가 제시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관점(fidelity, mutual adaptation, enactment)이 교육과정 실행 관점이 국내에서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몇 가지 특징을 찾았다. 이 특징을 기초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 비추어 교육과정 실행 관점 연구와 담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과정 실행 관점 연구에서 가리키는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지 ‘교과서’인지 모호했다. 따라서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논의할 때 사용하는 용어인 ‘교육과정’의 실체가 국가교육과정인지 교과서인지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국내 연구는 충실 관점은 벗어나야 할 관점으로, 상호조정 및 생성 관점은 나아가야 할방향으로 언급하고 있었다. 교육과정이 가리키는 것이 무언인지 모호한 상태에서 충실 관점을 가진 교사를 단순한 전달자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국내 연구는 상호조정 및 생성관점을 긍정적으로 언급하면서도,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은 국가교육과정 충실이라는 테두리 안에 한정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었다. 국가교육과정 충실 관점만을 허용하는 현재 상황에서 벗어나 교사가 국가교육과정을 변형, 개발할 수 있는 자율권을 갖는 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is for reviewing the domestic researches about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that applied the three perspectives(fidelity, mutual adaptation, enactment) of Fullan & Pomfret(1977),Berman & Pauley(1975), and McLaughlin(1976), Snyder, Bolin, & Zumwalt(1992) and searching some characteristics of them.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the question about researches and discourse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raised with the perspectiv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was ambiguous in the domestic researches.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in researches whether the curriculum means the n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s clearly. Second,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es refer that fidelity perspectives should be avoided but mutual adaptation and enactment perspective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o discuss more on the appropriateness of simply treating teachers who have fidelity perspectives as a curriculum deliver.Third, the domestic researches show contradiction by restricting teachers’ autonomy on curriculum in the boundary the fidelity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y positively refer to the mutual adaptation and enactment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the need of getting out of the current situation only allowing teachers fidelity perspectives and research on approving teachers’ autonomy of developing and enacting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