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pergillus kawacchii 코지를 이용한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어간장의 제조 및 품질변화

        김병목 ( Byoungmok Kim ),임지훈 ( Jeehee Jung ),정지희 ( Minjeong Jung ), ( Jihoon Lim ),김동수 ( Dongsoo Kim ),이광표 ( Kwangpyo Lee ),전준영 ( Joonyoung Jun ),인학 ( Inhak Jeo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5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of fermen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saucewith or without Aspergillus kawachii koji and added salt.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whether koji was added and the amount of salt: RC15, 15% added salt, no koji; RC20, 20% added salt, no koji; RK15, 15% salt plus 10% koji; and RK20, 20% salt plus 10% koji. The samples were fermented at 20± ℃ for 4 month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four types of sauce decreased while the crude ash and protein contents increased. The pH of the RK groups decreased and was lower than in the RC groups. The acidity of the RK groups increased and was higher than in the RC groups. Both the total nitrogen (TN) and amino nitrogen (AN) levels increased continuously and were higher in the RK groups than in the RC groups.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increased rapidly and was higher in the RC groups than in the RK groups. The col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groups. The viable cell counts in the four groups increased and no coliforms were detected. The total free amino acid and glutam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RK15 group and the main amino acids in RK15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lysine. Overall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RK groups than the RC groups and RK15 ranked highest among the four sau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pergillus kawachii koji is beneficial for processing fish sauce made using red snow crab.

      • KCI등재

        냉동온도 및 해동시간이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다릿살 채육에미치는 영향

        김병목 ( Byoungmok Kim ),정지희 ( Jeehee Jeong ), ( Minjeong Jung ),김종찬 ( Jongchan Kim ),전기홍 ( Kihong Jun ),김동수 ( Dongsoo Kim ),이광표 ( Kwangpyo Lee ),전준영 ( Joonyoung Jun ),인학 ( Inhak Jeo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reezing storage temperature and thawing time on the separation of leg meat of the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rabs were stored at -20, -30, -40, or -50°C for 2 days and thawed for either 5, 10, 20, 30, or 40 seconds. While thaw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or acidit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increased continuously. The redness of samples stored at -20°C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e overall acceptance of samples stored at -20°C was also the bes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o-heating methods may be useful for separating red snow crab leg meat.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주요 당사자들의 다각적인 인식 및 요구 분석: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현주 ( Hyunjoo Lee ),김경화 ( Kyeong-hwa Kim ),정지희 ( Jeehee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특수교사, 가족, 유관기관 실무담당자의 다각적인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대한 주요 당사자들의 견해를 수렴하기 위해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선택하여 집단별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특수교사 10명, 발달장애학생의 가족 13명, 유관기관 실무담당자 8명, 총 31명의 연구참여자가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내용은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대주제는 발달장애학생에게 전환교육이 갖는 의미, 중도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 재조명, 발달장애학생의 요구와 특성에 기초한 전환계획과 지원,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가족 연계 및 지원, 지역사회 중심의 전환교육 시스템이며, 각 주제별로 2∼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에 초점을 두어 이 집단이 가진 성인기 전환에 대한 요구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의 질 제고 및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발달장애학생을 지원하는 전환교육 모형 및 체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전환계획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행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의 가족을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전환교육 시스템 구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percep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amily members, and staff in transition related organizations regarding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by selecting the Chungcheongbuk-do region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on the transition education of students, and a total 31 participants participated, including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13 family members, and 8 staff in transition related organization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5 major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The major themes were the meaning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examination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planning and supports based o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mily connection and support for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mmunity-based transition education system.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needs of this group for transition to adulthood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direction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First, a transition education model and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discussed. Secon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planning should be acknowledged and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a support plan for the famil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ecessary. Fourth, a community-based transition edu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

        박승희 ( Park Seung Hee ),김유진 ( Kim Yoojin ),이성아 ( Lee Seong Ah ),정지희 ( Jeong Jeeh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의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을 제시하고 발달장애성인의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과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국 5개 권역별 발달장애인 인구비율에 따라 층화표집을 시도하여 실제 회수된 자료를 통해 총 407명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2019년에 새롭게 개발 및 타당화된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박승희 외, 2019)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삶의 질 전체 점수와 4가지 하위요인 및 32개 문항 점수를 산출한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32로 보통 수준으로 긍정적 수준에는 못 미쳤다. 4개 하위요인 점수도 3점대 보통 수준인데, 안전한 환경, 사회적 참여지원, 신체적 안녕, 개인적 역량 순으로 높게 나와서 개인적 역량의 수준이 가장 낮았다. 발달장애성인의 배경변인 총 14개 중 11가지에서(예: 장애정도, 거주환경, 고용형태, 친구 수, 직업 외 참여 프로그램 수 등) 하위집단별로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표집된 발달장애성인 407명에 대해 처음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삶의 질의 수준을 측정 및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와 그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결과는 국내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각종 서비스와 교육 및 지원 체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기존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창안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nd four-factor levels of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Korea, an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 total of 407 adults with DD drawn from 5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Korea were measured by proxy reports and analyzed. The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Adults with DD(QLS-KADD)(Park et al., 2019) was employ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e scale consists of 32 items that yields the overall score as well as the scores for the four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the adults with DD was 3.32 on a 5 point scale, which was not a positive level. Also, the scores of the 4 factors were in the 3-point range, and the results, ranked in descending order, were as follows: ‘secure environment’, ‘supports for social participation’, ‘physical wellbeing’, and ‘personal compet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subgroups according to the eleven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disability severity, residential environment, employment type, number of friends, number of participating programs(apart from their jobs), etc.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quality of life of 407 adults with DD measured with QLS-KAD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examined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s with DD nationwide and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D, and suggested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services and support systems for adults with DD.

      • KCI등재

        심각한 도전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중등특수교사의 소진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정지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심각한 도전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중등특수교사의 소진 경험 및 지원 요구를 탐색하여 현장 중등특수교사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및 서울에 소재한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며 심각한 도전행동을 지닌 발달장애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중등특수교사 12명이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전사 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각한 도전행동’, ‘소진 영향 요인’, ‘교사의 소진’, ‘지원 요구’의 4가지 대주제와 이에 따른 11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심각한 도전행동은 중등특수교사의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고 특수교사의 소진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소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cond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experiences of burnout and support needs for serious challenging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Method: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2 second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for individual interview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of burnout and supports needs for serious challenging behavior of studne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sults: There were four main themes: 1) serious challenging behavior, 2) influence factors affecing burnout, 3) burnout of teachers, and 4) supports needs. These main themes fell into 11 categorie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various measures to support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through an in-depth search for burunout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who guid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rious challeng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