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를 위한 주요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 -산림경영형 사업을 대상으로

        김영환 ( Young Hwan Kim ),전어진 ( Eo Jin Jeon ),신만용 ( Man Yong Shin ),정일빈 ( Il Bin Chung ),이상태 ( Sang Tae Lee ),서경원 ( Kyung Won Seo ),표정기 ( Jung Kee Ph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베이스라인 흡수량의 산정을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토대로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에 위치한 4개 시험지 14개 간벌 처리구에서 조사된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델 예측치와 실측치의 편차가 5% 미만의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수종별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생장량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예측하고, 베이스라인 탄소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상수리나무의 베이스라인 탄소저장량이 83.01tC/ha로 가장 높은 반면, 리기다소나무(32.17tC/ha)와 중부지방소나무(39.09tC/ha)는 저장량이 낮았다. 따라서 수종갱신을 통한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리기다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 임분을 대상지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종별 베이스라인 탄소저장량과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ynamic stand yield model to estimate the baseline carbon stock, which is essentially required for a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For developing the yield model, the data was acquired from the databases of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ng its estimations with field measurements that was conducted from 4 study sites (14 plots with thinning treatments) located in Hong-chun, Hoeng-sung, Yang-yang Daechi and Yang-yang Jungja.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ions and the field measurements was less than 5%. Using the dynamic stand yield model, we estimated the changes in stand yield volume and carbon stocks for each species according to the baseline scenarios.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baseline carbon stock was the highest at Quercus acutissima stand (83.01tC/ha), while the lowest at Pinus rigida stand (32.17tC/ha) and Pinus densiflora stand of central region (39.09tC/ha). Hence, a project provider could get more carbon emission credits from a improved forest management project when considering the project with Pinus rigida stand or Pinus densiflora stand (central region). The baseline carbon stock and the dynamic stand yield model developed from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designing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improved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IV분과 :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를 위한 주요 수종별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

        김영환 ( Young Hwan Kim ),전어진 ( Eo Jin Jeon ),신만용 ( Man Yong Shin ),정일빈 ( Il Bin Chung ),이상태 ( Sang Tae Lee ),서경원 ( Kyung Won Seo ),표정기 ( Jung Kee Pho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베이스라인 흡수량의 산정을 위해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토대로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에 위치한 4개 시험지 14개 간벌 처리구에서 조사된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델 예측치와 실측치의 편차가 5% 미만의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수종별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생장량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하고,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한 결과, 상수리나무의 베이스라인 흡수량이 83.01tC/ha로 가장 높은 반면, 리기다소나무(32.17tC/ha)와 중부지방소나무(39.09tC/ha)는 흡수량이 낮았다. 따라서 수종갱신을 통한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리기다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 임분을 대상지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과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ynamic stand yield model to estimate the baseline carbon stock, whichis essentially required for a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For developing the yieldmodel, the data was acquired from the databases of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The model was validatedby comparing its estimations with field measurements that were conducted from 4 study sites (14 plots withthinning treatments) located in Hong-chun, Hoeng-sung, Yang-yang Daechi and Yang-yang Jungja. The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ions and the field measurements was less than 5%. Using the dynamic stand yieldmodel, we estimated the changes in stand yield volume and carbon stocks for each species according to thebaseline scenarios.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baseline carbon stock was the highest at Quercus acutissimastand (83.01tC/ha), while the lowest at Pinus rigida stand (32.17tC/ha) and Pinus densiflora stand of centralregion (39.09tC/ha). Hence, a project provider could get more carbon emission credits from an improved forestmanagement project when considering the project with Pinus rigida stand or Pinus densiflora stand (centralregion). The baseline carbon stock and the dynamic stand yield model developed from this study would beuseful for designing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improved fores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