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MD를 이용한 위상천이 모아레 3차원 형상 측정

        정경석(Jeong, Kyung-Seok),정용상(Jung, Yong-S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6

        생산방식의 변화에 따라 3차원 형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가장 훌륭한 비접촉 3 차원 측정방법인 모아레 방법 중 잡음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위상천이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DMD를 이 용하여 격자를 생성하고 이송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컴퓨터에서 격자를 이송하고 위상천이를 발생하므로 기 계적 이송으로 인한 잡음신호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광학렌즈와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쉽게 분해능을 변화하며 3차원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근본적인 2π 모호성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2차원 위상정력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3차원 형상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The need for rapid and accurate measurement of 3-dimensional objects is increasing due to the paradigmatic shift in manufacturing from mass production to small batch production. A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technique which can provide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manufactured or to be manufactured has been developed. This method is based on phase shifting moire topology. Digital-Micromirror- Device (DMD) has been used in generating phase shifting moire fringes. And the mechanically moving optical components used for phase shifting, which might result in measurement errors, have been replaced by the DMD. Inherent 2π -ambiguity problem, occurring in the calculation of phase from the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due to the nature of arctangent function, has been overcome by adapting the phase unwrapping method. The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the easy change of the range and the resolution of the measurement by simply changing the computer generated grid pattern with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projection lens of various focal length.

      •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한 보호지역 확대 방안

        허학영 ( Hag Young Heo ),박소영 ( So-young Park ),정용상 ( Yong Sang Jung ),조동길 ( Dong-gil Cho ),심윤진 ( Yun-jin Shim ),유윤진 ( Yoon Jin Ry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1992년 리우환경회의 이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의 보전을 위해 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보호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제사회에서는 국가, 지역, 범지구적차원의 보호지역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확대를 권고하고 있다. 특히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당사국 총회(2010)에서 2020년까지, 적어도 육상 생태계의 17%, 해양생태계의 10%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Aichi Target-11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국제적 협약 이행을 위한 보호지역 확대 전략 수립이시급한 실정이다.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계부처 합동, 2014)에서 2020년까지 CBD 목표(육상 17%, 해양 10%) 수준으로 보호지역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은 2014년 12월 기준, 육상 12.6%, 해양 1.41%(EEZ 기준)로 국제 기준에 부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 권고사항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법정 보호지역및 국제정의에 부합하는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보호지역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보호지역에 대한 국제기구 및 국외 국가별, 국내보호지역에 대한 정의를 분석한 결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IUCN 보호지역 정의에 부합되는 핵심 기준으로 1)법률, 2)생태계서비스, 3)문화적 가치, 4)자연의 장기적 보전, 5)관리되는 한정된 공간 등 5가지를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부처별로 법령상 지정된 잠재 보호지역 후보지에 대하여 관계 법령, 지정목적 및 기준, 지정권자, 해제기준, 관련 계획 수립 여부, 행위규제 정도 등 법규상 체계및 지정 현황(면적 및 현 보호지역과의 중복여부 등) 등을 파악하고 보호지역 정의 및 정의에 부합되는 5가지 핵심기준을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상수원호소, 수산자원보호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등 5개 잠재 보호지역 후보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상수원호소의 경우 전문가 논의와 정의 부합성에서는 잠재 보호지역으로 지정 가능하나 실제 현황(지정현황 등) 검토 시 자료가 불충분하여 잠재 보호지역에서 제외하였다. 세 번째로 4개 잠재 보호지역 후보에 대해 법률, 지정목적, 지정 기준, 지정/관리기관, 관리계획 등 보호지역 타당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보호지역으로 편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IUCN 보호지역 정의 및 정의에 부합되는 5가지 핵심기준을 바탕으로 부합여부를 검토한 결과, 생물다양성 보전 등 자연 보전의 성격이 다소 약하지만, 생태계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항목에 잠재 보호지역에 모두 부합한 것으로 타났다. 네 번째로 잠재 보호지역 후보와 성격이 유사한 WDPA등재 사례 검토를 통해 보호지역으로 편입이 가능한지 판단하였다. 상수원보호구역의 경우 미국의 유사 사례를 검토한결과 지역의 물공급을 위한 유역 차원으로 WDPA 등재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변구역의 경우 캐나다와미국의 유사 사례를 검토한 결과 수변구역을 포함한 유역차원으로 보호지역을 지정하는 WDPA 등재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자원보호구역의 경우 일본과 이탈리아의 유사 사례를 검토한 결과 수산자원지역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하여 보호지역을 지정하는 WDPA 등재 사례가 나타났으며, 도시자연공원구역의 경우 미국의 유사 사례를 검토한 결과 도시지역 자연공원으로 보호지역을 지정하는 WDPA등재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 유사 사례가 IUCN 카테고리에 적용되어 보호지역을 인정받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우리나라 4개 잠재 보호지역의 경우, 도시자연공원구역은 카테고리 V,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상수원호소, 수산자원보호구역은 카테고리 VI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4개 잠재 보호지역 후보지를 잠재 보호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4개 잠재 보호지역을 바탕으로 기존 보호지역과의 중복면적을 제외한 전체 면적을 종합한 결과(수산자원보호구역은 GIS 데이터 부족으로 중복지역 미 고려), 총5,643.9㎢(육상 3,117.9㎢, 해상 2,526㎢)로 육상은 국토면적의 3.11%, 해양은 관할해역의 0.67%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법정 보호지역과 잠재 보호지역을 통합하여 국토 육상부분 보호지역 면적을 종합해보면 국토면적의 약 15.71%가 보호지역으로 나타나며, 해양의 경우 잠재 보호지역 0.67%를 반영할 경우 관할해역의 2.08%가 해양보호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제적 협약인 Aichi Target-11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해 보호지역 확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기존 법정보호지역에 대한 확대 방안 연구와 더불어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 개선방안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