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비서의 역할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최근 의료서비스시장과 의료비서의 수요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의료비서의 역할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에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비서의 업무수행에 주요역할을 하는 자기효능감에 따라 의료비서역할과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해 국내대형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비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비서의 역할특성 중 의사의 비서, 행정사무관리자, 커뮤니케이션관리자의 역할수행이 많을수록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중 커뮤니케이션관리자 역할이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의료비서의 역할특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3요인(의사의 비서, 행정사무관리자, 커뮤니케이션관리자)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행정사무관리자와 커뮤니케이션관리자 역할에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의료비서의 역할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비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기에 의료비서의 역할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살펴본 초기 연구라는 점이다. 둘째, 의료조직에서는 의료비서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비서의 역할 중 의사의 비서, 행정사무관리자, 커뮤니케이션관리자의 역할을 보다 확대시킴으로써, 개인의 직무성과 뿐 아니라, 조직의 성과까지 높일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해 준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le of medical secretary on job performance in the market of medical service mark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he medical secretary and the job performance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f-efficacy that plays a major role in the work of the secretary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this relation.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are set considering the self-efficacy as the moderating variable .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medical secretaries working in large hospital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oles of doctor secretaries, administrative affairs managers, and communication managers in the role of the medical secretary, the role of the communication manage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 efficacy on three factors (doctor "s secretary, administrative office manager, communication manager) whose rol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ecretary affects job performance, The higher the self - efficacy,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medical secretary role on job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is the initial study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he medical secretary and job performance at the time when the role of the medical secretary is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the medical secretary, the role of the medical secretary is expanded by the role of the secretary of the doctor, the administrative office manager, and the communication manager so that not only the individual"s job performance but also the perception Is a prac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전문대학 비서학전공자의 전공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1

        전문대학은 산업현장에 맞춤 인재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최근 전공자들의 취업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전문대학들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개편과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의 취업의도에 매우 관심이 높다. 특히 전문직을 추구하는 비서학전공의 경우,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전공교육 및 전문직정체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는 있으나, 이들 요인과 취업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학전공자의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전공몰입, 전문직정체성,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전공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자기 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둘째, 전공몰입, 전문직정체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취업의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전공몰입, 전문직정체성이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서학전공자들의 전공몰입도가 높아지면 취업행위에 관련된 요인 즉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학생들의 전공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이 취업의도의 주요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추후 전공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Colleges aim to train students to become professionals that meet the needs of industrial sites, but the link between employment and majors has not been smoothly established in recent years. To raise the employment rate, Colleges are making efforts to revamp the curriculum and strengthen their job competency, and thus the interest in factors affecting students" job intentions is also rising. In particular, for secretarial majors seeking professional jobs, although the major education of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has been strengthened, but no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ir job inten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intentions of the college"s secretarial majors, I wan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ommitment, profess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and job intension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n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ivenes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major commitment, profess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students" job intentions.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meditates the impact of majors commit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job inten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creased concentration in major boost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intention of employment, thus confirming that student concentr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re the main factors of employment intent. A follow-up study on specific methods to further concentrate on the majors and enhance professional rectification is needed.

      • KCI등재

        팀비서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현대인의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의 건강 뿐 아니라 조직유효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근 국가적으로도 매우 관심이 높다. 특히 비서직은 사무직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가 상사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알려져 있어 주요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비서의 업무형태가 상사를 지원하면서 동시에 팀 또는 부서를 지원하는 팀비서의 형태가 많아지기는 하지만, 팀비서의 입장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본 연구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팀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결과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비서 직무스트레스의 연구와 팀비서의 연구를 근거로 직무스트레스의 유발요인으로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 과업갈등, 관계갈등을, 직무스트레스의 결과요인으로 팀효과성, 이직의도로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팀 비서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으로 역할모호성과 역할과부하가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팀효과성은 낮아지고, 팀비서의 이직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팀비서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연구를 시행한 초기 연구로서 비서의 스트레스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과 팀비서의 직무스트레스 결과를 개인의 효과성에서 팀효과성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실천적인 의의로는 비서교육측면과 기업교육측면에서 찾을 수 있는데, 팀비서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즉 팀비서의 직무스트레스는 결국 팀효과성을 낮추고 이직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조직의 인력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팀비서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철저한 사전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Job Stress has been recently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 business organization and personal life. Many organizations adopted a team-based structure for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required many team assistants(or team secretaries) tor support the team"s productivity. Accordingly, these changes within the business environment have impacted the role and work styles of secret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for team secretar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at stress on the overall team’s effectiveness and the degree of secretaries’ turnover.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reviews were conducted about the team secretaries’ job stress, related factors causing job stress, the team’s effectiveness and related papers. A research model and 7 hypotheses were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Using collected data from 196 team assistan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in order to test theses 7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role ambiguity and work overload conflic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Second, the job stress conflict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the team’s effectiveness. Third, i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eam secretaries" job stress within the environment of the team organiz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cretarial academies and schools need to emphasize this role and the work conditions of team secretaries in modern organiz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팀비서의 갈등유형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 Hwi) 한국비서학회 201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1 No.1

        최근 비서의 업무형태가 단독 상사를 지원하는 형태에서 팀 및 부서단위를 보좌하는 팀비서 형태가 많아지고 있으나 팀비서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주는 갈등요인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비서직의 직무태도는 상사와의 관계, 즉 상사와의 신뢰, 리더십 등과 관련된 요인들이 주된 요인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팀비서의 경우, 비서직과 사무직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장이기도 하고 여러 부서원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갈등요인 역시 부서의 여러 업무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갈등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적인 비서와는 다른 형태에서 일하고 있는 팀비서를 대상으로 기존의 갈등요인 연구를 기반으로 갈등유형을 파악하고, 이것이 팀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하였다. 또한 팀비서의 업무환경이 팀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팀 설계의 중요한 요인이자 특징인, 과업상호의존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과업상호의존성에 따라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에 따른 직무태도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갈등요인 중 관계갈등, 역할갈등, 역할모호성이 팀비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역할갈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둘 다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다수의 팀원을 보좌하는 팀비서의 경우 자신의 역할 상 요구되는 것과 실제 역할이 양립되지 않아 나타나는 역할갈등이 비서의 직무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는 관계갈등과 직무태도사이의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팀비서를 대상으로 갈등요인과 직무태도를 살펴본 초기 연구라는 점이며, 연구결과로 인해 팀비서로 진출하는 경우에 겪을 수 있는 갈등을 줄이기 위해 기업은 팀비서를 대상으로 부서의 이해 및 팀비서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또한 학교 비서교육과정에서는 비서로 진출하는 학생들에게 팀비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심어주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노력이 촉구된다. Recently, many organizations have adopted a team based structure for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required many team assistants (or team secretaries) for supporting team productivity. Accordingly, these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 have an impact on the secretaries’ role and work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assistant’s conflicts and their job attitud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on team assistants’ conflict, job attitudes, and related paper and developed research model as well as six research hypotheses from literature review. Using collected data from 209 team assista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for testing effects of conflicts on job attitudes. Job attitudes measur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elation conflict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elation conflict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moderating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e have significant effects between relation conflict and job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based on understanding team secretaries’ roles and conflict under team organization context.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organization and an academy for secretarial education necessary for secretarial policy are required in order to decrease team secretary conflict.

      • KCI등재

        비서의 핵심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0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3 No.1

        최근 기업 환경을 둘러싼 빠른 변화에 따라, 기업이 요구하는 비서의 역할이 확대 되었으며, 이에 따라 비서학 분야에서도 비서의 역할을 재조명하여 비서의 역량 및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서의 핵심 역량이 궁극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즉 조직원은 아무리 역량이 높다하여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낮다면 결국 조직을 이탈하게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비서의 핵심역량이 비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현직비서를 통해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비서의 핵심역량 중 결과에 대한 헌신성 책임감 학습의지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책임감, 위기를 기회로 보는 믿음, 결과에 대한 헌신성, 학습의지는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서의 핵심역량을 구체화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영향력을 검증한 초기의 연구인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e rapid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has great impact on secretarial work. Many CEO want secretaries to be the executive office professionals and have core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ies' core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literatures review about secretarial competencies and I found key core competencies areas of secretary. Using collected data from 195 secretaries,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l) accountability. commitment to results, and desire to learn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job satisfaction. (2) accountability, belief that barriers are opportunities. commitment to results. and desire to learn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3) accountability, commitment to results, and desire to learn have all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base on the understanding of secretaries' competencies for retainment or the separation rate in the organizations.

      • KCI등재

        TAM모형을 이용한 비서의 정보시스템 및 인터넷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0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비서의 직무수행에 있어 정보시스템 및 인터넷 활용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여, 정보시스템 수용에 관한 주요모델인 정보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적용하여 비서의 정보시스템 및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연구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론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비서의 업무환경에 적용하여 개인적요인, 직무요인, 상황적인 요인들을 찾아 TAM모형의 선행변수로 삼아 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TAM모형에 주요변수인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서의 컴퓨터자기유능감, 직무관련성, 상사압력, 조직적지원으로 밝혀졌으며,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컴퓨터 자기유능감과 조직적 지원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TAM의 모형이 검증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도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의 정보시스템 및 인터넷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 비서학 분야의 이론적인 확장을 가져왔으며, 둘째, TAM모형을 비서직에 적용시킴으로 TAM모형의 확장을 시켰으며, 셋째 두 가지 요인에 모두 컴퓨터자기유능감과 조직적 지원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비서의 원활한 정보시스템 활용을 위해 조직의 물리적인 노력(훈련, 상담,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과정에서 상황적인 컴퓨터 활용수업을 통해 컴퓨터자기유능감을 높힐 수 있다는 실무적인 의의를 갖는다. The secretaries' application of IS and Internet to work is very important and critical m modern business environment.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is one of the moot influential research models for studying determinants how users accept IS. Also, TAM is best known and most widely accepted for describing the user's IS and Internet acceptance process. This study applied TAM to investigate secretaries acceptance of IS and Internet in office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AM based on the secretaries circumstances and then evaluate the expanded model,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ecretaries' usage of IS and Interne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69 secretaries for this empirical study.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1.5 for testing effects of personal, job,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secretaries usage of IS and Interne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uter self-efficacy, job relevancy, employer pressure,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Perceived Usefulness(PU). Second, computer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Perceived Easy of Use(EOU). Third, PU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EOU and use inten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the understanding of secretaries' usage of IS and Internet.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if TAM is significantly applied to the secretaries circumtances. The results imply that organizational policy for consulting support and physical equipment is need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imploving PU and EOU is recommended for more IS implementation in office situation. For future research, methods other than questionnaire survey are suggested to get more precise and objective findings.

      • KCI등재

        의료비서의 직무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1

        의료분야는 최근 서비스업종의 대표업종으로, 경영전문화와 더불어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료비서의 진출도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의료비서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의료비서의 직무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점에 주목하여, 의료비서의 직무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무특성모형(job characteristics model)을 활용하여, 독립변수를 핵심직무특성요인 즉,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으로 선정하고, 종속변수를 직무태도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하여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형병원의 의료비서 15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료비서의 직무특성 중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기술다양성과 자율성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자율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때 의료비서의 직무특성 중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의료비서의 직무특성과 직무태도에 대한 초기연구로, 의료비서에 관한 비서학 연구범위의 확장 뿐 아니라, 의료서비스분야의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또한 의료비서의 직무특성 중 자율성과 과업중요성, 기술다양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앞으로 조직에서 인력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의료비서의 직무특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al secretary "s job characteristics on job attitude by paying attention to the lack of detailed study on the attitude of medical secretary to the number of medical secretaries who are increasing rapidly. Using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the key characteristics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skill diversi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The dependent variables are reported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151 medical secretaries of large hospitals were analyzed and their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job importance and job autonom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medical secretary, and skill diversity and job autonom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articular, job autonomy has the stronges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was an initial study o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attitude of medical secretary, and extended the study of secretarial about medical secretary. In addition, job autonomy, job autonomy, and technological diversity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cretary have been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 KCI등재

        비서의 개인특성과 직무 및 환경특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1

        창조경제시대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의 현대 기업은 지식과 혁신이라는 핵심역량을 보유해야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식과 혁신의 실행주체로서 조직원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특히 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최고경영자를 보좌하는 비서의 창의성에 관심을 두고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창의성연구를 토대로 비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특성과 직무 및 환경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비서의 업무특성상 상사의 지원은 비서의 창의성발현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비서직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특성 중 비서의 창의적인지와 직무에 대한 전문성, 그리고 직무 및 환경특성 중에서는 부서의 협조가 높을수록 비서의 창의성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절변수인 상사의 지원은 비서의 전문성과 창의성 발현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서의 창의성에 관심을 갖고 창의성에 관한 통합적 관점으로 그 영향요인을 밝힌 초창기 연구라는 점, 비서는 직무요인보다 개인요인이 창의성 발현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힌 점이다. 또한 상사의 지원이 높아질수록 전문성을 가진 비서의 창의성이 더 많이 발휘된다는 연구 결과는, 비서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상사들이 비서들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creativity of employees could become the root of the knowledge and competencies of organization. This study focused the importance of secretaries creativities and reviewed the conditions and influences of secretaries creativ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job and environment. Also, I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support between affecting factors and secretaries creativ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18 secretaries for this empirical study.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1 for testing effec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gnitive style, professionalism, and office support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secretaries' creativity. Second,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supports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affecting factors and secretaries creativities. Therefor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have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secretary's creativity.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the understanding of secretaries' creativitie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other than questionnaire survey are suggested to get more precise and objective findings.

      • KCI등재

        국내 법률비서의 직무분석 모형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정성휘(Jeong Seong-Hwi)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2

        비서는 소속에 따라 분야별로 전문화 되어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 국내 법률시장의 개방과 법률사무소의 증가로 인해 법률비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기업에서와 마찬가지로 법률회사에서도 급변하는 환경과 업무에 대응하기 위해 법률비서의 직무분석이 필요하며, 법률비서의 직무분석 및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법률비서의 직무분석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직무분석과 법률비서의 직무에 관한 연구와 현존하는 국내 법률사무소의 법률비서 직무편람을 토대로 비서의 직무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현직비서와 인사담당자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직무명세서 및 직무기술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법률비서의 수요는 높으나 법률사무소에서 직무분석이 시행되지 않은 시점의 초기 연구라는 점, 또한 이를 통해 법률비서의 자격요건 및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가 되며, 조직의 입장에서는 법률비서를 채용할 때 기준이 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각 조직의 환경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이 보완되어 각 조직에 맞는 직무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e legal secretary has been a major area of specialization in the general secretarial field. It is important to analyze legal secretarial work in the legal office market which was opened to foreign competition. But there is hardly any study about job analysis on legal secretar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ob description and job specification of the legal secretary in Korea through the work analysis and the related antecedent stud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the legal secretary's handbook of A law firm and surveyed data from legal secretaries and managers of Human Resource parts of the law firm. Using these work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e job description and job specification of the legal secretary were developed. Nine items were categorized in job description. And ten items required legal secretaries were grouped by knowledge. skill and abilities. and attitude in job specification. Especially. legal secretaries working with confidential documents and correspondents must require keeping secret in many circumsta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egal secretarial work and the related future study. And this study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selecting legal secretaries in law fi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