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한국학 학부생들의 전공선택 배경과 취업전망: 동경외국어대 조선어전공 사례 연구

        정기인 ( Kiin Chong ),정인관 ( Inkwan Ch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논문은 도쿄외국어대학 조선어전공의 사례를 바탕으로 일본의 한국학 학부생들의 전공 선택 배경과 취업전망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쿄외대 재학생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성별이 한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열망, 졸업 후 한국과 관련된 직업을 얻고자 하는 열망 및 기대와 높은 연관성을 맺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에 관련된 직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국어 학습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 면접 결과 다수의 조선어과 학생들이 입학 초기에는 한국과 관련된 일을 희망하나, 구직활동을 시작하면 한국 관련 직업 선택의 한계를 마주하게 된다. 그 이유는 단순 서비스직에 국한되는 일본의 한국 관련 직업들, 한국과 일본의 기업문화 차이, 기업과 관련된 정보 부족, 기업과 소통의 어려움, 한국어를 전공하지 않은 한국어 사용자의 존재 때문이다. 한국학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한국학 전공의 학부생들에게 한국과 관련된 보다 많은 양질의 직업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background of college major choice and prospects of job selec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n studies in Japan using the case of Korean major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e conducted both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for enrolled students and alumni. Findings show that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the desire to study Korean and the desire to get a job related to Korea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ctation of getting a job related to Korea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weekly time allocation on studying Korean. From in-depth interviews, we learne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major students wanted to do work related to Korea at the beginning. It is when they start a job search that they face the limit of job opportunities. These are careers limited to simple service jobs, differences in corporate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lack of information,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and the presence of non-majoring Korean specialists. We argue that providing more decent job opportunities for those graduates is essential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Kore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