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한 주택규모선택에 대한 연구

        조무상 ( Moo Sang Cho ),정군오 ( Kun Ho Jung ) 韓國財政政策學會 2009 財政政策論集 Vol.11 No.2

        본 연구는 개별 가구의 주택서비스 수요에 대한 의사결정 중 양적 측면에 대해 검토한다. 주택수요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수요의 양을 줄이지 않는 측면이 있으며 경제환경의 변화가 있어도 양적 조정과정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10년의 기간 동안에 대해 개별 가구의 주택규모 선택의사결정에 대해 분석한다.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주택규모 선택에 대한 방정식을 설정하고 매년의 한계효과를 분석하고 10년간의 변화에 대해 검토한다. 추정결과, 항상소득, 가구주의 성별, 자가주택여부, 자동차보유여부와 같이 소득측면의 변수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에 반영된 모든 변수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규모인 25~45평 규모의 주택에 대한 한계효과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별 가구의 주거서비스 수요량에 대한 의사결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이지 않으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과 같은 가격 변동요인에 대한 효과를 반영하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cision of an individual household for the demand of housing. Since housing demand of a household is generally not reduced unless some kind of shocks happens to the household, and quantitative adjustment processes don`t work effectively even though economic circumstances change, we analyse the decision of an individual household for the housing size using The Korea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for the period between 1998 and 2007. With ordered probit model, we set an equation of the decision of housing size and analyse the marginal effects yearly, and the changes for 1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highly related to income such as permanent income, sex of household head, whether a car is owned or not and whether the house is owned or not, have relatively larger effects on making decision of housing size, and each of all the variables in our model has a trend to have an increasing marginal effect on relatively larger size housing, for instance 25~45 pyung, over time. We could find that the decision of a household for housing demand is not stable over time, but it is a weak point of out analysis that price variables such as housing sales price, rental price and another kinds of price related to housing demand, are not included in our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