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 슈퍼비전에서의 슈퍼바이지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합성

        윤라미(Ra-Mi Yoon),정경림(Kyung-Rim Jung),김태은(Tae-Eun Kim)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 슈퍼비전에서의 슈퍼바이지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합성을 통해 미술치료 슈퍼비전 경험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슈퍼비전에서의 슈퍼바이지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확인-평가-합성의 과정으로 종합적 검토 후 Noblit와 Hare(1988)의 상호전환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7개의 질적 연구가 선정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사 발달 단계의 기준과 슈퍼비전에서의 공통된 경험이 확인되었으며, 10개의 합성된 하위주제와 4개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상위 주제는 초심 미술치료사 발달단계의 ‘새롭게 경험한 감정과 관계에서의 혼란’, ‘성장의 원동력’, 경력 미술치료사 발달단계의 ‘개인적 통찰’, ‘전문가 성장의 발판 마련’이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슈퍼비전을 경험하는 슈퍼바이지의 성장과 효과적 슈퍼비전 방안을 모색하고, 미술치료사의 전문 역량 촉진을 돕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슈퍼바이지에게 미술치료 슈퍼비전만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향후 미술치료 슈퍼비전 발전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supervision experience through qualitative metasynthesis, targeting qualitative research on supervisor experience in art therapy supervision. To this end, aft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ies on the experience of supervisors in art therapy supervision in the process of confirmation-evaluation-synthesis, the interconversion analysis method of Noblit and Hare(1988) was used. Finally, a total of 7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riteria for art therapist developmental stages and common experiences in supervision were confirmed, and 10 synthesized sub-themes and 4 super-themes were derived. The derived top themes are 'newly experienced feelings and confusion in relationships', 'driving power of growth'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beginner art therapists, 'personal insight'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career art therapists, and 'preparation of a platform for professional growth'. This study seeks the growth of supervisors who experience art therapy supervision and effective supervision methods,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to help promote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art therapist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a researc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supervision in the future so that it can provide supervisors with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art therapy super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