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지 공룡생태박물관 부지선정을 위한 지구물리 및 지질조사

        김한준 ( Han Joon Kim ),정갑식 ( Gap Sik Jeong ),이보연 ( Bo Yeon Yi ),조철현 ( Churl Hyun Jo ),이광배 ( Kwang Bae Lee ),이준호 ( Jun Ho Lee ),주형태 ( Hyeong Tae Jou ),이광훈 ( Gwang Hoon Lee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0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많은 양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경기도 송산면 고정리의 시화호 남측 간척지내에 위치한 공룡생태박물관 건립부지의 350 x 750 m2 구역에서 탄성파 굴절법 탐사, 시추, 그리모 시추공에서 하향식 탄성파 탐사로 이루 어지는 지질조사를 통해 부지내 기반암과 그 위에 쌓인 갯벌의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체 6,950 m 길이의 11개 측 선에서 해머를 파원으로 이용하여 탄성파 굴절법 자료를 획득하여 역산으로 지질구조를 구하였다. 5개의 지점에서 지표에서 기반암까지 시추를 하였으며 이때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 등을 통해 퇴적물을 분류하였으며 일부 시료에서 갯벌의 진화과정을 밝히기 위해 연대측정을 하였다. 2개 시추공에서 지층시료를 회수한 후에 해머를 응원으로 이용하여 깊이에 따라 탄성파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조사지역의 지질은 지표에서 아래로 갯벌, 풍화토, 그리고 기반암의 구조로 나타난다. 갯벌퇴적층과 풍화토충의 두께는 각각 5-12 m와 2-8 m이다.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층으로 해석되며 조사지역내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얕게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조사구역올 피복하고 있는 갯벌퇴적층과 풍화충의 부피는 약 140만 m3, 무게는 350만 ton으로 계산된다. 조사지역에서 해수면 상승속도는 0.1 - 0.15 cm/yr로 추정되는데 이 값은 8,000년전 이후의 느린 해수면 상승속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eologic structure of the basement and overlying sediments of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dinosaur egg fossil museum in Hwasung, Gyeonggi Province through refraction seismology, drilling, and downward seismic velocity measurements in the drill holes. The construction site (350 x 750 m2) is located in the reclaimed area south of Sihwa Lake, Gojeong-ri. About 6,950 m of seismic refraction data consisting of 11 lines were acquired using a sledge hammer source. Drilling to the basement was performed at five sites. Sediment samples from drilling were analysed for grain-size distribution and age dating. At two drill holes, seismic velocity was measured with depth using a hammer as a seismic source.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tudy area consists of, from top to bottom, a tidal flat layer (5 - 12 m thick), a weathered soil layer (2 - 8 m thick), and the basement. The basement is interpreted as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that tend to be shallow eastward. The volume of the tidal flat sediments and wcathcred soil in the study area is estimated as 1.4 x 106 m3, weighing 3.5 x 106 tons. The rate of sea level rise since 8,000 yrs BP is estimated to be 0.1 -0.15 cm/y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