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입양절차에서 나타난 인권침해에 대한 해외 국가 차원의 조사와 대응 동향 연구

        이태인(Lee, TaeIn),한분영(Han, BoonYoung),노혜련(Noh, Helen),전세희(Chon, Sehee),박현진(Park, Hyun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4 한국아동복지학 Vol.73 No.1

        본 연구는 해외입양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관련 국가들의 실태조사 현황과 조사 결과에 따른 각국의 대응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유사 상황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입양아동 수령국 7개국과 송출국 1개국의 정부가 진행한 해외입양인 인권침해 조사 보고서를 조사 배경, 조사 시기, 조사 주체, 조사 주체에 부여한 권한, 조사 대상국, 조사 목적, 조사 방법, 조사 결과, 추후 대응 방식의 9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초기 국가 차원의 조사는 주로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칠레, 브라질 등에서 송출한 해외입양 사례에 집중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에서 송출한 사례에 대한 조사도 포함해 완료했거나 진행하고 있다. 조사를 실시한 8개 국가는 입양인 당사자를 포함해 다양한 입양관계자로부터 자료를 수집⸱분석했고, 그 결과 해외입양 과정에서 “아기농장”의 발견, 입양 서류 위조나 누락, 미혼모에 대한 착취, 입양기관의 기부금 수수, 친생모 동의 결여, 입양기관의 부패와 사기, 출생에 관한 허위신고, 허위 유기 등 불법적, 인권 침해적 요소를 밝혀냈다. 이러한 발견은 송출국과 수령국의 정부와 입양기관 등으로 이루어진 입양 체계 안에서 인권 침해적 행위가 구조적 차원에서 상습적으로 자행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각국은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의 확대와 해당 입양기관의 허가 취소나 해외입양의 일시 중단 등 법⸱제도적 조처, 해외입양인에 대한 지원과 전문 서비스 확대의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해외입양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와 입양관련법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vestigations or assessments conducted by governments concerning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process of intercountry adoption. By reviewing how governments responded to the outcomes of these investigations, we sought to provide guidance to the Korean government, which is confronted with a comparable situation. We analyzed reports on human rights violations in intercountry adoption led by the governments of 7 receiving countries and 1 sending country, cov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the background, timing, investigator, authority granted to the investigators, target countries for investigation, purpose of investigation, methods, results, and actions taken based on the findings. While the early investigations mainly focused on cases sent from countries such as Bangladesh, Sri Lanka, Indonesia, Chile, and Brazil, recent investigations being carried out in several countries in Europe now include adoption cases sent from Korea. The 8 investigating countrie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comprehensive adoption stakeholders, including adoptees, uncovering human rights-violating aspects in intercountry adoption. This included findings such as the discovery of baby farms forged adoption documents, exploitation of unmarried mothers, donation collection by adoption agencies, lack of birth mother consent, corruption and fraud by adoption agencies, false birth reports, and fabricated abandonment cases. The findings suggest a persistent likelihood of human rights violations within the adoption system involving the governments of sending and receiving countries, and adoption agencies. In response, countries expanded investigations, revoked permits for the relevant adoption agencies, temporarily suspended intercountry adoption, and enacted legislative measures. Additionally, they enhanced support and expanded specialized services for intercountry adopte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strengthening national responsibility for intercountry adoption and recommends measures for improving adop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