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적대적 또래관계를 보이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문제행동, 충동성, 대인관계 특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전문주(Moon-Ju Jeon),곽현정(Hyeon-Jeong Kwak)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1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3 No.2

        본 연구는 적대적 또래관계를 보이는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공격성, 충동성, 문제행동, 대인관계 특성 측면에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천안시 소재 A초등학교 재학생 중 적대적 또래관계와 갈등을 보이는 학생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11주 동안 총 10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검증을 위해 공격성 척도(AQ), 단축형 Conners-Wells 자기보고형 검사(CASS(S)), Barratt 충동성검사(BIS-11), 대인관계 반향메시지 원형모형 검사 단축형(IMI-C)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wilcoxon´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공격성 전체 척도, 적대감, 문제행동 전체 척도, 주의집중, 충동성 전체 척도, 지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언어적 공격성, 인지 충동성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적대적 또래관계를 보이는 초등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group-counseling of the sand play at school in te rms of aggression, impulsiveness, problem behavior,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for e 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ostile peer relationships. Eight students with hostile peer relations and conflict with pe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rom A eleme ntary school in Cheonan-si. A total of 10 group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11 wee ks, from May to July 2021.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counseling o f the sand play, Aggression Questionnaire(AQ),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 ale in short form (CASS(S),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BIS-11), and Impact Messag e Inventory-Circumplex (IMI-C)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Wilcoxon s signed -ranks test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 21.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scal e of aggression, hostility, the full scale of problem behavior, attention, impulsiveness, and cont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verbal aggression and cognitive impuls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counseling of the sand play at school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al he 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hostile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전문주(Moon-Ju Jeon),이호경(Ho-Kyung Lee),곽현정(Hyeon-Jeong Kwak)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2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행동 문제, 또래 문제, 공격성 측면에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산시 소재 A초등학교 재학중인 3학년 20명(남11, 여9)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총 10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강점 난점 설문지(SDQ-Kr), 공격성 척도(AQ)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품행문제, 또래문제, 총난점,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품행문제, 또래문제,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척도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또래문제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in term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eer problems,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 student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Asan-si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 total of 10 group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12 week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and the Aggression Question naire (AQ)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havior problems, peer problems, total difficulties,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anger, and hostility scal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behavior problems, peer problems, verbal aggression, and anger scales showed grea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counseling for school sand play may bean effective way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ee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