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교정수술 환자에 있어서 Enflurane, isoflurane 흡입마취제가 간기능에 단기간 미치는 영향

        장현호,김재승,강재현,이승호,Chang, Hyun-Ho,Kim, Jae-Seung,Kang, Jae-Hyun,Lee, Seung-Ho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4

        Isoflurane and enflurane are currently used on orthognathic surgery in Korea. Since starting to use enflurane and isoflurane in orthognathic surgery, we have questioned their effect on liver function. Many studies have reported liver function after enflurane and isoflurane anesthesia. Although both enflurane and isoflurane are less hepatotoxic than halothane, some cases of liver dysfunction have been reported after enflurane and isoflurane anesthesia. And, we know that isoflurane is less hepatotoxic than its predecessors, enflurane. But, fulminant liver failure and necrosis were also reported after isoflurane anesthe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liver function in healthy orthognathic surgical patients receiving enflurane or isoflurane anesthesia. To assess the effect of enflurane and isoflurane on liver function, we measured pre-and post-operative serum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total bilirubin(Tbil).

      • KCI등재

        개별차량 통행기반 고속도로 혼잡 속도 지표 연구

        장현호,백준혁,Chang, Hyunho,Baek, Junhyeck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3

        연구목적: 고속도로 구간의 소통상태 정보제공에 있어 신뢰성 있는 혼잡속도 지표는 핵심이다. 본 연구는 비집계 구간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개별 고속도로 구간의 소통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순응형 혼잡속도 지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통류의 상태는 전형적으로 비혼잡 상태, 혼재 상태, 혼잡 상태로 구분된다. 개별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교통류 상태를 계층화함으로써 도로구간별 혼잡속도 지표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도로구간별 혼잡속도는 혼재상태와 혼잡상태의 차량 속도분포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분석결과: 도로구간별 혼잡속도는 미국과 유럽의 혼잡속도 기준인 48.28 ~ 66.0 kp와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도로구간별로 혼잡 경계속도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과 혼잡지표는 빅 데이터 시대의 고속도로 구간별 맞춤형 실시간 소통정보제공 및 교통혼잡 비용의 산정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A reliable indicator of congested traffic speed is essential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raffic flow states about motorway sec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daptive indicator of congested speed which is employed for deciding the traffic flow states for individual motorway sections using disaggregated section-based speed data. Method: Typically, the state of traffic flow is categorized into the three: uncongested, mixed, congested states. A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r identifying boundary speed values of road sections through categorizing the three traffic flow states with individual vehicular speed values. The boundary speed state of each road segment is determined using the speed distributions of mixed and congested traffic states. Result: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undary speed values between mixed and congested states for road sec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US and EU criteria (i.e., 48.28~66.0 kph). This indicates that boundary speed values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road section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and indicator,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efficaciously used for providing ad-hoc real-time traffic states and computing traffic congestion costs for motorway sections in the era of big data.

      • KCI등재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condylar fracture through intraoral approach-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김재승(Jae Seung, Kim),장현호(Hyun Ho Chang),김만진(Man Jin Kim),한승윤(Seung Yun Han)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1 No.4

        하악과두골절에 대한 처치방법은 수십년 전부터 연구되어지고 발전되어오고 있지만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되는데, 첫째는 수술없이 하악골의 운동을 통해 정상적인 기능을 찾아주고자 하는 보존적인 방법이 되겠고 두번째는 수술, 즉 구강의 접근법을 통한 정복 고정술이 되는데 진이개 접근법이나 Risdon 접근법을 통한 직접 정복 고정술, 남씨 방법, 또 최근의 Lag screw를 이용한 방법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성장기 아동이나 골절부위가 capsule 내부 등 과두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오히려 수술 후 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보존적인 방법을 택하나, 성인의 경우에서는 특히 원래의 해부학적 형태를 회복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과두부 운동 제한 및 하악골 운동 상태의 변회 등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골절선이 과두경부 및 그 하방인 경우 많은 외과의사들은 아직 관혈적 정복 고정술로 하악골을 원래의 해부학적 형태로 회복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접근경로에 따른 외부반흔, 안면 신경 손상, 과도한 골막 박리 등에 의한 골절편 흡수 및 괴사 등이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 등은 구강내 접근법을 통하여 보존적 방법과 구강외 접근법에 의한 수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골절 부위를 원래의 해부학적 형태로 복원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강내 접근법원을 통한 하악과두 정복 고정술의 방법 및 임상적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93년 5울 부터 1995년 2원 까지 경험한 19명의 과두부 골절 호나자 중 구강내 접근법으로 수술하고 3개월에서 1년 까지 관찰한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내 접근법은 구강외 접근법에 비해 안변 산경 손상, 반흔, 골조직 괴사 등의 기능성을 없앨 수 있었다. 2. 구장내 접근법을 통하여 수술한 환자 5명 모두에서 안정된 교합과 함께 개구 및 전, 측방운동을 포함한 하악골 운동 장애는 없었으며 개구 및 전방 운동시 편측으로의 변위도 관찰되지 않았다. 3. 구강내 접근법은 경우에 따라 골절선의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골절선이 과두경부 하방으로 위치할 때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The methods of management ofr condylar fractur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improved for several decades. The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up to date are classified broadly into conservative and surgical treatment. Conservative treatment is planned to restore normal function through intermaxillary fixation and early exercises of mandibular movement. It is chosen in the cases of children s or growing adolescent s fractures and adult s intracapsular or high condylar fracture. Although long term results proved conservative treatment to be satisfactory,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preexisting anatomic relation and it may cause dysfunction or limitation of mandibular movement. So surgical intervention has been advocated for various types of condylar fracture. Until now, most surgical treatments have been undertaken by the following methods such as preauricular or Risdon approach, Nam s method, and lag screw fixation method. All of them are through an extraoral approach, which can cause complications such as facial nerve injury, external scar, and resorption or necrosis of bone frag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omplications, we attempted an intraoral approach. In this article, the technique and the clinical results of an intraoral approach are presented. We treated 5 patients having subcondylar (4) and low condylar neck (1) fractures with the use of an intraoral approach from May, 1993 to February, 1995. After 3 to 12 months follow-up, we coul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n intraoral approach has advantages over an extraoral approach ; No facial nerve damage, no facial scar, and the decrease of possibility of necrotic bone change. 2. The 5 patients treated in this technique had a stable occlusion state and all of them had no functional disturbance such as limitation of opening, protrusive and laterotrusive movements. Protrusive and opening deviation was not also noted. 3. Because the intraoral approach has some limitation in gaining enough visibility, it is better to use this method in cases of which fracture line is present below the condylar neck.

      • KCI등재

        하악골 후방이동 수술후 기도 공간과 두개 및 경추 각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장현호(Hyun Ho Chang),김재승(Jae Seung Kim),이충국(Choong Kook Yi)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2

        In the study of craniofacial deformity, it is very important that identifying the factor which can affect the morphology an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phology, because it can not only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rocess but also be applied in growth prediction and treatment modality. Several investigators have already mentioned the characterstics of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in relations to morphologic difference. But it is very meaningful work in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y,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that observing the change of head posture after morplologic change caused by operation and the change of airway space after same procedure. To investigate above correlation, I selected norm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3 adults and mandibular prognathism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7 adults who had been operated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ith their lateral skull radiograghs, reference lines which can evaluate each measuring points and areas without effect of postural change were first determined. And using above reference lines, change of airway space, positional change of tongue and hyoid, change of cranial and cervical angulations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hange of head posture,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neighboring to pharynx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reference line of cervical column than to reference line of cranium. 2.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the airway dimension was decreased to 81.6% of preoperative state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was slightly increased to 89.7% at 1 year postoperatively. 3.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plays important role in decrease of airway dimension and inferior movement of hyoid was closely correlated with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4. Postoperative anterior movement of mandible, namely, morphologic relapse had correlation with relapse phenomenon of airway dimension. 5. Craniocervical angulation increased postoperatively. Especially in the postoperative early state, there was increased foreward inclination of cervical angulation rather than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But at postoperative 1 year it was observed that cervical inclination was returned to preoperative state and cranial angulation was increased gradually. 6. Increase rate of airway dimension wa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from postoperative 1 month to 1 year. In conclusion, relapse tendency of airway dimension following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was found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is one of compensatory mechanism in airway maintenance.

      • KCI등재

        안모 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에서 상악 후방부의 수평이동에 대한 고려

        장현호(Hyun Ho Chang),윤석채(Seok Chae Yoon),류성호(Sung Ho Rhyu),김재승(Jae Seung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2

        When we establish treatment planning of facial asymmetry, we must predict each asymmetrical element that will be changed upon coronal, axial, sagittal plane. At the visual point, prediction of the change of coronal plane is most important. It is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Rt. and Lt. mandibular angle belonging to posterior coronal plane, as well as anterior coronal plane, such as upper and lower incisor, or midline of chin point. Several methods for control bulk of mandibular angle are additional angle shaving after osteotomy, grinding contact area between proximal and distal segment for decrease the volume, or bone graft for increase the volume. But, at the point of bimaxillary surgery, transverse position of posterior maxilla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ntrol it. So, we would report transverse movement of posterior maxilla for decrease asymmetry on the posterior coronal plane of face, that is, asymmetry of mandibular angular portion.

      • CA기반 2차로 고속도로 차로변경모형 개발

        장현호(Hyun Ho Chang),백승걸(Seung Kirl Baek)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Cellular Automata이론을 기반으로하는 CA차량추종모형(이하 CA모형)은 Nagel과 Schreck enberg(1992)에 의해 처음 소개된 후, 국내에서도 기존의 CA모형을 이용한 “미시적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조중래, 2001)”, “고속도로 돌발상황 영향 분석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노정현, 2001)”, “다양한 연속 교통류 구현을 위한 확률파장전파모형의 개발(장현호, 2004)”등의 연구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교통류의 행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CA기반 차로변경모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고속도로의 경우에 있어서 차로 이용률(Lane Usage)은 운전자의 특정 차로선호 정도, 통행시간 최적화를 위한 차로변경, 중차량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다르게 나타나며, 차로이용률은 일정하지 않으며 밀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그리고 차로변경에 의한 차로이용률에 의하여 차로별 교통량-밀도관계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차량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차로변경모형과 더불어 다양한 차로변경형태를 설명하는 차로변경모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모의실험 기반 양방향 보행교통류 행태 분석기법

        장현호(Hyun Ho Chang),윤종현,이승재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No.-

        보행교통류는 각기 다른 다양한 특성을 가진 보행자가 혼재된 동적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동적 보행류 시스템은 개별적인 보행자의 각기 다른 보행특성에서 발생하는 무질서속에서 교통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양방향 보행 교통류는 각기 다른 다양한 특성을 가진 보행자가 혼재된 매우 통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동적 보행류 시스템은 개별적인 보행자의 각기 다른 보행특성에서 발생하는 무질서속에서 교통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행류 시스템을 과학적이고 일관성 있게 해석·분석하기 위해서는 국내 현실에 적합한 보행교통류 모의실험도구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노드(Node)와 링크(Link)에서의 보행자 모형의 개발이 필연적이지만 국내의 경우 우리나라의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보행교통류 모형의 개발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모형에서 우수한 적용성을 보인 CA(Cellular Automata)이론과 동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일개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서 거시적으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통계물리학(Statistical Physics)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보행자의 체형과 보행특성을 고려한 양방향 보행교통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양방향 보행교통류 모형은 전방이동과 측방이동(강압적, 선호적, 통행시간 최적화) 모형으로 구성되며, 2차원의 면상에서 보행공간영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충되는 두 보행교통류를 설명하도록 고려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