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해상도 정사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산림수종 분류에 관한 연구

        장광민 ( Kwangmin J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드론으로 취득한 고해상도 정사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을 이용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수종에 대한 자동분류 가능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종판독을 위한 분류항목을 소나무, 자작나무, 낙엽송, 잣나무 그리고 신갈나무 5개 수종으로 선정하였다. 고해상도 정사영상과 임상도를 이용하여 총 5,000개의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수종분류를 위한 학습모델로 CNN 기법을 적용하였고, 데이터셋을 5:3:2의 비율로 훈련데이터, 검증테이터, 테스트데이터를 구분하여 모델의 학습 및 평가에 사용하였다. 모델의 전체 정확도는 89%로 나타났으며, 수종별 정확도는 소나무 95%, 자작나무 89%, 낙엽송 80%, 잣나무 86%, 신갈나무 98%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based tree species classification model trained by using high-resolution images. We selected five species classed, i.e., pine, birch, larch, korean pine, mongolian oak for classification. We created 5,000 datasets using high-resolution orthophoto and forest type map. CNN deep learning model is used to tree species classification. We divided training data, verification data, and test data by a 5:3:2 ratio of the datasets and used it for the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model. The overall accuracy of the model was 89%. The accuracy of each species were pine 95%, birch 89%, larch 80%, korean pine 86% and mongolian oak 98%.

      • 한국과 미국의 산림부문 자발적 탄소상쇄사업 사업모델 비교분석

        주선호 ( Sunho Joo ),( Kwangmin Jang ),최종화 ( Jonghwa Choi ),손휘림 ( Whi-lim Son ),장광민 ( Kwangmin Jang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9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0 No.1

        Forests are one of the most traditional and representative carbon sinks, they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domestic forest resources as a means of achieving th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NDC), while at the same time stabilizing the benefits which are derived from them in a virtuous cycle model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voluntary carbon offset business model of the domestic forest sector, which is currently in the non-obligation reduction sector, by comparing it with advanced overseas model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business model of the US market, which successfully carries out the voluntary carbon offset program of the forest sector such as VCS (Verified Carbon Standard) and CAR (Climate Action Reserve). By doing so, we suggested probable solutions for our system.

      • 순천만 국가정원의 탄소 흡수 잠재량 평가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

        최종화 ( Jonghwa Choi ),김희준 ( Heejoon Kim ),정순철 ( Soonchul Jung ),장광민 ( Kwangmin Jang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9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0 No.1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등을 제정하고 배출권을 거래하는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배출권거래제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권거래제 상쇄 제도 중 식생복구 사업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업대상지의 잠재적 탄소 흡수량을 평가하고 외부사업의 추진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1,179tCO<sub>2</sub>-eq으로 평가되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갱신형으로 총 사업 기간을 60년으로 진행할 시 순이익은 21억원으로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has enacted laws and operated the emission trading system to effectively achieve the country’s greenhouse gas(GHG) reduction target by introducing a system for trading greenhouse gas emission right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carbon absorption is assessed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the revegetation project in the business to the project site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offset system, and then assessing the potential of the project site though economic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annual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this study was assessed at 1,179tCO<sub>2</sub>-eq. Economic analysis shows that if the project is carried out to 60 years due to renewal, net profit is 2.1 billion won, which is more economical.

      • 산림분야 외부감축사업에 따른 흡수 잠재량 평가에 대한 연구

        최종화 ( Jonghwa Choi ),주선호 ( Sunho Joo ),정순철 ( Soonchul Jung ),장광민 ( Kwangmin Jang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9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0 No.1

        By introducing a system to trade greenhouse gas(GHG) emission rights, the government has enacted laws to effectively achieve the country's GHG reduction targets and has been operating a carbon offset system for emissions trading. The ministry of forest operates carbon offset schemes to improve the carbon uptake of forest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potential of carbon stocks by analyzing the potential carbon uptake by using the methodology in forest carbon offset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