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년기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아내의 관점에서-

        이희백 ( Hee Back Lee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1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들의 주요 부부갈등요인이 무엇이며 부부갈등의 정도가 가족환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이 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30세 이상 결혼한 여성 204명을 대상으로 결혼생활과 관련된 12개의 갈등 요인과 7개의 일반특성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부부갈등의 원인은 성격 문제, 가사 관리, 의사소통, 자녀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환경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 정도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부인연령이 높으면 높을수록, 남편이 연령이 낮을수록 갈등이 많았다. 또한 결혼지속연수가 적을수록 자녀관계로 인한 갈등이 높아지며 학력에서는 고졸 부인들이, 월평균 소득은 100-200만원의 소득을 가진 부부들 간에, 직업유무는 직업이 없는 부인에게서는 성격요인이, 직업이 있는 부인에게서는 애정표현과 성, 자녀관계, 경제난, 건강에서 더 많은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3명이상의 자녀가 많은 부인에게서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rital conflict degree, and find out how demographic variables have an effect on marital conflict. For the data, 204 married woman living in Pusan and kyungnam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using M, SD. Multiple regression, X2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tems were loaded twelve categories such as character, sexual, children, communication barrier, husbands` family, spousal digression, economic difficulties, difference in value and the way of life, occupation and social activites, health, home management. Second, the degree of marital conflict is relatively middle. Taking a look at each conflict factor, conflict of character problem is the highst, the next is home management problem and the third is communication problem. Third, among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level of age, age of husband, marital duration, educational status, monthly income, occupation have influence on the marital conflict.

      • KCI등재후보

        적개심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내담자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희백 ( Lee Hee-bac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6 동서정신과학 Vol.19 No.1

        본 연구는 적개심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내담자의 심리적 특징과 반응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6개의 상담사례는 모두 자발적 내담자로서 적개심을 나타내는 언어반응을 집합적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적개심의 감정은 아동기시절부터 과도한 부모의 갈등과 부부싸움 등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자신도 신체적 처벌과 위협적 상황에 노출되어 타인이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위협 감정을 과도하게 느낀 것이 주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내담자들은 타인이 언제든지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의심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이 자신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각하게 되면 과도한 공격반응을 나타내거나 외부로 표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살위협 또는 직접적 자살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모든 내담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은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소통하지 못하고 혼자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의 가족원과의 관계에서도 재 경험 되고 있고 타인과의 대인관계에서도 반복적으로 재 경험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uclear feeling of hostility ke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a variety of viewing in terms of looks.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study, researchers counseling cases are collectively qualitative six ca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As a result, the nuclear feeling of hostility are classified into six subjects as a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childhoo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a psychological response for a family, behavioral characteristic, response in work or study, reaction of interpersonal from emotional reactions. The key theme is from childhood days are exposed to quarrels of the parents have been exposed to excessive physical punishment and threatening situations that main cause others to feel overly emotional threats that can attack him. The clients have the suspicion that others can attack their own at any time. If you suspect that someone else was analyzed that you are attacking his reaction seems excessive attacks or threatening behavior seems suicidal. In the most case, these people are perceived by the mind that anger does not recognize this even through my best to his own resentment and strong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other person nagatively. In addition to the common features indicated are unable to communicate or express these feeling and thoughts to myself that everyday seems unfair harboring feelings in our hearts. This experience is now being repeated in life there is, the nuclear feeling of hostility fomed in childhood continue to suffer due to,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공감(共感)과 주객일치(主客一致)

        이희백 ( Hee Back Lee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1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공감적 과정은 심리상담 관계에서 중심이며 치료적 효과를 내는데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서양심리치료자들의 공감에 대한 논의는 공감자와 공감을 받는 사람 간의 이원론적 주객분리의 관점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져 진정한 공감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낳게 한다. 이원론적 주객분리의 관점을 전제로 한 상태에서 상담자가 동일시를 통해 자신의 관점과 생각, 감정, 경험에 방해를 받지 않고 완전히 내담자의 내면에 도달하도록 노력한다 하더라도 자칫 잘못하면 공감의 내용이 상담자의 경험과 감정반응 양식의 반영일 수 있으며 무엇이 역전이인지, 무엇이 내담자의 감정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주체와 객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어떻게 완전한 동일시가 가능한지 서양 심리치료의 이론으로서는 이해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동서양의 심리상담가들이 추구하는 자신의 정체를 손상하지 않고도 일시적으로 완전히 동일시하거나 자기 자신을 내담자의 정서적 내적 경험을 완전히 이해하고 함께 경험한 상태인 진정한 공감은 일원론적인 주객일치의 관점에서 만이 가능하며 그 가능성을 대승불교의 화엄교학의 관점과 공(空)사상적 관점 그리고 남방불교인 테라와다 불교의 위빠사나 수행적 관점으로 살펴 보았다. 화엄교학의 관점에서 모든 존재는 개체와 개체 간에 막힘이 없이 서로에 융섭(融攝), 포섭(包攝), 주객일치(主客一致) 되지만각 개체는 조금도 손상당함이 없이 그대로 생생하게 존재한다는 사사무애(事事無碍)사상을 통해 설명해보았다. 이러한 사사무애는 모두 공(空)의 원리가 없다면 불가능한 담론(談論)이다. 상담자와 내담자 각각의 개성이 상실되지 않으면서도 주객일치되고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모든 존재가 공 空하기에 가능하며 상담자와 내담자의 완전한 동일시도 가능하다. 사사무애와 공에 대한 이해와 체득은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우리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신체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수행을 통해 싸티(sati)가 강화되어 알아차림 능력이 확장되면 존재에 내재한 실재(實在)인 3법인 즉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를 체험하게 된다. 이 지혜를 통해 욕망과 성냄과 어리석음 즉 탐진치(貪嗔痴)로부터 벗어나 마음의 오염원인 생각거품의 제거가 이루어지면 상담자가 사사무애의 상태 즉 공(空)의 상태로 들어가 내담자의 마음에 상즉(相卽), 상입(相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완전한 동일시가 이루어져 완전한 공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내담자에 대한 완전한 동일시를 통한 완전한 공감(perfect empathy)의 가능성을 일원론적 주객일치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는 점이며 완전한 동일시를 통한 완전한 공감의 가능성은 상담자 자신의 마음 오염원의 제거 즉 탐진치의 제거를 통해 공(空)적 상태에 도달했을 때 가능하며 상담실제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상담자 자신의 마음 오염원인 탐진치의 제거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s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psychotherapy, the definition of empathy. Many analytic investigatiors view empathy as a special form of identification, characterized by its transient, consciously or preconsciously determined nonregressive, easily reversible natur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the analyst must feel free to alternate between the mode of unconscious perception and a more intellectual evaluation of his responses to the patient. In this study author have attempted to establish an East-West dialogue as subject-object congruence empathy between west psychotherapy and Hua-Yen Buddhism, emptiness thought, vipassnan meditation at a generalized level of speculative discourse within the unity of a syncretic harmonization pattern. In conclusion, empathy is not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but the perception of patients psychic reality in the subject-object congruence. The author sincerely agree with Hua-Yen Buddhism that an accurate empathy based on "non-obstructive interpenetration of particular-phenomena with particular-phenomena(事事無碍), mutual identity(相卽), mutual entering or penetration(相入). This phenomena occur as a condition of emptiness(空) and getting from experience through a vipassnan meditation.

      • KCI등재후보

        억울함의 핵심감정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희백 ( Hee Back Lee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5 동서정신과학 Vol.18 No.1

        본 연구는 억울함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 특징과 반응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6개의 상담사례는 모두 자발적 내담자로서 억울함을 나타내는 언어반응을 집합적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억울함의 감정은 아동기시절부터 부모의 어려움을 덜어주려고 자신의 욕구를 참고 도와주려고 노력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부모가 알아주지 않고 도리어 야단을 치고 자신을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지각될 때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모든 내담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은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소통하지 못하고 혼자 마음속에 억울한 감정을 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의 가족원과의 관계에서도 재 경험 되고 있고 타인과의 대인관계에서도 반복적으로 재 경험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uclear feeling of unfair ke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a variety of viewing in terms of looks.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study, researchers counseling cases are collectively qualitative six ca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As a result, the nuclear feeling of unfair are classified into six subjects as a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childhoo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a psychological response for a family, behavioral characteristic, response in work or study, reaction of interpersonal from emotional reactions. The key theme is that parents feel that they only hit rather not fuss did not even know that I also do not understand how much effort and how hard their interest. This feeling is help mothers continue functioning in the adult behavior ought be able to avoid burdening legitimate demands. In the most case, these people are perceived by the mind that anger does not recognize this even through my best to his own resentment and strong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other person nagatively. In addition to the common features indicated are unable to communicate or express these feeling and thoughts to myself that everyday seems unfair harboring feelings in our hearts. This experience is now being repeated in life there is, the nuclear feeling of unfair fomed in childhood continue to suffer due to,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핵심감정 극복과정에 대한 심우도(尋牛圖) 그리고 무아(無我)·연기(緣起)적 성찰

        이희백(Lee Hee-Back)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8 동서정신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핵심감정 극복 과정을 심우도(尋牛圖)의 깨달음의 과정(10단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현대서양정신치료의 치료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단계인 7단계까지 본 연구자의 공부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핵심감정의 극복이라는 특정주제에 대하여 연구자의 성장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그 의미를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기-내러티브 탐구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핵심감정의 극복은 서양 정신치료 방법으로 완전히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핵심감정의 극복을 위해 위빠사나 명상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핵심감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핵심감정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느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핵심감정 극복 과정에서 기존의 이론과 차이가 있었던 점은 핵심감정의 시작이 태아 시절부터 라는 점과 이를 완전히 치유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태아시기에 대한 치료 작업 뿐 만 아니라 태어난 이후, 삶의 과정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고착(fix) 되어 있는 시점의 감정들을 모두 이미지 하여 표현하고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공감적 작업을 하여야 완전히 해결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태아 때부터 시작하여 과거의 나(‘그때 그 아이’)의 이미지 형상을 내면에 띄어두고 작업하는 것이 치유과정에서 훨씬 효과적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은 완전히 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순수한 마음과 자신의 내면 감정과 ‘그때 그 아이’를 정확히 만나고 공감하고 공감적 반응을 온 마음을 다해서 하는 정성, 그리고 ‘그때 그 아이’가 완전히 치유되었다는 확신이 떠오를 때 까지 끝까지 끈기 있게 해 나갈 때, 완전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감정은 극복하였으나 핵심감정 공부와 심리학적 치료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 진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원래 이에 답하는 것이 핵심감정 공부의 목적이 아니다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8단계부터는 핵심감정이라는 개념적 틀을 벗어나 존재의 근원에 대한 질문으로 방법론을 완전히 바꾸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참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에고(ego 개체 즉 이 몸과 마음이 나라는 착각)의 작용에 속지 않고 참나를 깨닫기 위해 “이것이 누구에게서 일어났는가?”를 전체성(절대, 참나, 진아, 본래성품, 무극)의 관점에서 질문하여 무아(無我)와 연기(緣起)의 진리를 체득하여야 ‘개체(個體)로서의 나’라는 착각으로 인해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존재적 불안과 고(苦)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8-10단계에 대한 저자의 체험은 다른 논문에서 밝히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and selfless(無我)`The Dependent Arising(緣起) theory reflection on overcome process of nuclear feeling. In this study, the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s own growth process on a specific topic of overcoming the nuclear fe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have experienced that the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has a limit to be completely solved by western psychotherapy metho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use the Vipassana meditation method together to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e what their nuclear feelings are. The researcher`s nuclear feelings overcorrection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y in that the biginning of the nuclear feelings was from the time of the birth of a child and it was an experience that could completely heal it. In addition to this, in order to complet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reat the fetal period, but also to empathize, empathize and comfort all the emotions that have been fixed since the birth. And I have found that starting from the birth of the fetus, and working on my image of the past is a much more effective approach in the healing process. The complete solution of the nuclear feelings is a pure heart that I must solve my problem completely, my own emotions, and then I meet with the child exactly, empathize and empathize with the wholehearted mind, and then the assurance that the child is completely healed I have experienced that complete resolution is possible when persevering until the end. Finally, I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but I found that did`t answer the question Who am I? , What is the truth? . From the 8th step, the methodology must be completely changed in such a way as to leav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uclear feelings and ask about the origin of existence. In order to realize the truth, we have to inquire and deeply inquire who this has happened to . Steps8 through 10 will be studied in other papers.

      • KCI등재후보

        열등 핵심감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희백 ( Lee Hee-bac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7 동서정신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열등감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내담자의 심리적 특징과 반응을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6개의 상담사례는 모두 자발적이었으며 열등감을 나타내는 언어반응을 집합적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감정적 반응으로는 나 자신이 부끄럽다, 창피하다가 핵심적인 심리적 반응이었으며, 가족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는 공통적으로 가족들이 나를 못났다고 생각하고 무시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심리적 반응은 아동기 가족관계에서의 경험 즉 나보다는 다른 형제를 더 좋아하였고 나에게는 별반 관심과 칭찬, 인정을 해주지 않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동적 특징은 자신의 열등한 모습이 들어 날까봐 신경 쓰이고 자신의 모습을 감추고 싶어 타인들에게 자신의 진정한 모습이 드러나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자신의 진심을 감추려고 노력한다. 일 또는 학업에 대한 반응으로는 “내가 시작한 일의 결과는 늘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아주 높다.”라는 비합리적 신념으로 인해 위축되어 일의 효율성이 극도로 저하되는 경향이 강하게 들어났다. 또한 대인관계에서의 반응도 남들 앞에 서는 것이 창피하여 자신의 주장이나 말을 할 수가 없어 자신의 의견을 당당하게 들어내지 못하고 속으로 감추려는 행동으로 인해 대인관계의 의사소통이나 갈등해결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소통하지 못하고 혼자 마음속에 열등 감정을 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의 가족원과의 관계에서도 재 경험 되고 있고 타인과의 대인관계에서도 반복적으로 재 경험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uclear feeling of hostility ke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a variety of viewing in terms of looks.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study, researchers counseling cases are collectively qualitative six ca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As a result, the nuclear feeling of hostility are classified into six subjects as a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childhoo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a psychological response for a family, behavioral characteristic, response in work or study, reaction of interpersonal from emotional reactions. As a result, emotional reactions common to all cases were ashamed and embarrassed. The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family showed that the family members felt that they were ignorant of themselves and ignored them. These psych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to be that they liked other siblings rather than oneself in their childhood family relations and not give interest and praise. The comm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inferiority as core emotions were to worry about their inferiority and want to conceal their appearance. Also, I try to hide my true self from other people. There is a high degree of irrational belief that work or study is likely to end in failure. As a result, there was strong tendency that the activity was shrunk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was extremely degraded. In addition, the re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also embarrassing to stand in front of others, so that their can not make own argument or say oneself opinion without being heard. Thus, they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sa result, they were unable to express or communicate their emotions, and were feeling inferior in their minds alone. This experience is now being repeated in life there is, the nuclear feeling of unfair formed in childhood continue to suffer due to,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단기역동상담에서 상담 효과 유무에 따른 상담자 개입 수준·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

        이희백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3 동서정신과학 Vol.6 No.1

        당기역동상담의 상담효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상담자 개입 반응 수준과 이에 따른 즉시적 내담자의 진전 반응 수준을 과정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검사 결과에서 상담효과가 있었다고 판명된 사례와 효과가 없었다고 판명된 사례 간의 실질적 반응 차이를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에 활용한 15개의 단기역동 상담사례 중 심리검사 결과에서 다른 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 상의 변화가 많았다고 판단된 세 사례(효과 사례)와 변화가 별로 없었다고 판단된 세 사례(비효과 사례)의 축어록을 작성하고 개입일화로 나눈 후, 상담자 개입 유형인 대인관계양식, 조화와 반응, 기법의 적용 능력 수준과 내담자의 진전/침체 수준을 Rutgers 상담자 과정 척도, Rutgers 내담자 진전/침체 수준 척도로 평가하였다. 효과/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수준과 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효과/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 수준에서 모든 상담자 개입 유형과 하위반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담자 진전 반응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 상담과정-결과 연구에 실질적인 내담자 진전 반응 수준을 종속측정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tudy of the differences of therapist interventions and client progress level by the effects in short-term dynamic psychotherap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15 short-term dynamic session of psychotherapy used in this study, verbatims were made from 3 successful cases. They were thought to make a lot of difference in the mental health compared to other cases from psychological test results and 3 unsuccessful cases. After being divided into interventional episode, The Rutgers therapist Process Scale(RTPS), The Rutgers Psychotherapy Progress and Stagnation Scale(RPPSS) was used to evaluate the level of interpersonal manner, attunement and responsiveness, competence in using psychodynamic technique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at the level of therapist intervention and client's progress and stagnation, Independent t-test was done between therapist intervention levels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and the client's progress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⑴ from the analysis of the levels of the therapist's interventions,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ypes of the therapist's interventions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⑵Also, after checking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client's progress or stagnation,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clients' responses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This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lients' responses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⑶Also, the identical results were shown between difference in clients' response levels a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In the change of the course of client's progress and stagnation according to change in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Thus, it was shown that the client's responsiveness level can be used to analyze the fin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