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자인 재능기부 유형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박찬주(Park, Chanju),박인혜(Park, Inhye),이향은(Lee, Hyange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최근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자이너 및 기업들은 디자인 재능기부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관심과 활동에 비해 디자인 나눔의 그 역할과 기부방식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디자인 재능기부방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디자인분야는 매우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기부형태들이 일정한 기준 없이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재능기부 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을 알아보고 디자인 재능기부방식을 유형화한 후, 유형별 특징을 살펴본다. 디자인 재능기부는 디자이너들이 참여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 재능기부 요소 중 디자인 자원을 주는 주체와 그 자원을 지원받는 수혜대상을 기준으로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기부방식은 크게 직접기부, 간접기부로 분류할 수 있고, 디자인 자원을 지원해 주는 주체와 자원을 지원받는 대상에 따라 각각 D to P [디자이너들이 개인을 위해], D to S [디자이너들이 사회 또는 단체를 위해], O toP [다양한 단체가 개인을 위해], O to S [다양한 단체가 사회적 단체를 위해] 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디자인 재능기부는 간접기부 보다 직접기부의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직접 기부는 간접기부보다 지속가능하게 활용 할 수 있는 요소가 많고, 간접 기부는 제3자를 참여시켜 수혜대상에 대한 관심이 디자이너와 단체를 넘어 제3자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접 기부의 형태도 직접기부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기부유형별 특징을 정확히 인지함으로써 보다 진정성 있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디자인을 통한 나눔 실천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디자인 재능기부가 발전할 것이다. With the level of curiosity rising ab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designers and companies practice ‘sharing’ through their talent donation. Way of donating by design has to be considered because it has not defined although interests and activities are very active. On this study, we defined social function of design and stereotyped design talent donation through case studies related to ‘design donating’. Volunteering in the design has been divided 8 types based on how to participate into donation. Way of design donating can be classified into direct donation and indirect donation. According to subject who support design resources to the needy and recipient, It can be categorized D to P(from designers to individual), D to S (from designer to society or organization), O to P(from various groups to individual) and O to P(from various organization to social groups). Direct donation is more active than indirect donation for now. Direct donation can be sustained rather than indirect donation and indirect donation has mor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for the projects. More activities on volunteering in the design would be activated and developed with new classification of design skilled volunt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