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가 자본시장의 통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진호 ( Jinho Jeong ),이지선 ( Geesun Lee )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KOSPI 및 상해종합주가지수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코로나19가 한-중 자본시장 통합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한국 주식시장에서 중국 주식시장으로의 가격이전효과가 코로나19 발생이후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코로나19 발생 이전 존재하였던 한국 주식시장으로부터 중국 주식시장으로의 변동성이전효과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존재하지 않는 혼재된 이전효과를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금융위기가 자본시장 통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전염병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자본시장 통합도에 변동성과 가격에 각각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가격이전효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코로나19 이후 양국에서 채택한 비슷한 유동성 확대정책으로 인해 자본시장의 반응이 비슷하게 나타나 자본시장의 통합도가 강화된 측면이 있지만, 변동성이전효과의 결과처럼 코로나19로 인한 국가간 물적, 인적 교류의 단절이 자본시장 통합도를 약화시킨 측면도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가 자본시장간 통합도에 미치는 영향이 기존의 금융위기와는 달리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In this study, we employ DCC-MGARCH (1, 1)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VID-19 pandemic on the stock market integ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purpose, we analyze daily return series of KOSPI and Shanghai Stock Exchange Indices for the period between January 2000 and September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volatility persistence and asymmetric volatility existed in both stock markets of Korea and China in the pre-COVID19 era. However, they disappeared after the onset of the COVID-19 crisis, imply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creases the stock market efficiency. Second, the price spillover effects on both stock markets did not exist in the pre-COVID19 era. In addition, during the CORONA-19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price spillover effect from Korean stock market to Chinese stock market. Finally,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did not exist during the CORONA-19 period. The empirical evidences in this paper suggest that CORONA-19 simultaneously affects the capital market efficiency and integration. In particular, CORONA-19’s effect on the capital market integr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macro shocks caused by such as financial crisis or the other epidemic such as SARS. On one hand, the COVID-19 intensifies the market integration due to a quantitative easing monetary policy of each country in response to COVID-19 pandemic crisis as we can see in the presence of price spillover effect. With respect to volatility spillovers, the COVID-19 attenuates the level of market integration as it causes an economic shutdown and a trade and travel lockdown.

      • KCI등재

        복수 대주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정진호 ( Jinho Jeong ),박위련 ( Weilian Piao ),이지선 ( Geesun Lee ) 국제지역학회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복수 대주주의 존재 및 대주주간 경쟁정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서구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복수 대주주의 존재는 기업가치와 유의한 역(-)의 관계를 나타냈다. 대부분 국유기업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국기업의 경우 최대주주가 정부인 단일 지배대주주로 있는 것이 경영상 효율성이 확보되고 기업운영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대주주간의 경쟁정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선형적 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대주주간 경쟁정도가 심하지 않은 그룹에서 대주주간 지분율 차이가 작아지면 기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그렇지 않은 그룹에서는 기업가치에 역(-) 혹은 무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유의 집중 혹은 분산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일률적 관계가 아닌 정보비대칭 완화와 효율적 감시 및 통제 등의 순(+)기능과 주주간 이해상충문제 및 주주간 경쟁심화로 인한 과도한 견제 및 감시가 초래하는 경영 비효율성 등의 역(-)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해석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multiple large shareholders (MLS) on the value of the firm in China.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ce of MLS and the firm value. In China, where most of the firms are state-owned, the concentrated ownership by a single controlling shareholder has a positive(+) effect on its firm value by providing a favorable operational environment and secur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In addition, we also fin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among large shareholders on its firm value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and has a nonlinear “L-shaped” relationship. For firms with weak competition between large shareholders, the increased ownership by non-controlling sharehol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of the firm. On the contrary, for the firms with strong competition between large shareholders, it has a negative(-) or insignificant effect on the value of the firm. Overall, our empirical evidence implies that the ownership increase by non-controlling large shareholders has both positive(+) functions such as reduced information asymmetry and negative(-) functions of increased agency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