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전플랜트 다단계 분산제어기 설계

        이은호,최선욱,김영철 ( Eun Ho Lee,Sun Wook Choi,Young Chol Kim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6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10 No.2

        Abstract_Roman For the purpose of the good tracking to variable load demands of the thermal power plant, a decentralized multilevel control(DMC) scheme is presented. It is applied to the drum type boiler-turbine system which is simplified from Boryung T/

      • KCI등재

        이환모(李煥模)의 『서전기의(書傳記疑)』에 보이는 해석의 다양성

        이은호(LEE Eun H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두실(斗室) 이환모(李煥模, 1735~1821)는 조선후기 영조, 정조, 순종 3대에 걸쳐 생존했으며, 충청남도 지역에 기거했던 처사(處士)였다. 『서전기의』는 이환모의 『서경』 독서기로서 그 속에는 경문의 해석, 주석의 동이(同異), 언해(諺解)의 독법 등에 관한 내용이 단편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주자설과 채침설이 서로 어긋나는 부분에 대해서 언급한 부분이 많은데, 대부분 채침설을 비판하고 주자설을 지지하였지만, 일부 주자설의 과도함을 지적한 점은 주자의 해석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 이는 18세기 조선문인들의 시야의 확장과 독해능력의 향상에서 비롯된 것인데, 기존의 『오경대전』뿐만 아니라 『주자어류』와 다양한 문집의 보급과 어류체(語類體)의 학습은 해석의 다양성을 열어주는 열쇠였다. 또한 관본 언해본의 언해와 주석의 불일치 혹은 독법의 오류 등을 지적한 점은 경해(經解)의 정확성은 물론 해석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열린 학문의 자세를 견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Dusil(斗室) Lee Hwanmo(李煥模, 1735~1821) was a scholar who lived in Chungcheongnam-do for the three generations of Yeongjo, Jeongjo, and Sunj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an upright scholar who did not go to office. Seojeonkiyi(書傳記疑) is Lee Hwanmo s Shangshu Review. Seojeonkiyi is a fragmentary record of the interpretation of Shangshu, the same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the way to read Eonhae(諺解, Korean annot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references to different parts of the Zhuxi(朱熹) s commentary and Caishen(蔡沈) s commentary. Most of them criticized Caishen s explanation and supported the Zhuxi s theory. However, Lee Hwan-mo also pointed out that Zhuxi s explanation was very excessive. Zhuxi s explanation was not unconditionally accepted. This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he vision of the 18th century Chosun scholar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dissemination and learning of various writings, such as Zhuzi-Yuilei was the key to open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He also pointed out the inconsistencies and errors between Eunhae and Caishen s commentary. He sought the accuracy and diversity of scripture interpretation. And he aimed for open science.

      • KCI등재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소 억제 효과

        이은호 ( Eun-ho Lee ),김병오 ( Byung-oh Kim ),조영제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2

        주름조개풀에 함유되어 있는 phenolic contents는 water, 70%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7, 10.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 μg/mL로 조절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에서는 water, ethanol 추출물 5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78, 82%였고, ABTS radical decolorization는 1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2, 76%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PF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water,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51, 2.08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water, ethanol 추출물 50-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9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식품 활성을 측정하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44%의 억제력을 나타내었고, α-amylase 저해활성은 water 추출물 50-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37-88%의 효소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미용 식품 활성을 나타내는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 82%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추출물에서 각각 4, 61%로 나타내었고,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39, 67%로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억제력을 나타내어 우수한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Astringent 효과를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13, 32%의 astringent 효과를 나타내었다.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46%의 Hyaluronida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henolic contents which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from O. undulatifolius were 7.7, 10.1 mg/g, respectivel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78, 82% at 50 μg/mL phenolics, respectivel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y were 92, 76% at 100 μg/mL phenolic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at 200 μg/mL phenolics were 1.51 and 2.08 PF, respectivel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were 84% in water extracts and 99% in ethanol extracts at 50 μg/mL phenolics, respectively. The inhibition activity on α-Glucosidase was 44% in ethanol extracts at 200 μg/mL phenolics. The inhibition activity on α-amylase was 37-88% in water extracts at 50-200 μg/mL phenolics.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s whitening effect were 82% in ethanol extracts.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were 4, 61%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of anti-wrinkle effect showed an excellent wrinkle improvement effect as 39% in water extracts and 67% in ethanol extracts at 200 μg/mL phenolics, respectively. The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y as anti-inflamma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s was confirmed to 46% of inhibition at 200 μg/mL phenolic. The astringent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confirmed to 13, 32% of effect at 200 μg/ mL phenolic, respectively.

      • KCI등재

        동송근(Pinus densiflora root) 추출물의 미용식품활성

        이은호 ( Eun-ho Lee ),박기태 ( Ki-tae Park ),박혜진 ( Hye-jin Park ),조재범 ( Jae-bum Jo ),이재은 ( Jae-eun Lee ),임수빈 ( Su-bin Lim ),김예진 ( Ye-jin Kim ),안동현 ( Dong-hyun Ahn ),조영제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2

        소나무 뿌리(동송근)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미용식품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동송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이 92%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ethanol추출물이 각각 61, 78%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수렴효과는 50 μg/mL phenolics의 저농도 ethanol추출물에서 8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hyaluron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200 μg/mL phenolic 농도의 ethanol 추출물에서 74-94%의 매우 높은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송근 추출물이 미용식품활성 또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Pinus densiflora root were examined biological activities for beauty foo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hich was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observe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to be 92% in ethanol extract at 50 μg/mL phenolic. Th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as anti-wrinkle effect were showed 61 and 78% in ethanol extract at 200 μg/mL phenolic, respectively. Astringent effect of ethanol extract was showed to be 82% at 50 μg/mL phenolic.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as anti-inflammation effect was confirmed to be 94% of inhibition at 200 μg/mL phenolic.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P. densiflora root could be expected to use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 KCI등재

        신품종 그린볼 사과의 광노화인자 조절효과

        이은호 ( Eun-ho Lee ),이승열 ( Seung-yeol Lee ),정희영 ( Hee-young Jung ),강인규 ( In-kyu Kang ),안동현 ( Dong-hyun Ahn ),조영제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육종한 신육성품종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GBE)이 피부 광노화 인자조절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에서 광노화 인자 조절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CD986sk fibrobalst cell에 UVB로 광노화를 유도시킨 후 세포에 GBE를 처리하였다. 광노화 인자 조절 효과를 측정한 결과 GBE가 COL1A2, MMP-1, MMP-9, TIMP-1 단백질 발현량에서 UVB에 의해 자극된 MMP-1, MMP-9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COL1A2, TIMP-1 단백질의 경우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hotoaging-related factors인 COL1A2, MMP-1, MMP-9, HAS2, TGF-β, TIMP-1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GBE에 의해 MMP-1, MMP-9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MMPs와 type procollagen 발현에 관여하는 조절인자인 TIMP-1과 TGF-β의 발현량이 증가함에 따라 COL1A2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 중 하나인 hyaluronic acid 생성에 관여하는 HAS2의 발현량 증가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GBE는 광노화의 인자 억제 조절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가졌으며,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extracts from the Green ball apple peel (GBE) and the newly bred green ball apple from Korea showed inhibition effects on photo-aging factor regulation associated with skin aging.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effect on photo-aging factor regulation in skin, GBE was treated with UVB to induce photo-aging related factors in CCD986sk fibroblast cells. Photoaging factor regulation effects showed that GBE inhibited UVBstimul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9 protein synthesis in collagen type I alpha 2 chain (COL1A2), MMP-1, MMP-9,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 (TIMP)-1 protein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COL1A2 and TIMP-1 prote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OL1A2, MMP-1, MMP-9, hyaluronan synthase (HAS)2,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and TIMP-1 were decreased by GBE.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GF-β, which are regulators involved in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ype I procollagen expression, wa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expression of COL1A2. The expression of HAS2, which i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one of the structural proteins constituting the skin,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GBE showed excellent efficacy against photo-aging factor regulation and could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 to prevent and treat skin aging.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상서관(尙書觀) - 난(亂)에서 치(治)로의 지향 -

        이은호 ( Lee Eun-h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17세기를 기점으로 대량의 경학(經學)저작이 쏟아지고 학계의 다양한 학설이 양산되는데, 이는 성리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 아래 주자학에 비판적인 학자의 출현과 관련이 있다. 정통 주자학과 비판적 주자학 양자 간의 중간에 위치하는 학자를 꼽자면 바로 미수(眉叟)허목(許穆, 1595∼1682)을 들 수 있다. 미수는 유가의 역사관에 착안하여 이 세계와 역사를 치(治)와 난(亂)의 이중구조로 파악하고 난을 극복하고 치를 지향하려고 부단히 고민하였다. 그는 고문(古文)과 육경(六經) 등 선진(先秦)의 유학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평가되는데, 특히 성왕(聖王)의 시대의 유산인 『상서』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상서』독서기인 「서설書說」에는 치란(治亂) 이중구조 세계관이 잘 드러나 있다. 「서설」은 총설 1조목, 치세 10조목, 난세 9조목 등 총 20조목으로 구성되었다. 그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난세의 극복과 치세의 회복에 있었다. 그가 살았던 혼란의 17세기 조선을 극복하기 위해 군주의 수신(修身), 관제(官制)와 인재등용, 덕치와 예치 그리고 형벌(刑罰)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Beginning in 17<sup>th</sup> century, Confucian classics started to flood and various theories of academia were published. This i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 scholars who are critical about Neo-Confucianism. Though their critics were all based on understanding of Zhu-xi. It is Misu(眉叟) her mok (許穆, 1595-1682) who stands between classic Zhu-xi and critical Zhu-xi. Misu understood the world and history as dual structure of governance and confusion based on Confucianism's historical view. He concerned a lot to overcome the confusion and aim at order. He is considered to have been interested in the study of Pre- Qin such as ancient texts and the Sixth Classics. Especially, he was interested in the 《Shangshu》, a legacy of the sage king era. His book review of the 《Shangshu》, the 《Seoseol》reveals his world view of dual structure between governance and confusion well. 《Seoseol》is consisted of 20 articles. Except for general review of article 1, it is consisted of 10 articles, records of peaceful times and 9 articles, records of turbulent times. His ultimate goal was to overcome the confusion and stabilize the world. In order to overcome the turbulent 17th century Joseon, he suggested the four things: the moral, the rule and recruitment of the talent, the virtue and manner, and the punishments of the mon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