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생학습의 의미와 과제

        이윤소(Yunso Lee),김소영(So Young Kim)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문제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평생학습을 보는 큰 두 갈래로서 목적론적 접근과 존재론적 접근을 통해 평생교육을 들여다보았다. 먼저 목적론적 접근에서의 평생학습은 배움의 유전자를 타고났다고 보는 호모에루디티오를 인간상으로 보며, 생존과 사회문화적 필요에 의해 발생하는 개인적 욕구를 배움의 주요한 이유로 설명한다. 때문에 도구적 관점 에서의 탈맥락적 학습이며, 사회의 가치가 곧 지식이 된다. 반면, 존재론적 접근에서의 평생학습은 자유로운 인간을 추구하며 다양한 경험이 학습의 원천이 되고, 비판 적 성찰을 통해 내재화 하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평생학습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사유로의 접근, 평생학습 실행 연구의 필요,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의 경계 없는 흐름) 과제를 제시하였다. Lifelong education Act clarifying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and scope was still biased to just a part of lifelong learning viewpoint(Teleological viewpoint). So we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ith the teleological viewpoint and the ontological viewpoint which are two-pronged lens of lifelong Education. Teleological viewpoint regards Homo Eruditio as a desirable human character. So learning is explained mainly by personal survival and socio-cultural needs in this view, and the value of lifelong learning is de-contextual and knowledge becomes the values of a society. On the other hand, ontological viewpoint pursues human freedom. Various experiences become the source of learning and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s the learning itself. Also we introduced several practical exampl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wo viewpoints, learning organization, Lilleskole, The One World Schoolhouse, and so on.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four ideas: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post-modern thought, the need for study of lifelong Education implementation, seamless flow between the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과 과제

        송명현(Myunghyun Song),김두정(Doojung Kim),김소영(So young Kim),이윤소(Yunso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통일 교육과정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에서 제공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 100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론별 준거를 토대로 주제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 시기별 연구 동향은 2000년대 이후로 양적 증가 추이를 보였는데, 특히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와 맞물려 있는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남한의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43.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통일 시기별 연구 동향은 통일 대비 교육과정 연구가 92.0%(그 중 남한 교육 과정 80.4%)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법론은 문헌 연구가 9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문헌연 구는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89.4%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교과 분석은 도덕, 사회, 국어 순 으로 많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의 과제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은 점차 ‘통일 한국(통합적) 교육과정연구’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북한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이해 를 통해 통일 교육과정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와 정부 성향 및 통일 정책과 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통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에 따라 보다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통일 교육과정에 연계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approximately hundreds of previously published journal articles on Korea’s unification curriculum which were enlisted i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ata base in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research period and method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of research on the unification curriculum from the past administration in 2000. During the 7th curriculum reform by former president D. J. Kim and M. H. Roh, there was a significant expansion (43.2%) on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unification curriculum. Second, regarding the curriculum by phase of the unification, research on “Curriculum for Unification Preparation” took the highest share with 92.0 percent.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as the highest (94.0 percent). Study on the course of the study was prominent for the literature review while analysis of curriculum was mostly done on Ethics, Social Studies and Korean.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he researchers drew fiv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focus of the study on unification curriculum should be gradually expanded to the curriculum studies for a unified Korea. Second, the unification curriculum studies should b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curriculum. Third, there should 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courses and government policy on unification. Fourth,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need to be utilized for the unification curriculum. Finally, analytical research on more various subject areas related to the unifi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