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운동습관 변화궤적 분석

        이윤구(LeeYoongu),윤용진(YoonYong-ji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운동준비습관과 운동수행습관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14명이 12주간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2주간 5회의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준비습관은 초기 측정에서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수행습관은 초기뿐만 아니라 성장에서도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수행습관의 변화율에 운동행동변화단계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동수행습관의 발달은 과거 운동이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development of exercise preparation habit and exercise performance habit. For this purpose, 11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12 week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five times during 12 weeks. SPSS 18.0 and AMOS 20.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reparation habit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measurement. Second, the exercise performance habit differed not only at the beginning but also in the growth.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exercise performance habit.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exercise performance habit revealed that past exercise histories are important.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여가태도, 운동몰입, 주관적 행복의 구조적 관계

        이윤구(LeeYoongu),서광봉(SuhKwang-bo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태도, 운동몰입, 주관적 행복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9명의 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18.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태도는 운동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몰입은 주관적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태도는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몰입은 여가태도와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난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긍정적 여가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몰입이 수반되어야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attitude, exercise commitment, and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2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leisure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econd, exercise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leisure attitude did not affect subjective happiness. Fourth, exercise commitment was found to be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s that the positive leisure attitude should be accompanied by commitment to experience happiness.

      • KCI우수등재

        노인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이윤구(LeeYoongu),오윤선(OhYoun-sun),권재윤(KwonJaeyo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는 것이었다. 또한 조절변인을 활용하여 무용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따라 학위논문 8편과 학술지 18편이 메타분석 대상에 선정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는 우울완화에 아주 효과적이었다. 둘째,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무용 프로그램은 13주 이상, 20회 이하, 그리고 50분미만으로 운영해야 한다. 셋째, 연령과 출판연도가 증가할수록 무용 프로그램 참여의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우울완화에 대한 효과가 좋기 때문에 전문 인력양성 활성화를 통한 양질의 프로그램 보급이 이뤄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on depression. Also, the control variable was used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eight theses and eighteen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the dance program was very effective in relieving depression. Second, the most effective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conducted over 13 weeks, less than 20 times, and less than 50 minutes. Third, as the age and the year of publication increase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 program increased. In conclusion, the older the elderly, the better the effect of depression mitigation, so the program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 KCI우수등재

        엘리트 스포츠 선수의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윤구(LeeYoongu),곽민석(KwagMinseok)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엘리트 스포츠 선수의 심리기술훈련 효과성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심리기술훈련의 효과를 검증한 총 2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효과크기를 추정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운동선수의 심리기술훈련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ES=.359(.458)). 종속변인 중에서는 경쟁특성불안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참여인원수가 1~5명, 17주 이상의 프로그램, 30회 이상의 회기 수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별에서만 나타났다. 넷째, 출판유형과 출판년도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일정부분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effects of elite athletes through meta-analysis. A total of 25 papers examin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f elite athletes was moderate (ES=.359(.458)). Sport competitive anxiety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mong dependent variables. Second,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5, the program was more than 17 weeks, and the number of sessions was over 30 times. Third,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only in gender.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type and the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a reference for the follow-up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