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 분석

        이슬비범(Seul-Bi-Bum Lee),유기웅(Ki-Ung Ryu)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2

        본 연구는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 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행동사건인터뷰를 통해 장례지도사의 역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수정되었다. 역량모델이 적합한지 점검하기 위해 장례지도사 53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은 모두 4개의 역량군과 14개의 역량 및 42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역량군과 역량 및 행동지표에 대해서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역량군은 직무지식, 업무수행, 의사소통, 관계구축이며, 이들 역량군에는 장례업무 전문성, 종교절차, 공중보건 위생관리문제 해결, 감정 조절, 고객응대, 설득 및 영향, 공감형성, 소통협업, 갈등관리, 고객관계 구축 역량 등이 포함된다. 장례지도사의 역량모델에 대해 설문을 통한 각 역량별 중요도와 보유도 및 교육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해 차이가 있어 교육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보건,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and to analyse the training needs. In order to do so,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devis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on the funeral director’s competency from literature reviews and behavioral event interviews. Through expert review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finally modified. To verify whether the competency model is appropriate, the survey was held toward 53 funeral directors.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was consisted in a total of 4 competency groups and 14 competencies and 42 behavioral indicators. As the result of the validity analysis on the competency groups, the competency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it was confirmed to be valid. The 4 competency groups are job knowledge, job performance, communication, and building relationship. In these competency group it includes professional funeral work, religious procedures, solution on public health sanitation management, emotional control, response to customer’s needs, persuasion and influence, developing sympathy, cooperation in communication, managing conflicts, and competencies such a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s the result of each importance factor and possession degree as well as the training needs from the survey on the competency model of the funeral director, the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us the training need was confirmed. The results can be used for informing policy discussions and next steps with regards to the field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