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doxetic acid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숙임각 변화에 따른 국소 간종양 검출능 비교

        이세지(Se Jy Lee),김영근(Young Ke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 2015 방사선기술과학 Vol.38 No.2

        Gadoxetic acid (GA) 조영증강 자기공명(MR) 영상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숙임각(flip angle, FA) 11°와 비교하여 FA 30°를 이용한 3분, 10분 및 15분 영상에서 국소성 간 병변 검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3.0T MR 기기로 GA 조영증강지연기 MR영상을 시행 받은 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간세포암 23명과 전이암 12명으로 총 35명(남성 23, 여성12, 평균연령 60.4세)이었다. GA 주입 후 3분, 10분, 15분의 영상에서 각각 FA 11˚와 30˚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각의 영상에서 정량적평가와 정성적평가를 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 모두 조영제 주입 후 3분과 10분 영상에서 FA 30° 영상이 FA 11° 영상보다 약간 우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15분 영상에서는 FA 30° 영상이 FA 11° 영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 To study the differences of focal liver lesion image detection at 3 minute, 10 minute and 15 minute time points on gadoxetic acid (GA)'s enhanced MR imaging with a flip angle (FA) of 30° compared with a 11°. The subjects were 69 patients evaluated with GA enhanced MR imaging with 3.0T MR scanner. The pa-tients are total 35(23 men and 7 women at the mean age of 60.4 years), hepatocellular carcinoma(23) and metastsis(12) except for normal, cyst and hemangioma. After GA was injected, FA 11˚ and 30˚ images were obtained at 3 minute, 10 minute and 15 minute time points respectively. Aft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each image was don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Fro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3 minute and 10 minute MR images after the in-jection of GA, FA 30° images was found to be superior than FA 11°,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at 15 minute time poin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 30° image(p

      • KCI등재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Quiet-T2 기법을 이용한 소음감소의 유용성

        이세지(Se Jy Lee),김영근(Young Ke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1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rnance Imaging; MRI)에서 검사 중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기법으로 경사파형을 변경한 Quiet T2-weighted Turbo Spin-Echo(이하 Q-T2)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2-weighted Turbo Spin-Echo(이하 T2) 영상의 소음수준 및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0T MR 기기로 뇌 MR 검사를 받은 60명(남자 29명, 여자 31명, 평균 연령 60.1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Q-T2와 T2 각각의 영상에서 소음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Q-T2와 T2의 SNR, CNR, SIR 값을 측정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Q-T2와 T2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에 대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로서 우수(excellent) 5점, 양호(good) 4점, 보통(fair) 3점, 불량(poor) 2점, 평가불가(unacceptable) 1점으로 평가하였다. Q-T2와 T2 검사 중 평균소음과 peak소음은 Q-T2가 기존 T2에 비해 각각 15dBA, 10dBA 감소하였다. 또한 각각 의 검사 중 120초 동안 심박동수의 평균값은 Q-T2에서 더 낮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정량적 분석의 결과 CNR과 SIR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R은 Q-T2가 더 낮은 평균값을 보임으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정성적 분석은 59개의 Q-T2와 T2 영상의 질이 동일하게 우수(excellent) 5점으로 평가되었으며, 1개의 영상에서 모션 아티팩트로 인해 양호(good) 4점으로 평가되었다. Q-T2는 기존의 T2와 같이 검사시간 및 진단의 정확도는 동일하지만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환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oustic noise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the main source for patient discomfort. we report our preliminary experience with this technique in neuroimaging with regard to subjective and objective noise levels and image quality. 60 patients(29 males, 31 females, average age of 60.1) underwent routine brain MRI with 3.0 Tesla (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 system and 12-channel head coil. Q-T2 and T2 sequence were performed.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s (SPL) and heart rate on Q-T2 and T2 was performed respectively.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SNR, CNR, and SIR values of Q-T2, T2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Qualitative analysis was evaluated by the eyes for the overall quality image of Q-T2 and T2. A 5-point evaluation scale was used, including excellent(5), good(4), fair(3), poor(2), and unacceptable(1). The average noise and peak noise decreased by 15dBA and 10dBA on T2 and Q-T2 test. Also, the average value of heartbeat rate was lower in Q-T2 for 120 seconds in each tes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NR and SI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s SNR had a lower average value on Q-T2.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overall quality image of 59 case T2 and Q-T2 was evaluated as excellent at 5 points, and 1 case was evaluated as good at 4 points due to a motion artifact. Q-T2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acoustic noise reduction and improved patient com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