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하이 문화창의산업 집결구의 현황과 발전방식에 관한 연구

        바이지엔송(주저자) ( Jiansong Bai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문화창의산업집결구는 문화창의산업의 초기 발전단계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산물이며 그 변화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계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상하이 문화창의산업은 최근 십여 년 동안의 발전과정을 통해 그심층적 의미의 질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제 ‘창의’ 는 더 이상 산업적 층위만의 개념과 범위를 초월하여, 도시 발전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서 산업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적으로 도시의 경제, 취업, 도시의 매력과 브랜드를 집중시키는 초점으로 변모하고 있다. 상하이 문화창의산업집결구의 발전 과정은 ‘창업 산업형’ 에서 ‘집중 경제형``, 그리고 ’융합 사회형`` 으로 나아가는 단계적 발전 과정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집결구들은 각기 다른 단계의 발전과정 속에서 서로 혼합, 침투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상하이 문화창의산업집결구의 현황과 주요 유형, 분포특징, 발전과정의 초기단계와 발전단계에서 드러난 특징과 문제점을 찾아보았으며, 지난 십여 년의 발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면서 향후 문화창의 산업집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Creative Industry Cluster is an universal product as well as a dynamic evolutionary stage, for the initial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Chinese Creative Industries, through recent years of development and practice, has changed substantially. Neither be confined to the industry level, nor a simple concept of industry, it has begun an organic integration with urban development , directing at the dual targets of the industrial value and social value, and promoting the urban economy, urban employment, urban appeal and urban brand. By studying the development of Shanghai``s Creative Industry cluster, threading through the scale expansion from its spontaneous gathering, to development gathering and planning gathering, the thesis intends to sort out the various sta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grading and development context ,then summarizes the Creative Industries development method, and its possible impact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city . Shanghai``s Creative Industry cluster upgrade mode is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Creative Industries" to "gather economy" path to evolution, but impose different stages of the gathering area and mixing, dynamic penetration evolution and development. Finally, the next step will be the "social integration" to development method.

      • KCI등재

        중국적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요소의 사상근원 및 "신중국적" 디자인 관념의 도출

        전응(주저자) ( Ying Quan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서양의 다양한 디자인 풍격을 띤 작품들이 중국으로 들어온 이후에 중국 디자인은 새롭게 발전하게 되었고 ``중국적``디자인이란 의식이 점차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관념이 생긴 후부터 지금까지 시간이 오래 흘렀지만 아직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어 이 글에서는 ``중국적``이라는 관념에 대하여 다시한번 점검을 해보았다. 또한 점검에 앞서 우선 이와 혼동하기 쉬운 ``중국요소``, ``중국풍``디자인, ``중국디자인풍격`` 등 관련이 있는 개념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다. 이후 ``중국적`` 디자인 발전의 세 시기에 대하여 살펴보는 과정에 ``중국적`` 디자인의 두드러진 특징 및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중국적`` 디자인 특징이 형성된 원인을 살펴보면 바로 그 배후에 사상적 근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동시에 ``중국적`` 디자인에 나타나는 문제점 또한 그 사상적 근원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네 번째 부분에서 ``중국적``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요소의 미의식과 사상근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술하여 ``신중국적``디자인 의식의 심층적 의미와 목표를 도출해냄으로써``신중국적`` 디자인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various Western-style design work was introduced into China, it contributed to the new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China, and gradually formed some concepts of "Chinese-style" design. These concepts from birth to now go through a long period of time, but there still are many problems, so this paper had some reflection. Before reflection then, the first step combed several of associated confusing concepts, including the "Chinese elements", "Chinoiserie" design, "style of Chinese design” and so on. After three periods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style“ design are investigated and found in some features of the "Chinese-style“ design and its problems. However, the deep reasons of the "Chinese-style" design formation of features is ideological roots of the Chinese mainland in the behind, besides it’s formation these problem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behind the ideological roots, so at the fourth part, the thesis of this is discussed the ”Chinese-style" design behind China element aesthetic and ideological roots in detail, and finally export concept of the "Neo-Chinese style” design connotation and purposes, and hope for the research of the "Neo-Chinese style" design to create new a way.

      • KCI등재

        시각문화 문맥에서 해석되는 실경공연의 시각특징에 관한 연구

        바이지엔송(주저자) ( Jiansong Bai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이미지화된 정보를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미디어는 전 세계 각 분야에 파고들고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시각적 이미지로 가득 차 있으며 인류의 문화는 점점 시각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시각문화로 전환하는 시대에 인간의 시각은 풍부한 시각적 이미지의 틈새에서 나날이 성장하고 그 영역을 점차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동시에 인간의 시각적 관람의 욕구와 시각적 쾌감을 자극하고 있다. 이런 욕망이 만들어낸 전혀 새로운감각은 시각적 요구라는 이름 아래 인간의 경험 속에존재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탄생한 실경공연은 경관오페라에서 기원한 일종의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써, 세상에 나타난 지 이미 10년이 지났으며 현재도 급속한발전의 과정을 밟고 있다. 대중들은 과학기술 문화가 가져다 준 이 새로운 공연형식의 쾌감을 즐기고 있으며 업계와 학계에서도 새로운 ‘문화상품’ 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시각문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그내부에는 어떠한 시각적 논리가 존재하는가? 실경, 연기자, 도구, 시각적 과학기술 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에게 많은 의문을 품게 하였으며 동시에 일종의 불안감을 경험하게 한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의 담론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중국 실경공연 <인상유삼저>와 <인상서호>를 주 시각적 텍스트로 삼고 실경공연의 6가지 대표적 시각문화적 특징 - (시뮬라크르, 소비기호, 공간의 해체, 시간성의 소멸, 시각적스펙타클, 과학기술적페티시즘 ) -을 분석하였다. 또 ‘보기’와 ‘보여짐’의 역동적인 과정 속에서 실경공연의 시각적 이미지를 설명하고 이러한 시각문화 현상의 작동원리와 내재적 논리를 탐구하고자 한다. Worldwide, the digital media, characterized by image information, has entered into every aspect of society. The world in which we now live is fully filled with visual images and human’s culture tends to be more and more visualized. In this‘Visual Culture’era, people’s vision grows and spreads out under the stimulation of various visual images. It prompts us more visual demands and desires for watching pleasure. Theses desires, by creating new feels lack of depth, has existed in our experience in the form of visual images. Against such background, the real-life scenery performance laid itself in the public eye over a decade and is still in explosive development process. People derive great and frenzied pleasure of this cultural and technical feast. The Industry and academia also give high praise to this hot cultural goods. Nevertheless, how should we interpret this visual culture phenomenon? What is its internal logic? Real-life scenery, actors, stage props and visual technologies, they play what role? The above questions disturb us. The study is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globalized post-modern visual culture. By taking sample of China’s most representative real-life scenery performing works, ‘Impression Sanjie Liu’and‘Impression West Lake’, the author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al-life scenery performance by interpreting the dynamic process between‘look’and ‘watch’, striving to explor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isual culture phenomenon and its internal logic.

      • KCI등재

        개혁개방이후의 중국 미디어 발전에 관한 연구 -문화소프트파워와 미디어소프트파워를 중심으로-

        공념(주저자) ( Nian Gong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문화와 미디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문화 소프트파워의 업그레이드는 한 국가의 포괄적인 국력의 향상을 보여주며,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미디어 소프트파워는 문화 소프트파워의 발전을 증진하는 중요한 힘의 근원이다. 중국에서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래로, 광범위한 경제개발의 가속화는 미디어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간의 발전의 분리와 문화발전에 대한 악영향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지구촌의 범람하는 미디어 홍수시대에 서있는 중국 미디어산업의 현 위치는 문화 소프트파워와 미디어 소프트파워가 중국 미디어발전의 전체적인 힘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본 논문은 미디어 소프트파워와 문화 소프트파워에 대한 개요를 기반으로 문화 소프트파워와 미디어소프트파워를 강화하는 것이, 중국 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주요한힘의 근원임을 논하고자 한다. Culture and media have inextricable relations, the upgrade of the cultural soft power represents the enhance of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of a country, and it will help improve our stand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media soft power is an important force to promote cultural soft power development. Since Chinese reform and opening up, the acceleration of the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in large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hard power and soft power, and brought adverse effects to cultural development, and therefore, standing on the flood of the times, the status of Chinese media development is in-depth thought, cultural soft power and the media soft power enhanc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Chinese media development. Based on the overview of the media soft power and cultural soft power, the development of Chinese media is thought and the method to enhance the cultural soft power and the media soft power are discussed, s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es media industry.

      • KCI등재

        음양오행사상과 중국 시각문화 이해의 관계

        전응(주저자) ( Ying Quan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7 No.-

        중국의 음양오행사상은 고대 중국인의 우주와 자연에 대한 인식과 사고에서 나온 것이다. 이를 통해중국인은 독특한 시각문화를 형성하였다. 중국의 시각문화는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을 받아 그 특유의 표현방식을 형성하였으며, 그것이 가진 매력은 오랜 시간 중국의 시각문화 체계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하지만많은 사람들이 아직 그 형성 원인에 대한 이해가 적으며, 그러한 연유로 중국의 시각문화가 전달하는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음양오행사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 시각문화에 구현되어있는 독특한 표현방식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 또한 음양오행사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우리는 중국 예술가의 창작 동기를 알 수 있을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것은 중국 예술 속에 드러나 있는 모호한 표현 뒤에 숨겨져 있는 맥락을 짚어볼수 있다. YinYangWuXing is based on that ancient Chinese people know and think about the universe and nature, then it turns out to be a unique cultural perspective. Due to the influence of YinYangWuXing, Chinese people usually have a special way of expression in visual culture. Though There is no doubt about its charm, many people do not know the cause on how it forms so that they can not understand the expression content of Chinese visual culture well. Through my analysis of YinYangWuXing,I will try to solve them in this paper, i will find out the root of some special expression in Chinese art design and explore more ways to understand Chinese visual culture.

      • KCI등재

        남방 소수민족 공연예술이 중국공연문화산업에 미친 영향 -<云南映象> 운남영상을 중심으로-

        왕원원(주저자) ( Yuan Yuan Wang ),이동훈(교신저자) ( Dong H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6 No.-

        중국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다민족, 다문화라 할수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외래 사상의 유입, 국민생활수준의 제고와 심미적 수준의 향상을 촉진시켰지만 또한 한족문화의 일반화라는 부작용도 낳았다. 이러한 현상의 강화는 한족문화 외의 비주류문화와 소수민족문화에 대한 위기를 불러오는 원인이 되었다. 개혁개방, 사회경제 발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가무극은 양식적 변화를 요구받았으며, 이에 2003년 새로운 형태의 원생태 공연인『운남영상』이 등장한다. 이전의 공연형식과는 차별화된 소수민족 원주민을 공연배우로 채용하고, 그들의 일상을 무대도구로 삼아 소수민족의 삶과 죽음, 신앙과 제사 등을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서 중국 가무극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 또한 사라져가는 무형 문화자원 보존의 새로운 가능성과 민족 가무극 발전의 전환점을 이끌어낸다. 본 연구는 중국 가무극 발전의 이정표가 되었던『운남영상』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그 성공요인을 찾아보고, 새로운 공연 양식의 특징과 가치, 공연산업전반에 미친 영향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성공의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구조적 위기요인과 한계를 살펴보면서, 현 시점의 중국 공연문화산업 생태환경의 현황과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가지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hina is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In the long river of history, it appeared a lot of culture, some of which was developing in the vicissitudes of history, while, the others gradually faded, and even disappeared in the long river. The problems faced by the development of culture of minority ethnics in china belongs to the latter. At ordinary times in life, people learn about the culture of ethnic minorities mostly through the national festival performances, customs activities and so on, which mostly present in the form of public performance. But for the minority culture, this form is only a small part of their national art.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The year of 2003 saw a new type of performance, which named < Yunnan Dynamics >. It unfolds the daily life, belief and ritual of ethnic minorities in Yunnan, based on the daily life of the minority, expressed in the original choreography. All the actors and actresses are the aboriginals of ethnic minorities in YunNan, performing with articles of daily life as a props. < Yunnan Dynamics > preservs more than ten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with the form of musical performance.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 Yunnan Dynamics >,analysis the reasons of its success and the hidden behind, and then proposed solutions for China``s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promote its fath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