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촌 지역주민들의 연령대에 따른 신체활동의 장애요인

        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서애림(Ae-Rim Seo),김미지(Mi-Ji Kim),서성효(Sung-Hyo Seo),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0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5 No.2

        이 연구는 연령대를 성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구분 후 신체활동과 인지된 운동장애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두 군데 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걷기실천율의 정의는 주 5회 이상, 한번 할 때 10분 이상, 하루에 30분 이상 하는 것으로 하였고, 인지된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사회적 지지 부족, 기력 부족, 의지력 부족, 부상에 대한 공포 등 5개의 영역으로 조사하였다. 연령대를 세 개 군(∼64세 이하, 65-74세, 75세 이상)으로 구분했을 때 의지력 부족이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였고, 64세 이하의 경우는 시간 부족이 관련이 있었으며, 65세 이상은 부상에 대한 공포가 관련 있었다. 결론적으로 의지력 부족과 시간부족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마을 내에서 일정한 시간대에 함께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노인들에게는 낙상예방을 위하여 걷기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을 권장할 때 근력운동을 병행해 실시하여 부상에 대한 공포를 줄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ctivity and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fter classifying the age group(≤64, 65-74, ≥75).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ducted on 1500 residents of two areas, and the walking activity was defined as five or more times a week, 10 minutes or more at a time, and 30 minutes or more per day.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were lack of time, lack of social support, lack of energy, lack of willpower, and fear of falling. Results: In the group under 64 year, the lack of time (exp(B)=0.819, p=0.002) and the lack of willpower (exp(B)=0.656,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65-74 year old group, the lack of willpower (exp(B)=0.714, p<0.001) and fear of falling (exp(B)=0.787, p=0.003) were a significant association. In the group aged 75 years and over, lack ofwill power (exp(B)=0.734, p<0.001) and fear of falling (exp(B)=0.807,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willpower and lack of time, a walking activity should be performed together at a certain time in the village, and the elderly in the late ages should reduce the fear of falling by performing a fall prevention exercise in parallel.

      • KCI등재

        농촌지역 주민의 영양결핍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근감소증 가능군과의 관련성

        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서애림(Ae-Rim Seo),김미지(Mi-Ji Kim),서성효(Sung-Hyo Seo),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7 No.2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근감소증 가능군과 영양결핍 그리고 사회심리적 요인 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농촌지역 주민 중 60세 이상인 1,019명이다.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성에 포함된 변수는 영양상태, 사회심리적 요인(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 사회적 고립, 사회적 자본)이다. 근감소증의 기준은 개정된 아시아 진단기준에 따라 종아리 둘레로 의심자를 찾은 다음, 악력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영양은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인 중에서는 낙상에 대한 두려움, 자기효능감이 근감소증 가능군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참여는 영양결핍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근감소증 가능군과는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감소증 가능군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영양결핍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자기효능감 저하 등이 있고 영양결핍에 사회적 참여도 관련이 있어 지역사회의 근감소증 대상 보건사업에서는 이들 변수를 고려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managing sarcopenia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malnutri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1,019 subjects aged 60 and over. “Possible sarcopenia” was defined by low handgrip strength with or without reduced physical performance. Nutritio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ini nutrition assessment (MNA),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examined were self-efficacy, social isolation, fear of falling, and social capital (trust and participa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of malnutrition, psychosocial factors, and sarcopenia. Results: MN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OR = 1.747, p <0.001), fear of falling (OR = 2.905, p <0.001), and self-efficacy (high/low, OR = 0.654, p = 0.011). In model 3, which included both MNA and psychosocial factors, sarcopen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NA (OR = 2.529, p <0.001) and fear of falling (OR = 1.544, p = 0.045). Compared with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 high group (OR = 0.589, p = 0.009) was significant. The factors related to possible sarcopenia include risk of malnutrition, fear of falls, and low self-efficacy.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so that individuals feel they can do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mselves and to reduce their fear of falling through muscle strength and balance exercises.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regular participation in community social activities.

      • KCI등재

        어업종사자에서 낮은 악력과 대퇴부 경부 골밀도 감소의 연관성

        김미지(Mi-Ji Kim),이경예(Gyeong-Ye Lee),성주현(Joo Hyun Sung),홍석진(Seok Jin Hong),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8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hand grip strength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levels among Korean fishery workers and investigate their association. Methods: Hand grip strength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in a survey and health examination conducted in 2021 among fishery worke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Covariat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smoking behavior, drinking behavior, family history of hip fractures, use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s, hypertension, diabetes, regular exercise, and body mass index were investig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Results: Among 147 fishery workers, 8.16% exhibited low hand grip strength levels indicative of possible sarcopenia, and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low hand grip strength and decrease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β = -89.14, 95% CI = -160.50, -17.78). Additionally, factors such as women gender, advanced age, family history of hip fractures, and a body mass index below 25 kg/m²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In the subgroup analysis by gender, a correlation between low hand grip strength and decreased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as observed only in men.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various determinant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ishery workers, ultimately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 KCI등재

        농업인들의 업무상질환 예방을 위한 우선순위에 대한 요구도

        서애림(Ae-Rim Seo),김지연(Ji-Youn Kim),김보경(Bokyoung Kim),이경예(Gyeong-Ye Lee),김경수(Kyungsu Kim),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8 No.4

        이 연구는 농업인의 업무상질환에 대한 예방사업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업무상질환 등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또한 예방사업 역시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주요 질환들의 사업 중 효과와 실천가능성을 파악하여 이후 농업인 안전보건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농업인들을 눈덩이 모집 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체 6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BPRS 방법으로 하였으며, 각 업무상질환 중 근골격질환, 심혈관 및 호흡기질환 그리고 농약중독 예방을 위한 세부 사업에 대한 농업인들인 인지하는 효과와 실천가능성을 설문 조사하였다. 업무상질환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는 근골격질환이었으며, 호흡기질환, 농약 중독 등의 순이었으며, 근골격계질환의 세부 사업 중 ‘농작업 편이장비, 보조도구 활용’이 인지하고 있는 효과정도와 실천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농약 중독 5가지 세부 사업 중 효과는 ‘농약 방제복/장갑 등 보호장비 구비’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실천가능성 정도는 ‘농약 사용법 준수’가 64.3%로 가장 높았다. 호흡기질환 예방을 위한 4가지 세부사업 중 효과와 실천 가능성 모두 ‘분진마스크 또는 방독마스크 착용’이 65.5%로 가장 높았다. 농업인들을 위한 안전보건사업을 수행할 때 근골격질환을 위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농약중독, 호흡기질환 역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하며, 농업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효과 크기와 실천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여 사업내용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revention programs for farmers occupational diseases. It selected the priorities recognized by farmers, such as occupational diseases, and also identifies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prevention programs among diseases recognized by farmers. Therefore, we plan to use it as basis data for future farmer safety and health program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armers living in the region, selected through a snowball recruitment method, and a total of 671 people were targeted. The priority selection method was the Basic Priority Rating System (BPRS) method, and among the occupational diseases, program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nd pesticide poisoning were surveyed on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farmers. Results: Among occupational diseases, the highest priority was musculo-skeletal disease, followed by respiratory disease and pesticide poisoning. Among the programs for musculoskeletal disease, use of agricultural work convenience equipment and auxiliary tools had the highest perceived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Among the five programs for pesticide poisoning, ‘equipment of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pesticide protective clothing/glove’ had the highest effectiveness at 67.4%, and ‘compliance with pesticide use instructions’ had the highest level of feasibility at 64.3%. Among the four programs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wearing a dust mask or gas mask’ was the highest at 65.5% in terms of both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Conclusion: When carrying out safety and health programs for farmers, the priorities recognized by farme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program contents should also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ize of effect and feasibility recognized by farmer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부모에게 감각통합 중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혼합 연구방법 사례연구

        최준수 ( Choi Jun Su ),최윤미 ( Choi Yoon Mi ),금효진 ( Keum Hyo Jin ),이경아 ( Lee Gyeong A ),정민 ( Jung Min Y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감각 조절 문제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2021년 4월 13일부터 5월 25일 동안 매주 1회, 1시간씩 진행되었으며, 종료 2주 후 사후 회기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감각식이는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아동과 부모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질적자료와 양적자료를 사용하였다. 질적자료는 문서자료, 관찰 및 인터뷰, 동영상, 아동 작업수행 프로파일 및 일과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양적자료는 양육스트레스 검사, 양육효능감 척도, Sensory Profile 2를 통해 수집되었다. 아동은 감각식이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였으며, Sensory Profile 2 검사 결과 모든 영역에서 원점수의 감소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행 후, 부모는 아동 학업지도, 문제행동, 부모 교육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 태도 및 관점 변화를 나타냈다.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는 74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육효능감 척도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향상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은 부모의 양육 태도, 관점, 스트레스 및 효능감 지수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모의 경험과 성찰이 담긴 비대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ote parent education on improving sensory regul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well as reducing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remot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n hour, starting from April 13, 2021, and ending on May 25, 2021.A follow-up session was held two weeks after the program's completion. The implementation of a sensory diet, following the action research process, served as the intervention method. The study collect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o assess the changes in both children and parents.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through document analysis, observations, interviews, videos, and assessments of child work performance profiles and schedule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measures such as the parenting stress test,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Sensory Profile 2. The child showed a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sory diet, as indicated by decreased scores in the Sensory Profile-2 across all domains. Moreover, parents exhibited improved attitudes and perspectives towards the effects of academic advising for their children, managing problem behavior, and participating in parent education. The parenting stress test scores decreased from 74 to 71 points, and the parenting efficacy scale scores improved in all domai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perspectives, stress levels, and efficacy indices among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inclusion of parent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dded significance to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