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경험이 여가유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용구(NohYong-koo),윤영선(YoonYoung-sun),안동수(AnDong-su)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 경험이 여가활동에 대한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는 대학생들의 향후 진로와 직업군을 선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임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시 소재 K, 경기도 소재 D, H, K, 4년제 대학생 총 56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도구는 질문지이며 회수된 질문지는 SPSS(Ver.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경험의 자아확인, 일상탈출, 사회적관계는 여가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신체적, 인지적유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가경험의 자아학인, 일상탈출, 사회적관계는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행동,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효능감지각은 직업세계탐색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가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r finding out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 and Further Career Choices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6, The objects of study are a total of 563 students. Located in the seoul city of K and D, H, K of the Gyeonggido Province were randomly sampled. From each stude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s. Thes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with the tools of SPSS WIN(21.0)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studying the Influence of The Factor of leisure experience on the self-confidence, devi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t shows that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sitive to social, physical and cognitive leisure competence as the subfactors of leisure competence. Second, after studying the Influence of The Factor of leisure experience on the self-confidence, devi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t shows there to b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Understanding Behavior,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or as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a sense of effectivenes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or has a negative influence. Third, the self-confidence its all of the sub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all of the sub-area.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여가제약이 여가기능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정기홍(JungKi-hong),안동수(AnDong-soo),윤영선(YoonYoung-s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제약이 여가기능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과 경기지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여가제약의 부정인식 요인은 여가기능의 여가조절, 여가자신감, 여가심취, 여가욕구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건부족 요인은 여가욕구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부상위험 요인은 여가심취 요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가제약의 시설환경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진로자기의심과 진로유연성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인식 요인은 전반적 진로탐색, 심층적 진로탐색, 진로자기의심, 진로일체감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건부족 요인은 진로자기의심, 진로유연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시간부족 요인은 진로자기의심, 진로일체감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몰입확신 요인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가기능의 여가조절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전반적 진로탐색, 진로일체감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가자신감 요인은 심층적 진로탐색, 진로일체감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가심취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가욕구 요인은 전반적 진로탐색, 심층적 진로탐색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s on leisure function and career identity in university students from March to June, 2017. First, the negative perception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have had the effect of positive attention to leisure controlled, leisure confident, leisure infatuation, leisure desires factor leisure insufficiency condition factor positive (+) significant in leisure needs factors. On the other hand injury risk factors are a significant part in leisure infatuation factor - had an impact (-). Second, the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self - doubt and career flexibility of career identity, and negative recognition factors were general career search, in - depth career search, career self - doubt, (+) Influence on the factors. The factors of shortage of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f - doubt and career flexibility. The lack of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elf - doubt and career unity, (-), respectively. Third, the leisure control factors of leisure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ath identity and the factor of career cohesiveness. The leisure confidence factor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search, . The leisure inten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sub -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leisure needs factor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overall career search and in - depth career 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