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신품종을 포함한 한국산 Acanthopanax속의 분류(Ⅰ)

        육창수(Chang Soo Yook),이동호(Dong Ho Lee),서윤교(Yoon Kyo Seo) 한국생약학회 1976 생약학회지 Vol.7 No.3

        1. The Korean Acanthopanax genus includes 12 kinds consisting of 9 species and 3 forma. 2. The Korean Oga-pi which is on market sale has been used as bark for the medicinal purpose, and Oga-pi shall use Radicis Cortex. That is why it is basic rule that herbalogy shall use Radicis Cortex. 3. The origin of Oga-pi on sale is Acanthopanax sessiliflorum forma chungbunensis C.S. YOOK. 4. CHUNG and NAKAI`s report on A. koreanum told us that there are brown hair on the mid-leaf junction. but in addition to it, our investigation was resulted in the fact that there are thorn along mid-rib sometimes. 5. 2 kinds of new forma are similar to A. sessiliflorum, but are different in the view-point of chemotaxonomy, compared with A. sessiliflorum. In its morphology, we can find some difference between 2 kinds of new forma and A. sessiliflorum. Our effort of examination on documents tell us that the all plants growing in the central part of our country is A. sessiliflorum forma chungbunensis C.S. YOOK. The one which has thorn on both side among the plants collected in Mt. Dukyu, is called A. sessiliflorum forma nambunensis C.S. YOOK. 6. A. sessiliflorum is growing in the southern part in Korea, and most Chungbu Oga-pi A. sessiliflorum forma chungbunensis in the central part of our country. For the convenience of our study, the key of Korean Acanthopanax plant is classified into I-IV, as shown on the following items: I. No hair on both side of leaf A. Flower stalk is longer than petiole, and there are thorn under the petiole (5-7 stigma).…A. sieboldianum. B. Flower stalk is longer than petiole, or same length. The serration lie down, and the stem has short thorn (stigma is divided into 3 part).……A. seoulense II. There are a lot of thorn or hair on back of leaf. A. A lot of thorn and hair on the vein of leaf back, and a number of small thorn on petiole.…A. chiisanensis. B. There are thorn on the vein of leaf back.……A. sessiliflorum forma chungbunensis. III. There are hairs on both side of leaf. A. There are small hairs on the batik of leaf.……A. sessiliflorum. B. There are small hairs on both side of leaf.……A. sessiliflorum f. nambunensis. C. There are thick hairs on junction of main vein on back of leaf.……A. koreanum. D. There are brown hairs on vein of leaf back, and brown hairs or small petiole.……A. rufinerve. E. There are shrunk hairs in grey-brown on back of leaf, and tense hairs on new branch (one stigma).……A. divaricatum. IV. There are long thorn, just like needles, on the stem and petiole. A. Long needle grows on whole stem tensely, and long needles on petiole.……A. senticosus. B. There are no needles, just like needles and hairs on petiole, and needles grow on the stem thinly.……A. asperatus. C. There are no needle on small branch, leaf and inflorescence are larger than A. senticosus.……A. senticosus forma inermis.

      • SCOPUSKCI등재

        국산 족도리풀(세신)속의 신종, 신품종

        김재길,육창수,Kim, Jae-Gil,Yook, Chang-Soo 한국생약학회 1996 생약학회지 Vol.27 No.4

        한국의 신분류군 식물 1신종,2품종을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Asiasarum koreanum J. Kim et C. Yook (국명신칭: 자주족도리풀)-충북 청원, 음성, 괴산일대 그리고 속리산 근교에 자라고 잎은 어릴 때에 뚜렷한 자주색을 띠고 꽃은 대형(大型)으로 열편(裂片)은 삼각형(三角形)에 접근되며 흔히 끝은 점첨두이고 흔히 꼬이며 꽃받침은 반구형으로 안쪽의 주름이 명확하며 열편에 반점이 있거나 또는 없다. 특히 다른 Asiasarum속에 비해서 화경 $7{\sim}9cm$로 매우 길다. 구환(口環)은 흑자색을 띠며 종자는 바깥면이 흑색으로 폭 1.86 mm, 길이 3.78 mm로 Asiasarum속에서 가장 크다. 화학성분에 있어서도 다른 분류군(족도리풀, 만주족도리풀 등)과는 달리 지상부에 ${\alpha}-copaene$, nerolidol등이 있고 뿌리에는 4-carene. 4-terpineol, ${\alpha-terpineol$이 있어 Asiasarum 속의 신종으로 하였다. Asiasarum sieboldii Miquel for. chungbu ensis C. Yook et J. Kim (국명신칭: 무늬족도리풀)-강원도 내설악 일대와 광덕산 일대에 자라며 개체의 크기는 족도리풀과 유사하나 잎이 얇고 잎의 상면에 유백색의 무늬가 있다. 꽃은 작고 열편은 자주색으로 삼각형이며 구환은 검은색을 띤다. 종자는 폭 1.58mm, 길이 3.2mm이고 뿌리는 빈약하여 약용으로는 곤란하다. 족도리풀과 유사하나 잎에 무늬가 있으므로 족도리풀의 신품종으로 하였다.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churicum Maximowicz for. glabrata C. Yook. J. Kim et J. Nam (국명신칭: 반들족도리풀)-경기도 광릉일대와 경남 가야산일대에 자라고 잎의 하면은 광택이 있고 상면은 무모(無毛)이다. 꽃은 작고 열편은 삼각형 모양이며 구환은 백색이며 각각의 세 열편은 뒷쪽으로 젖혀져 화판통(perianth tube)와 밀착하며 수평으로 퍼지지 않는다. 뿌리는 매운맛이 뚜렷하다. 형태학적으로 지상부는 만주족도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churicum)과 유사하나 잎에 전혀 털이 없고 열편의 모양이 다 르므로 만주족도리풀의 신품종으로 하였다. A new species of Asiasarum, a new forma of A. sieboldii and a new forma of A. heterotropoides var. mandschuricum were found at the central part of Korea. The taxa of new plants are as follows: Asiasarum koreanum J. Kim et C. Yook sp. nov.;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churicum Maximowicz for. glabrata C. Yook, J. Kim et J. Nam f. nov.; Asiasarum sieboldii Miquel for. chungbuensis C. Yook et J. Kim f. nov. (Aristolochiaceae)

      • SCOPUSKCI등재

        잔잎바디의 생약학적 연구(Ⅱ)

        육창수(Chang Soo Yook),성백우(Baek Woo Seong) 한국생약학회 1987 생약학회지 Vol.18 No.1

        Angelica L.속은 만주, 일본, 한국, 구라파, 미국 등에 자생하고 분류상 세가지 귈(sect.)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Sect. I. Czernaevia Kita.의 1종류가 있다. 잔잎바디는 1825년에 Meyer씨가 conioselinum속으로, Komarov는 Angelica로, Wolff (1925년)씨는 Peucedanum으로 취급하였다. 1936년 Kitagawa는 잔잎바디의 기원을 A. czernaevia로 종명을 바꾸었으며 유도는 interval에 3∼4, commissure에 4∼8로 기재하였다. 잔잎바디와 큰잔잎바디의 부견결과, 후자의 늑상부에만 Vittae를 관찰하였으므로 보고코져 한다.

      • SCOPUSKCI등재

        민먼귀나무 과피의 쿠마린 성분

        육창수(Chang Soo Yook),임석인(Ihn Seuk Lim),김창민(Chang Min Kim) 한국생약학회 1985 생약학회지 Vol.16 No.1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onstituents of coumarin in the pericarpium of Zanthoxylum ailanthoides S. et. Z. var. inermis Nakai. Three substances (I-III) were obtained and identified by GLC, IR, NMR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subs. I identified as sterol, subs. II was bergapten (mp. 187∼188˚ C<sub>12</sub>H_(10)O₄) subs. III was isopimpinellin (mp. 108∼109˚ C<sub>13</sub>H_(10)O_5).

      • SCOPUSKCI등재

        금강제비꽃잎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Ⅴ)

        육창수(Chang Soo Yook),문창규(Chang Kiu Moon) 한국생약학회 1985 생약학회지 Vol.16 No.1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Nakai의 전초는 청열해독, 지혈, 종기, 출혈, 암, 폐결핵 등에 쓰이는 민간약초이다. 금강제비꽂 메탄올 엑기스에서 5종류의 Flavonoid glycoside를 분리하였다. 그중 하나는 융점 191˚의 담황색 결정으로 FeCl₃에 자갈색, Mg+HCl에 홍색을 띄는 kaempferol-3,7-bisrhamnoside(C_(27)H_(30)O_(14))로 확인하였고 부분 가수분해에 의하여 kaempferol-7-rhamnoside를 얻었다.

      • SCOPUSKCI등재

        호제비꽃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육창수(Chang Soo Yook),김현숙(Hyeon Sook Kim),문창규(Chang Kiu Moon) 한국생약학회 1985 생약학회지 Vol.16 No.1

        We hav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constituents in the Herba of Viola yedoensis distributed in Korea. Substances (I, II)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GLG, IR, NMR. They were kaempferal-3-robinoside-7-rhamnoside (m.p. 250∼254˚, C_(33)H_(40)O_(19)) and β-sitosterol.

      • SCOPUSKCI등재

        제비꽃속 식물의 해부학적연구 (Ⅲ)

        육창수(Chang Soo Yook),김현숙(Hyeon Sook Kim) 한국생약학회 1985 생약학회지 Vol.16 No.1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o은 우리나라 중부, 남부에 자생하고 있으며 紫花地丁이라 하여 그 전초 뿌리를 종기, 황달, 통경, 해독, 해열 목적으로 사용된 민간약초의 하나이다. 호제비꽃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 Becker은 형태학적으로 매우 비슷하여 구별이 어렵다. 호제비꽃과 제비꽃을 각 부위별로 표피세포, 주맥, 엽병, 화경, 근경, 뿌리등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 SCOPUSKCI등재

        흰바디나물의 신변종에 대하여(Ⅰ)

        육창수(Chang Soo Yook),성백우(Baek Woo Seong) 한국생약학회 1987 생약학회지 Vol.18 No.1

        흰바디나물은 처음 T. Nakai씨는 Angelica distans로 명명하였고(1934) Kitagawa는 A. cartilaginomarginata(Makino)Nakai var. distans Kitagawa(1936)라 하며 처녀바디 A. cartilaginomarginata(Makino) Nakai의 변종으로 취급하였다. 저자등은 이번 바디나물류의 개화기부터 결실기까지 외부형태학적 연구를 행하였고, 흰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Fr. et sav. var. distans(Nakai) Yook et Seong은 처녀바디보다 기본종의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Fr. et sav.에 접근되므로 바디나물의 신변종으로 보고코저 한다.

      • SCOPUSKCI등재

        세잎 오갈피나무 근피의 성분연구 (Ⅲ)

        육창수(Chang Soo Yook),뢰영상(Young Sang Lai),장경오(Kyeoung Oh Jang),신응태(Eung Tae Shin) 한국생약학회 1985 생약학회지 Vol.16 No.1

        세잎 오갈피나무 Acanthopanax trifoliatus Merr.는 관목으로 잎은 삼엽이고 꽃은 산형화서로 대만 전지역에 자생되고 있다. Acanthopanax속 식물의 성분연구 일환으로 근피, 수피를 알콜로 추출하여 칼람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Lignan계성분 I, II를 단리하였다. 근피, 수피의 에텔엑가스를 검화하여 GLC로 표품 sterol과 비교한바 근피에서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 chelesterol과 수피에서 campesterol, stigmaterol, β-sitosterol을 확인하였고 수피에시 cholest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